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동아시아 지역사를 위하여 제1장 해금시기의 국가와 사회 1.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200년간의 평화 | 2. 문인사대부의 국가와 무사의 국가 | 3. 농민사회와 민란 제2장 세계시장의 확대와 지역질서의 변화 1. 유라시아 무역과 동아시아 | 2. 불평등조약과 국가의 위기 | 3. 개항장의 민중과 그 주변 제3장 국민국가를 향한 개혁과 혁명 1. 개혁구상의 지역연쇄 | 2. 국가체제의 전환, 개혁과 혁명 | 3. 근대화의 물결 앞에 놓인 민중 제4장 제국주의의 침략과 반제 민족운동 1. 청·일·러 세 제국의 패권경쟁 | 2. 반제 민족운동과 국제연대 | 3. 이중의 억압, 소수민족의 운명 제5장 사회주의와 민중운동 1. 사회주의 수용의 지역연쇄 | 2. 새로운 국민국가를 향한 모색 | 3. 도시화와 대중사회 제6장 총력전의 충격과 대중동원의 체계화 1. 파시즘의 침략과 총동원체제 | 2. 반파쇼 민족전선의 대항동원 | 3. 식민, 민족동화, 민족이산 제7장 냉전체제의 형성과 탈식민의 지연 1. 두 진영의 대립, 중국혁명과 미일동맹 | 2. 타율적 전후처리와 탈식민의 지연 | 3. 냉전 속의 열전과 갈등의 내면화 제8장 자본주의 진영의 산업화와 민주화 1. 전쟁특수와 경제재건 | 2. 개발독재, 성장과 분배의 거리 | 3. 민주화와 민중운동의 성장 제9장 사회주의 진영의 실험과 궤도수정 1. 신민주주의의 유산 | 2. 농민사회주의의 실험과 좌절 | 3. 개혁개방과 사회단체의 부활 제10장 탈냉전시대의 갈등과 시민운동 1.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군사대국화 | 2. 국가주의의 연쇄와 패권경쟁 | 3. 사회양극화와 시민운동 종장 평화와 민주주의 연대를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