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미학·철학과 춤 1. 무용미학의 역사와 개념 - 고전 철학 속 춤의 미학 - 18~19세기 발레와 낭만주의 미학 - 20세기 현대무용과 아방가르드 미학 2. 현대의 무용철학 - 현상학과 무용 - 기호학적 접근 - 정동 이론 3. 동시대 탈경계의 미학 - 신체와 미디어 - 탈경계적 춤 Ⅱ. 비평과 춤 1. 비평, 예술비평, 무용비평 2. 무용비평의 역사 3. 무용비평의 유형과 접근법 - 주요 유형 - 주요 접근법 4. 21세기 무용비평의 미래 - 온라인 플랫폼과 비평 - 인공지능과 자동화된 비평의 등장 Ⅲ. 인류학과 춤 1. 인류학과 무용인류학 2. 서구 무용인류학의 역사와 흐름 - 민족지 속 춤 - 학문으로서의 무용인류학 - 디지털 민족지의 수용 3. 주요 무용인류학자와 연구 사례 4. 무용학 속 무용인류학의 의미 Ⅳ. 문화연구와 춤 1. 문화연구의 역사와 동향 - 문화연구의 개념과 전개 - 문화연구의 주요 이론 - 무용학과 문화연구의 만남 2. 무용문화연구의 흐름과 주요 이론 - 퍼포먼스 이론과 춤 - 몸과 정체성 연구 - 글로벌 문화 속의 춤 3. 21세기 무용 문화의 변화 - 디지털 기술과 춤 문화 - 공간적 다양성과 춤 Ⅴ. 소매틱과 춤 1. 소매틱의 역사와 주요 이론 - 소매틱의 기원과 발전 - 소매틱의 주요 이론과 실천가 2. 몸의 인식과 움직임 탐구 - 감각과 움직임의 상관관계 - 소매틱 기반의 현대무용 훈련 - 신체-정신 연결의 철학적 의미 3. 치유와 춤 - 소매틱과 심리치료 - 장애와 춤 - 노년기와 춤 Ⅵ. 포스트휴머니즘과 춤 1. 포스트휴머니즘의 개념과 무용학적 의미 - 포스트휴머니즘의 정의와 철학적 흐름 - 춤의 포스트휴먼적 논의 2.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춤 실천 사례 - 인공지능(AI)과 알고리즘을 활용한 춤 - 로봇과 퍼포먼스 -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아바타,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3. 생태환경과 춤 - Blue Humanities와 춤의 유동 - 에코페미니즘과 춤의 정치 - 비인간 존재와 춤의 재해석 Ⅶ. 영미권 주요 무용학자와 비평가 1. 무용학 형성에 기여한 주요 학자 2. 주요 한국어 무용 이론서 및 번역본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