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방철학

D. A. F. 드 사드
464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3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옮긴이의 말‥11 리베르탱들에게‥23 규방철학 혹은 부도덕한 선생들 젊은 처녀들의 교육을 위한 대화 첫 번째 대화 생탕주 부인, 미르벨 기사‥29 두 번째 대화 생탕주 부인, 외제니‥45 세 번째 대화 생탕주 부인, 외제니, 돌망세‥47 네 번째 대화 생탕주 부인, 외제니, 돌망세, 미르벨 기사‥170 다섯 번째 대화 돌망세, 미르벨 기사, 오귀스탱, 외제니, 생탕주 부인‥181 ‘프랑스인이여, 공화주의자가 되기 위해 좀 더 노력을’‥231 여섯 번째 대화 생탕주 부인, 외제니, 미르벨 기사‥337 마지막 일곱 번째 대화 생탕주 부인, 외제니, 미르벨 기사, 오귀스탱, 돌망세, 미스티발 부인‥341 |부록| 사드의 정치 저작 1. 한 프랑스 시민이 프랑스 국왕에게 보내는 글‥365 2. 자선시설 행정회의에 제출한 보고서‥379 3. 법을 비준하는 방식에 대한 생각‥385 4. 파리 지부에서 국민공회에 보내는 청원서 초안‥401 5. 파리 지부에서 국민공회에 보내는 청원서‥407 6. 피크 지부 상설 총회 의결 기록부 발췌문‥413 7. 피크 지부에서 샤랑트 앵페리외 도 생트 소재 자유와 평등의 협회의 형제와 동지들에게 보내는 편지‥421 8. 피크 지부의 시민이자 인민협회 구성원 사드가 마라와 르 펠르티에의 넋을 기리기 위해 본 지부가 마련한 축제에서 낭독한 논고‥425 9. 마라의 흉상에 부치는 시‥433 10. 피크 지부에서 프랑스 인민의 대표자들에게 보내는 청원서‥435 11. 피크 지부 상설 총회가 코뮌위원회에 보내는 편지‥441 |해설| 사드와 프랑스혁명‥45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포르투갈 시인 페소아는 수많은 이명(異名)을 갖고 시를 썼다. 단지 여러 필명으로 시를 썼던 것이 아니라 한 명 한 명에게 새로운 성격과 개성과 문체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그의 작품은 놀랍기 그지없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그는 한 생애 동안 여러 사람이 되어보고, ‘나’와 다른 수많은 인생을 살아본 것이다. 그러나 그런 노력이 페소아만의 것일까? 한 작가의 경험과 그 작가만의 문체로 표현되는 문학의 영역은 좁다. 작가는 나를 완전히 잊을 줄 알고, 그 무(無)에서 새로운 누군가를 상상하고 그려내고 결국 마치 현실 속에 실제하기라도 하는 사람처럼 만들 줄 아는 사람이다. 그런 문학 작품에서 우리는 한 명의 영웅, 한 명의 선인(善人), 한 명의 특이한 자를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나를, 우리를, 인류 전체를 발견해낸다. 그런 점에서 사드는 ‘이명’의 저자라는 점에서 페소아를 훨씬 앞선다. 그의 작품에서 일관된 문체, 통일적인 사상을 발견하기 어려운 까닭이 여기 있다. 먼저 작가로서의 야망을 가진 문인 사드가 있다. 그는 특히 극작가로 성공하고 싶어 했다. 돈과 명예가 따르는 일이어서만은 아니었다. 문학이야 말로 그를 감옥에서의 삶도, 프랑스혁명기에서의 삶도 견뎌내게 했던 유일한 분야였다. 그러나 문인이 되고자 하는 야망은 좌절되었고 그는 곤궁과 비난을 견뎌내지 않을 수 없었다. 프랑스혁명기에 대귀족의 후손이었던 그의 출신 성분이 의심되었다. 그가 혁명기 파리를 구성했던 마흔여덟 개 지부 중 한 군데였던 피크 지부에 참여하여 지부의장까지 지냈을 때 그를 혁명의 스파이로 의심했던 사람들이 있었다. 과연 사드는 20세기 초반의 급진적 예술가들의 시각대로 ‘혁명적’이었을까? 아니면 사드는 그저 타협했던 것일까? ≪규방철학≫은 공포정치를 지휘했던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그의 귀족신분과 정치적 온건주의가 문제가 되어 다시 옥살이를 했던 사드가, 폭군 로베스피에르가 실각하고 석방된 이후에 쓴 저작이다. 사드는 이 작품에서 몰락한 과거의 방탕한 귀족들을 규방으로 불러내어 그들 스스로 그들만의 ‘축제’를 열어준다. 그들은 한 젊은 처녀를 유혹하는데, 그들의 목적은 그녀의 육체뿐 아니라 정신까지 그들을 닮은 방탕한 자로 교육하는 데 있었다. 그들의 ‘이론’과 ‘실천’은 어리숙한 외제니를 쉽게 그들의 지지자로 만들고, 어쩌면 그녀는 그들보다 더욱 사악하고 더욱 방종한 자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끔찍한’ 이야기 뒤에 사드는 그가 창조한 귀족들이 얼마나 무기력한 존재인지 감추지 않는다. 그들의 악행과 범행은 그저 그들이 갇혀 있는 ‘규방’에서나 모의되는 것일 뿐이다. 그들은 혁명이 두렵고, 분노하는 민중을 끔찍해하면서도 어떤 행동도 하지 않고 할 수도 없는 무력한 자들이다. 사드는 ≪규방철학≫의 주인공들을 그렇게 조롱하고 있지만 결국 그 역시 그들과 다름없는 무력한 존재이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는 자신의 귀족 출신을 부정하는 걸까? 계급을 폐지하고 국왕을 끌어내 기요틴에 올린 혁명의 과격파와 민중의 편에 선 것일까? 확실히 아폴리네르와 20세기 초 초현실주의자들은 그렇게 믿었다. 그러나 사드는 어느 쪽에도 설 수 없었고, 어느 쪽도 믿지 않았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해석일 것이다. 과거는 이미 지나갔지만 미래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렇게 주저한 사람이 사드만은 아니었다. 사드는 구체제를 되돌리려고 하는 모든 반동적인 시도를 조롱했다. 그러나 구체제를 대체할 새로운 삶의 형식과 정치적 이상은 여전히 요원한 상태였다. ≪규방철학≫과 같은 해에 출간된 그의 ≪알린과 발쿠르≫에서는 어느 정도 그런 새로운 삶의 형식과 정치적 이상이 드러나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어느 쪽도 진짜 사드의 생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는 동시에 두 작가로 모순되기까지 한 자신의 입장을 드러냈으며, 이후 ≪누벨 쥐스틴≫, ≪쥘리에트 이야기≫, ≪사랑의 죄악≫에서는 또 다른 입장을 들고 나온다. 이것이 사드를 한 가지 이념으로 환원할 수 없는 이유이고, 바로 이런 이유로 사드를 그저 흔하디흔한 포르노 작가로, 혁명의 대변자이자 투사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사드는 18세기 말의 수많은 이념과 이상을 매번 다른 방식으로 제시했으며, 이것이 그의 문학이 여전히 살아남을 수 있는 원천이었음이 분명하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