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밤 한 인간이 죽었다

품라 고보도 마디키젤라
331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5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저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임상심리학자로서 반아파르트헤이트 조직원을 변호했던 인권변호사들을 돕다가 1996년 진실과화해위원회에 합류하였다. 당시 위원회 구성원 중 유일한 흑인 여성이자 심리학자였다. 그는 희생자 가족들을 만나고 진실을 밝혀가면서 아파르트헤이트의 행동대장이었던 유진 드콕을 형무소에서 여러 차례 대면한다. 그리고 먼저 연민의 손길을 건넨다. 아파르트헤이트 학살에 대한 어린 시절의 기억에도 불구하고 그가 용기를 낸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용서가 전제되지 않으면 진정한 화해는 이뤄질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어쩌면 품라가 드콕의 손을 잡는 순간부터 용서의 기적은 이미 시작되고 있었을지 모른다. 품라는 용서하는 행위가 인간을 한 차원 높여 준다는 점을 역설한다. 뿐만 아니라 “용서하기로 한 결정은 희생자를 가해자의 소망에 대해 열쇠를 가진 자의 힘의 위치로 올릴 수 있다.”고 말한다. 가해자가 양심의 가책을 표현하기 시작한 순간, 희생자는 가해자를 인간 공동체로 들여보내는 권한을 가진 문지기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품라가 활동했던 진실과화해위원회는 가장 비극적인 현대사 중 하나였던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용서를 통한 ‘치유의 실험’을 해낸 것이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006 전 세계 언론 매체와 여러 인사들이 보여 준 이 책에 대한 호평 011 1 아파르트헤이트 현장 035 2 악의 화신과 만나다 083 3 방아쇠를 당긴 손 105 4 악은 진화한다 163 5 트라우마를 말하다 209 6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묵인 235 7 “내 마음속에는 증오가 남아 있지 않습니다” 271 에필로그 281 부록: 아파르트헤이트 약사 293 주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용서는 매우 새롭고 또 불편한 행위이다. 그럼에도 용서는 치유의 길을 열어 준다. 치유로 가는 여정에는 그만한 고통이 따른다.” 인간의 가장 숭고하고 고차원적인 행위, ‘용서’를 낱낱이 파헤친 책! 유진 드콕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저지른 잔인한 인종분리정책 아파르트헤이트의 행동대장이었다. ‘Prime Evil(악의 화신)’이라는 별칭이 그를 따라다니는 수식어였을 만큼 냉혹하고 기계적으로 살인을 저질렀다. 그는 국경을 넘나들며 수많은 반아파르헤이트 조직원들을 음해하고 죽음으로 몰아가는 살인공작을 진두지휘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가 종식되고 넬슨 만델라 대통령이 석방된 이후 학살의 상처를 봉합하는 진실과화해위원회(TRC)가 본격 가동되었다. 드 콕은 그 과정에서 212년 형을 받았다. 법원은 그에게 인류에 대한 범죄, 그 책임을 물었다. 저자 품라 고보도 마디키젤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임상심리학자로서 반아파르트헤이트 조직원을 변호했던 인권변호사들을 돕다가 1996년 진실과화해위원회에 합류하였다. 당시 위원회 구성원 중 유일한 흑인 여성이자 심리학자였다. 그는 희생자 가족들을 만나고 진실을 밝혀 가면서 유진 드콕을 형무소에서 여러 차례 대면한다. 그리고 먼저 연민의 손길을 건넨다. 아파르트헤이트 학살에 대한 어린 시절의 기억에도 불구하고 그가 용기를 낸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용서가 전제되지 않으면 진정한 화해는 이뤄질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어쩌면 품라가 드콕의 손을 잡는 순간부터 용서의 기적은 이미 시작되고 있었을지 모른다. 품라는 용서하는 행위가 인간을 한 차원 높여 준다는 점을 역설한다. 뿐만 아니라 “용서하기로 한 결정은 희생자를 가해자의 소망에 대해 열쇠를 가진 자의 힘의 위치로 올릴 수 있다.”고 말한다. 가해자가 양심의 가책을 표현하기 시작한 순간, 희생자는 가해자를 인간 공동체로 들여보내는 권한을 가진 문지기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독자는 마지막 책장을 넘기는 그 순간까지 학살에 가담한 가해자들을 용서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 이 세상에서 나와 매듭을 풀지 못한 누군가를 용서하는 새로운 장을 열어 줄 거라 확신한다. 이로써 품라가 활동했던 진실과화해위원회는 가장 비극적인 현대사 중 하나였던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용서를 통한 ‘치유의 실험’을 해낸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