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위한 힌트

기준영 · 소설
26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4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다미와 종은, 울지 않아요 … 7 나를 부르는 소리 … 41 여름의 목소리 … 71 헬레나의 방식 … 101 곽수산나와 경우의 수 … 129 신세계에서 … 155 부소니호텔, 가을 … 183 모든 이의 모든 것 … 201 해설 | 권희철(문학평론가) 은유하기 용서하기 … 231 작가의 말 … 263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나는 기준영 소설에 대한 열렬한 간증을 십 년 이상 시도했다. 기준영의 허밍을 들으면 삶이 무엇인지 조금 알 듯한 기분이다.” _김기태(소설가) “영원히 귀기울이고 싶은 소설 속 두런거림을 홀린 듯 듣는다.” _이다혜(『씨네21』 기자, 작가) 낯설고도 신선한 문체로 “문학은 스타일이다”(소설가 김남일)라는 심사평을 얻은 화제의 데뷔작 「제니」로 이름을 알린 이후, 그간 세 권의 소설집과 두 권의 장편소설을 펴내며 문단의 고른 지지를 받아온 소설가 기준영의 네번째 소설집 『내일을 위한 힌트』가 출간되었다. 주로 누군가가 찾아오거나 누군가와 우연히 만나면서 시작되는 기준영의 소설은 읽는 이가 예상하지 못한 전개로 놀라움을 주면서 삶의 비의와 기쁨을 동시에 안긴다. 그것은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그 이유로 때로는 불안하지만 때로는 기대치 못한 활력을 얻게 하는 삶 그 자체의 속성처럼도 느껴진다. 이와 더불어 눈앞에서 연극이 상연되는 듯한 생생한 대화, 가슴속에 간직하고 싶은 아포리즘 같은 문장 또한 빼놓을 수 없는 기준영 소설의 백미이다. “좋은 작품은 그냥 좋구나, 어떻게 좋은지 말로 설명할 수 없어도 좋구나”(소설가 윤성희)라는 평을 불러일으킬 만큼 매혹적인 기준영만의 단편 미학은 그렇게 이번 소설집에서도 빛을 발한다. “내가 누군가의 실패작이거나 농담인지, 아니면 그냥 인생이 원래 이토록 굽이굽이 시험에 드는 일”인지, “뭘 잘못했는지 뚜렷이 자백할 수 없는데도 자책해야만 하는”(「모든 이의 모든 것」, 216쪽) 상황에 놓인, 심란하게 꼬인 듯한 하루를 보낸 사람들에게 기준영의 소설은 ‘내일’을 맞이하기 위한 하나의 소중한 힌트가 되어줄 것이다. 『내일을 위한 힌트』는 우리가 그간에 읽어온 기준영 단편 미학의 모든 것이 담긴, 가히 ‘기준영스러움’의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집이다. “우리는 각별한 사람들이에요.” 사람과 사람, 그 사이에 놓인 투박한 돌덩이를 치워내 서로의 삶에 전환점을 만들어주는 아름답고도 산뜻한 단편들 소설집의 문을 여는 「다미와 종은, 울지 않아요」는 오래전에 연락이 끊겼지만 영 모르는 사이는 아니었던 고등학교 동창 ‘종은’이 ‘다미’의 집에 찾아오면서 벌어지는 일화를 그린 소설로, 이번 책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게 하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다미가 종은을 통해 “평소라면 신경에 거슬렸을 법한 집 안팎의 변화들”(11쪽)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인상적인 모습, 초반부에는 밝혀지지 않았던 다미, 종은의 남모를 아픔과 상처의 비밀이 드러나는 후반부의 반전이 그렇다. 무엇보다 언제 다시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게 된 다미와 종은이 나누는 결말부의 리드미컬한 대화는 “겹겹의 노래”(40쪽)처럼 읽는 이의 마음에 깊은 여운을 남긴다. 「나를 부르는 소리」는 “우연이 반복되면 거기 무슨 신호가 있다고 느끼게”(61쪽) 하는 매력적인 작품이다. ‘나’는 다친 숙부를 모시고 찾아간 밤의 응급실에서 우연히 한 남자를 만난다. 그에게서 숙부가 잠시 머무를 곳을 추천받게 되는데, 이후 인근 식당에서 또다시 우연히 그를 만난다. 그를 통해 ‘나’는 회사 일로 지치고 피폐해진 일상에서 뜻밖의 “평안”과 “평화”(69쪽)를 발견하게 된다. 「다미와 종은, 울지 않아요」와 「나를 부르는 소리」는 우리의 삶에 깊이 관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이라도 마음에 위안을 전해올 수 있다는 것, “나를 부르는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귀기울이는”(「나를 부르는 소리」, 68쪽) 자세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듯하다. “괜찮아질 거예요.” (……) 당신이 어떻게 알아요?” “알지 못하는 사람이 해줄 수 있는 최선의 말, 아닌가요.” _「나를 부르는 소리」, 67쪽 한편, 기준영의 소설에서는 ‘소리’라는 청각적 심상이 소설의 메시지를 은연중에 전하는 중요한 열쇠처럼 보인다. 