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의 틈새

이금이 · 역사/소설
44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10명)
0.5
4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10명)
코멘트
더보기

이금이 작가의 ‘일제강점기 여성 디아스포라 3부작’ 완결판. 광복 80주년을 맞아 출간되는 『슬픔의 틈새』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을 깊이 있게 담아낸다. 주단옥, 야케모토 타마코, 다시 주단옥 그리고 올가 송까지. 이름과 국적이 몇 번이나 바뀐 80년의 세월 동안 숱하게 조국에게 배신당하면서도, 누구보다 간절하게 자기 삶을 개척해나간 ‘주단옥’이라는 인물의 일대기를 펼쳐 보인다. 온몸으로 역사를 끌어안고 살아낸 사할린 한인들의 이야기는 오늘날, 국가의 의미와 존재 이유를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소설은 1943년 3월, 단옥네가 고향 다래울을 떠나 남사할린(화태)으로 가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일본이 조선에 시행한 ‘국가총동원법’의 일환인 줄 모르고,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화태 탄광으로 떠난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를 찾아 먼 길을 떠난 가족들 그리고 고향에 남은 또 다른 식구들까지. 돌아오기 위해 떠난 이날의 여정이 영원한 헤어짐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다. 간신히 도착한 화태에서 아버지와 재회한 것도 잠시, 1944년 본토로의 ‘전환배치’라는 명령 하에 일본은 노무자들을 이중 징용하면서 또다시 가족들과 갈라놓는다. 속수무책으로 가족들이 헤어질 수밖에 없었던 건 비단 소설 속 단옥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1930년대 후반, 일제강점기 당시 사할린 한인 1세대들이 겪은 실제 역사다.

