1장_ 켄타우로스의 등장
컴퓨터와 인간 중 누가 더 체스를 잘 둘까 | 디지털 툴과 확장된 인식 | 디지털 툴, 독인가 약인가 | 우리는 더 똑똑해질 수 있다
2장_ 완전한 기억에 도전하는 사람들
토털 리콜, 기억을 기록하다 |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 저장은 쉽지만 찾기가 어렵다 | 디지털 메모리, 인간의 메모리를 촉발하다 | 기억하는 법과 잊는 법
3장_ 생각의 공개가 갖는 위력
모두가 작가, 모두가 청중인 시대 | 온라인 글쓰기와 청중 효과 | 동시에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내놓는다는 것 | 멀티플스의 순기능과 역기능 | 생각의 공개는 생산이 아니라 과정이다 | 생각의 공개를 촉진하는 구조, 질의응답 | 쓰레기 댓글의 관리 그리고 터믈링
4장_ 새로운 시대, 새로운 문해력
소프트웨어 하나로 선거 결과가 바뀐다 | 디지털 툴, 새로운 문해력을 창조하다 | 누구나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 동영상의 언어를 확장하는 아마추어의 실험들 | 동영상 진화의 조건 | 사진의 새로운 문해력 | 3-D 프린터의 등장과 새로운 생각들
5장_ 무엇이든 찾아내는 기술
검색할 때마다 우리는 더 멍청해질까 | 정보를 어떻게 불러낼 것인가 | 기억을 나누면 아는 것이 많아진다 | 컴퓨터, 분산기억의 새 파트너 | 디지털 툴이 창의력과 기억력을 좀먹는 걸까 | 산만함의 문제 그리고 답을 찾은 이들 | 착용컴퓨터가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 머릿속 정보를 확장시키는 장치들
6장_ 수수께끼에 굶주린 세상
비디오게임은 왜 그렇게 복잡해졌을까 | 아마추어들의 협력 시대 | 협력과 집단적 사고의 성공 규칙 | 동기를 유발시키는 협업 구조를 기획하라 | 협업 지능은 거대한 셜록 홈스다
7장_ 디지털 학교로 등교하는 학생들
어느 날, 교실 풍경이 달라졌다 | 문제는 장비가 아니라 프로그래밍 | 인터넷 글쓰기의 교육적 혜택 | 프로그래밍으로 세상을 이해하다 | 교육에 게임을 도입했을 때 | 검색 문해력도 훈련이 필요하다
8장_ 나를 드러내고, 그를 알아본다는 것
상태 업데이트의 역설 | 사람을 읽는 기술 | 회의와 이메일이 줄어든 회사 |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과 그 역사적 평가 | SNS가 느슨한 관계를 유용하게 만든다 | 중요한 것은 품질, 작을수록 더 좋다 | 사방감시감옥에서 살아남는 법 | 타인의 마음속 훔쳐보기
9장_ 모두가 연결된 사회
무책임한 세대? 책임 아는 세대 | 갈수록 네트워크화되는 사회 | 집단적 무지의 문제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사회를 바꿔놓다 | 온라인 운동과 현실 참여 | 아래로부터의 감시 체제 | 디지털 툴이 권력을 강화시킬 때 | 디지털 생활의 무한한 가능성
마치며_ 인간과 컴퓨터의 공존과 협력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