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게르첸 평전의 기념비적 역작_유종호 서문 ― 놀라운 삶의 궤적 1. 기본 문제의식 2. 전체 구성 2.1. 1부의 내용 2.2. 2부의 내용 ―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의 보완 3. 이 글을 마치기까지 4. 감사의 말 1부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 ― 게르첸의 『나의 과거와 사상』 읽기 1장 시작하면서 1. 자서전이라는 형식 1.1. 문학은 은폐된 자서전 1.2. 주체의 객관화 ― 공감의 심화이자 확대 1.3. 글쓰기 ― 진리의 윤리적 변형 2. 게르첸의 경우 2.1. 게르첸은 누구인가 2.2. 사회개혁과 개인의 자유 사이에서 보론 1: 진보 신화 비판 ― 존 그레이 3. 『나의 과거와 사상』 3.1. 혁명의 실패와 개인적 상실 3.2. 모든 시대는 그 자신의 문제를 지닌다 3.3. 차이 감각의 현실주의 3.4. ‘자기 삶을 산다’는 것의 예증 2장 가족관계 1. 아버지의 네 형제들 1.1. 적(敵)이자 형인 알렉산드르 1.2. 셋째 큰아버지 레프 1.3. 게르첸의 아버지 2. 집안에서의 ‘기이한’ 위치 3. 농부와 농노의 삶 3.1. 모든 압제에 대한 증오 3.2. 농민 공동체의 비전 ― 빛과 그늘 4. 삶의 조건에 대한 성찰 4.1. 공감 = 아포리아의 직시 4.2. 탁월성과 깊이의 결합 5. 이 인간을 보라 5.1. 스테파노프 노인 ― 미치광이인가 성자인가 5.2. 요리사 알렉세이 ― 빛나는 몸에 사는 우중충한 영혼? 6. 책 읽기와 자연 체험 6.1. 읽고 생각하기 6.2. 시골집에서의 나날 6.3. 자연 ― 쇄신의 원천 3장 대학 시절 ― 20세 무렵 1. 참새 언덕에서의 맹세 2. 폴레자예프 3. 바딤 4. 육체의 구제 ― 여성해방 4.1. 여성 - 육체 - 건강 - 도덕성 4.2. 여성해방에서 인간해방으로 4장 감옥과 추방, 귀환과 또 한 번의 추방(1834~1847) 1. 체포와 수감 그리고 유배의 나날 2. 관료 계급 비판 3. 비트베르크 4. 동시대의 거장들 4.1. 벨린스키 ― 검투사의 정신 4.2. 차다예프의 우울 5장 혁명의 현장(1847~1852) 1. 혁명 성가 대원의 허풍스러운 쇼 2. 우쭐댐과 기고만장 3. 프티 부르주아 비판 3.1. 새로 태어난 아이의 멍청함 3.2. 부르주아 ― 돈을 위한 항구적 투쟁 3.3. 사회적 의무의 외면 4. 자유에의 무능 4.1. 새로운 우상 ― 거대 추상물의 위험 4.2. 균열 의식은 현실 감각 4.3. 진리의 자기희생적 수용 5. 프루동과의 만남 5.1. 대담한 개작(改作) 능력 5.2. 평등화와 군대적 대열에 대한 편애 5.3. 탁월성과 평등 ― 그 모순 5.4. ‘정의’라는 차가운 신 ― 프루동의 한계 6. 감정과 시와 색채와 음조 ― 개인적인 것의 옹호 6장 영국에서의 언론 활동(1852~1862) 1. 과오 후의 ‘자기 혁명’ 2. 상처 입은 자만심의 쩨쩨함 3. ‘범속성(凡俗性)’ 비판 ― 밀 3.1. 당신의 영혼은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다 3.2. 얄팍해진 도덕과 정신 4. ‘60년’의 헌신 ― 오언 4.1. 단순한 태도와 강인함 4.2.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 5. 젊은 망명객들과의 이질감 6. 바쿠닌 6.1. 집요한 사고의 재능 6.2. 사자가 걸음을 낭비하듯이 6.3. 바쿠닌과 게르첸의 공통점과 차이 6.4. 혁명가의 초연함과 천진함과 고독 보론 2: 게르첸과 마르크스의 관계 7. 인간과 역사와 자연에 대하여 7.1. 인간의 불합리성 7.2. 역사의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