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추천사 영어판 서문 서문 1장. 자급 관점의 역사 [어머니와 암퇘지 - 삶은 지속되어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자급 관점에 도달하게 되었는가? 자급 관점에 대한 수용과 비판 자급이란 무엇인가? 2장. 지구화와 자급 [나의 아버지 바이젠바움 교수와 ‘블랙홀’] 지구화된 경제라는 ‘블랙홀’ 여성, 자연, 이민족에 대한 식민화 지구화의 세 가지 국면 인간의 얼굴이 없는 지구화 북반구 여성들의 블랙홀 대혼란: 이론에서 종교로 자본주의 강령 대안적 관점의 필요성 새로운 자급 패러다임의 주요 특징 3장. 자급과 농업 아그네스와 리즈베스: 여성의 손에 달린 토지 땅, 자급의 기초 생산력의 발전 대 농경 우리는 땅에 의지해 먹고 살아야만 하는가? 독일에서의 소농 경제 파괴 소농 경제 [베스트팔리아 보르겐트라이히의 소농 경제] 개발에 대한 저항: 치아파스 농부들의 경우 [치아파스 소농들과 개발의 실패] 소농 연구의 기여 농부 여성과 자급 관점 유기농업: 낭비된 기회? 소농 경제, 지역화 그리고 자급 관점 [농업의 산업화에 찬성하지 않는 농부] 4장. 자급 관점과 시장 [유키탄의 여성 상인들 ] 자급과 시장의 관계는 모순적이지 않다 시장은 단지 시장이 아니다 여성과 시장 그리고 자급의 수호 시장 여성들의 저항 하나의 결론: 구매 행위는 정치적인 것이다 5장. 도시에서의 자급 [산업을 대체한 텃밭] 기생 도시 이미 시작되었다: 경험적 발견들 구체적인 유토피아로서의 자급 6장. 공유지 지켜내기, 되살리기, 다시 만들기 가축 사료로부터 쓰레기까지: 공유지 파괴와 EU의 농업정책 [공유지 지키기: 파푸아뉴기니의 사례] 남반구와 북반구 사이의 접점은 있는가 새로운 공유지와 새로운 엔클로저 북반구에서의 공유지 재발명 공유지, 여성 그리고 자연 공유지 다시 만들기: 자급 관점 7장. 임금 노동과 자급 [임금 노동 전과 후에도 삶은 지속된다: 과테말라의 레지스탕스 공동체들] 오늘날 과잉 산업화 국가에서 비임금 노동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임금 노동에 집착하는 사회 임금 노동 체제라는 이데올로기 남성에 대한 고착 우리는 임금 노동과 떨어져 살 수 있을까? 노동력의 자연화 중심과 주변 모두 종속되지 않는 자본주의란 없다 임금 노동 체제로부터의 해방 결론: 프리초프 베르크만에게 암소를 8장. 여성 해방과 자급 [‘이 모든 것이 페미니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젠더 관계에서의 평등, 정체성 그리고 차이: 여성운동이 여성을 해방시켰는가? 권력을 위한 투쟁 페미니스트 포스트모더니즘: 망각과 탈물질화의 이데올로기 여성 해방과 자급 관점 [다양성을 위한 다양한 여성들] 9장. 자급과 정치 타로 밭의 정치인가 남성의 집 정치인가? 자급의 정치화? 저항 없이는 자급도 없다! 자급 관점 없이는 저항도 없다! [마라구아의 여성들] 지금 여기서 자급 정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쾰른 최초의 여성 감자밭] [나야크리쉬 안돌론: 행복한 삶과 식량 보호를 위한 방글라데시 농민운동] 역자후기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