「여름의 목소리」는 단독주택 이층으로 이사온 ‘흥경’이 주인공으로, 그는 아침마다 집 주변에서 “히콕히콕, 꺅꺅꺅, 스즈스즈부, 도이치도이치”(74쪽) 하고 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듣는다. 정확한 음도 뜻도 알기 어려운 이 독특하고도 경쾌한 새소리는 흥경이 비교적 허물없이 지내는 아랫집 집주인 모녀와 대화를 나누거나 전 직장 동료인 수빈과 만날 때에도 내내 배음처럼 울리면서 독자에게 묘한 자극을 준다. 그렇게 읽는 이의 귓전에 울리던 새소리는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흥경이 최근에 아버지의 죽음을 겪었고, 그와 관련된 남모를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진 순간 마치 “물건과 사람과 시간과 공간”을 “재배열”시키며 “단 한 번뿐인 계절들을 새로 살아가”(82쪽)게 하는 마법 같은 의미로 확장되며 읽는 이로 하여금 신비로운 체험을 하게 한다. 한편, 「헬레나의 방식」은 “예민하게 귀를 기울이는” 태도로 “신자들에게 인기가 높”(104쪽)은 ‘손민우 아우구스티노 신부’가 자신 앞에 나타난 초로의 여성 신자 ‘헬레나’의 고해성사를 듣는 이야기이다. 헬레나는 오래전 중학교 동창 ‘장온조’를 호감을 가지고 아홉 번 만났는데 어느 날 그가 자살로 추정되는 실족사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 헬레나는 장온조와의 아홉 번의 만남을 곱씹으며 자신이 무언가를 잘못하지는 않았는지 오래도록 죄의식을 간직해왔다가, 자신의 고백을 녹음기에 담아 아우구스티노 신부에게 건네는 방식으로 고해성사를 한다. 녹음기 속 헬레나의 음성은 그 자체로 읽는 이의 마음에 파문을 일으키는데, 신부가 자신의 집에서 홀로 헬레나의 고백을 듣고 나서 보속(補贖) 수여의 행동을 하지 않고 다만 기타를 연주하며 즉흥곡을 지어 부르는 모습은 무척이나 인상적이다. 죄를 사하거나 구원을 구하지 않음으로써 더 큰 울림을 주는 이 장면은 “미묘한 힘을 응축”한 “새로운 언어”(127쪽)의 용서처럼 느껴진다. ‘용서’가 누군가의 과거 행위를 없었던 일로 만들 수는 없겠지만, 과거의 행위가 누군가를 붙잡아 원한과 증오와 자책에 사로잡히게 한 것을 조금 느슨하게 해줄 수는 있을 것이다. 그가 과거의 행위를, 또 과거의 행위가 그를 서로 놓아줄 수 있게 도와줄 수는 있을 것이다. 과감하게 말해서 용서는 과거의 행위로부터 그 행위자를 해방시켜주는 것이다. _권희철, 해설에서 MBTI 앤솔러지 소설집 『저는 MBTI 잘 몰라서…』(잇다, 2023)에 수록되면서 먼저 독자를 만난 「곽수산나와 경우의 수」는 ‘곽수산나’ ‘은수’ 두 사람이 우연히 은수 아버지의 친구분을 만나러 가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로, 기준영 소설의 내용적, 형식적 특징을 뚜렷하게 살필 수 있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성향과 지향이 많이 다른” 두 사람이 “중첩”되는 “우연”(145쪽)을 겪으면서 그간에는 몰랐던 서로의 이면을 발견하고 그것을 거울삼아 현재 자기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는 점이 그렇다. 우정인 줄만 알았던 두 사람 각자의 마음이 사랑의 가능성으로 열리는 결말부는 이 소설을 귀엽고 사랑스러운 연애소설로 읽히게도 한다. “여행은 다른 시간을 살아보려고 하는 거잖아요.” 사뿐사뿐 춤을 추듯이, 흐르듯이, 미끄러지듯이 함께 떠난 여행지에서 발견한 기억할 이름들과 내일을 위한 힌트들 「신세계에서」와 「부소니호텔, 가을」은 함께 짝을 지어 읽으면 더욱 재미있는 일종의 여행기이다. 「신세계에서」는 고모 ‘이원’과 조카 ‘이열음’이, 「부소니호텔, 가을」은 엄마 ‘염세정’과 딸 ‘권보경’, 그리고 권보경의 친구 ‘원희지’가 그 주인공으로 두 작품 모두 “사람과 사람이 이어지는 타이밍”(「부소니호텔, 가을」, 199쪽)을 절묘하게 보여주면서 출발과 도착이라는 순환 속 삶이라는 찰나의 아름다움을 설핏 엿보게 하는 작품이다. 「신세계에서」에서 이원은 “‘가까운 미래’ ‘먼 미래’ ‘오지 않을 세계’ 같은 표현이나 관념에 ‘꽂혀’ 있는”(1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