별점 그래프
평균 3.8(10명)
0.5
4
5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1부 세 개의 바다를 건너 1943년 흰 밤, 검은 낮 1943년 따뜻한 겨울 1943년 서늘한 여름 1944년 남겨진 사람들 1944년 뜨거운 여름 1945년 행렬 1945년 우글레고르스크 1946년 2부 귀환선 1946~1949년 다시, 시작 1949년 혼담 1950년 결혼 1951년 무국적자 1957년 3부 선택 1958년 갈림길 1 1960년 갈림길 2 1961년 얼어붙은 땅 1963년 마지막 잔치 1964년 슬픔의 틈새 1966년 4부 단옥, 타마코, 올가 1988년 무너지는 둑 1992년 뿌리 1 1995년 뿌리 2 1996년 1945년 8월 15일 1999년 심장의 반쪽 2000년 유언 2025년 작가의 말 참고 자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018년 IBBY 아너리스트 선정 2024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 글 부문 최종 후보 선정 이금이 작가의 ‘일제강점기 여성 디아스포라 3부작’ 완결판 출간! 광복 80주년, 국가와 사회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우리 역사의 목소리 누구보다 간절하게 삶을 살아낸 사할린 한인들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1940년 일제강점기 당시 일자리를 준다는 일본의 말에 속아 사할린으로 간 사람들이 있다. 돈을 벌어 오로지 식구들 세끼 먹이고, 자식들을 학교에 보내기 위해 계약 기간 동안만 잠시 떨어져 지내면 된다고 생각한 여정이었다. 하지만 사할린 탄광에서는 사망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났고, 월급도 들은 것과 달리 강제 저금 후 푼돈만 지급됐다. 저금된 돈은 계약 기간이 강제로 연장되어 행방을 알기 어려웠다. 일본이 조선에 시행한 ‘국가총동원법’으로 사할린에 간 사람들은 이후로 일본과 소련의 지배 아래서 조국으로 돌아갈 날만을 기다리며 무국적자로 살아야 했다. 소설 속 단옥네 이야기는 사할린 한인 1세대가 겪은 일이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출간되는 『슬픔의 틈새』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을 깊이 있게 담아낸다. 주단옥, 야케모토 타마코, 다시 주단옥 그리고 올가 송까지. 이름과 국적이 몇 번이나 바뀐 80년의 세월 동안 숱하게 조국에게 배신당하면서도, 누구보다 간절하게 자기 삶을 개척해나간 ‘주단옥’이라는 인물의 일대기를 펼쳐 보인다. 온몸으로 역사를 끌어안고 살아낸 사할린 한인들의 이야기는 오늘날, 국가의 의미와 존재 이유를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40여 년 동안 꾸준히 역사가 기억하지 않는 이들에게 시선을 둔 이금이 작가의 ‘일제강점기 여성 디아스포라 3부작’ 완결판 출간! 1984년 새벗문학상에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금이 작가는 올해로 41년째 작가의 길을 걸어오고 있다. 그동안 동시대 어린이, 청소년의 삶을 깊이 들여다보는 작품들을 발표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역사가 기억하지 않는 이들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며, 직접 취재해 문학으로 조명하는 일을 이어온 작가에게 ‘일제강점기 한인 여성 디아스포라 3부작’은 필연과도 같은 작업이었다. 작가의 첫 역사소설인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사계절출판사, 2016)는 10년 동안 작가가 마음속에 품어온 인물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일제강점기에 서로 다른 신분을 가지고 태어난 두 소녀가 주체적으로 자기 운명을 헤쳐나간 이야기는 국내뿐 아니라 영어, 일본어, 아랍어, 이탈리아어 판권이 수출되면서 해외 독자들에게도 큰 울림을 주었다. 이 작품으로 이금이 작가는 2018년 IBBY 아너리스트에 선정되었다. 더불어 2024년 한국 작가로는 처음으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 글 부문 최종 후보에 올라 ‘아동청소년문학의 정전이 동시대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할지’를 보여준다는 평과 함께 한국 문학의 위상을 굳건하게 했다.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로 시작한 ‘일제강점기 여성 디아스포라 3부작’은 『알로하, 나의 엄마들』(창비, 2020)에 이어 『슬픔의 틈새』를 마지막으로 출간 기준 9년 만에 완성된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출간되는 『슬픔의 틈새』는 단순한 역사소설이 아닌, 강제로 조국을 떠나야만 했던 사할린 한인들의 질곡 깊은 역사에 대한 존중이자 누구보다 간절하게 삶을 살아낸 이들을 위한 증언이다. “1945년 8월 15일은 조국이 해방을 맞은 날이지만, 사할린 한인들에게는 고향과 가족을 잃은 날이었다.” 소설은 1943년 3월, 단옥네가 고향 다래울을 떠나 남사할린(화태)으로 가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일본이 조선에 시행한 ‘국가총동원법’의 일환인 줄 모르고,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화태 탄광으로 떠난 아버지와 그런 아버지를 찾아 먼 길을 떠난 가족들 그리고 고향에 남은 또 다른 식구들까지. 돌아오기 위해 떠난 이날의 여정이 영원한 헤어짐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다. 간신히 도착한 화태에서 아버지와 재회한 것도 잠시, 1944년 본토로의 ‘전환배치’라는 명령 하에 일본은 노무자들을 이중 징용하면서 또다시 가족들과 갈라놓는다. 속수무책으로 가족들이 헤어질 수밖에 없었던 건 비단 소설 속 단옥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1930년대 후반, 일제강점기 당시 사할린 한인 1세대들이 겪은 실제 역사다. 사할린 한인들이 강제 징용으로 떠나온 남사할린은 원래 러시아 땅이었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이긴 일본은 사할린 남쪽의 통치권을 넘겨받아 40년간 지배했다. 당시 일본은 선주민이 부르던 이름에서 따와 남사할린을 가라후토라 명명했고, 조선인들은 한자 음대로 화태라 불렀다. 하지만 1945년 소련-일본 전쟁으로 남사할린은 다시 소련의 통치를 받았다. 몇 번이나 지배 체제가 바뀌는 동안 사할린의 한인들은 일본인도, 소련인도 당연히 조선인도 아니었다. 1945년 8월 15일, 조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사할린 한인들의 삶은 달라지지 않았다. 항구에서 귀국선을 기다리던 조선인들을 찾아온 건 살던 곳으로 돌아가라는 소련군의 명령 그리고 일본의 스파이라는 누명과 핍박뿐이었다. 고향으로 돌아갈 때 문제가 될까 싶어 무국적자로 살아온 사할린 한인들에게 8월 15일은 또다시 조국에게 배신당한 날이 되었다. 그 뼈아픈 시간들 속에서 한인들은 갈 수 없는 조국과 그곳의 가족들을 가슴에 묻고, 사할린에서 만난 사람들과 이웃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 시작한다. 거스를 수 없는 역사 앞에서도 매일 먹여야 하는 식구들의 끼니와 자라나는 자식들의 뒷바라지라는 현실은 하루도 빠짐없이 찾아오기에, 1세대 한인들은 슬픔에만 머물러 있을 수 없었다.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은 여성들의 삶은 함께 아끼고 보듬으며 나아가는 길이 얼마나 단단하고 경이로운지를 보여준다 이중 징용으로 만석을 떠나보낸 덕춘과 탄광 사고로 다리를 다친 정만을 대신해 생계를 이끈 치요. 오로지 살아남기 위해 무엇이든 해야만 했던 그녀들이 일궈온 터전을 딸들인 단옥과 유키에가 이어받으면서 소설은 당시 여성의 삶에 집중한다. 앞 세대가 그래왔듯이 다음 세대의 여성들 역시 조국과 타국에서 받은 숱한 배신과 비관을 안고, 한 번도 멈춘 적 없는 발걸음을 또다시 기약되지 않은 미래로 내딛는다. 소설은 그 길에 선 여성들의 일대기를 1940년에서 2025년까지의 시간으로 펼쳐 보인다. 당시 사할린으로 강제 징용된 노무자들 가운데는 한인들만 있던 것이 아니다. 소수의 관리직을 제외한 일본인들 역시 조선인과 비슷한 대우를 받는 노무자였다.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인이 많은 탄광 마을에서 유키에네는 결코 온전히 섞여 들 수 없는 존재였다. 일본인이면서 여성인 유키에는 단옥과는 또 다른 의미의 이방인으로 살아야 했다. 일본은 1946년에서 1949년 사이 사할린 내 자국민들을 귀환시키면서 일본 국적을 가진 사람으로 대상을 제한했다. 한 가족이었지만 유키에네는 일본인인 치요와 유키에만 귀환할 수 있었고, 치요와 정만 사이에서 태어난 두 동생들도 해당이 안 됐다. 이런 상황에서 유키에는 오히려 또래인 단옥에게 가족과 같은 유대와 정을 느낀다. 누구도 차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그 땅에서 단옥과 유키에는 서로에게 조선인과 일본인이 아니었다. 어느 순간부터 사할린에서 산 세월이 조선에서 지낸 시간을 넘어서고, 그들에게 사할린은 떠나야 하는 타국이 아닌 발 딛고 살아가는 터전이 된다. 그곳에서 두 사람은 함께 유년 시절을 보내고, 부모나 형제에게 말하지 못하는 비밀을 털어놓고, 결혼을 해 아이를 키우면서 울고 웃는 삶의 순간을 나눈다. 소설 속 여성들의 삶은 흔들릴지언정 어떤 상황에서도 결코 인간다움을 잃지 않으려 애쓴 모습으로 진한 울림을 전한다. 민족과 국적을 떠나 새로운 공동체로 살아간 두 가족은 사회적 소수자로서 함께 아끼고 보듬으며 나아가는 길이 얼마나 단단하고 경이로운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