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시시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국제법의 역사를 집대성하다 김영석·7 제1장 상고시대 원시시대와 고대 오리엔트· 25 고대 그리스· 32 고대 로마 ··· 38 제2장 중세시대-서양 국제법의 장애물들· 51 국제법의 기원· 61 상법과 해사법· 68 신학 이론들 80 법이론: 영구적 평화를 위한 계획· 87 제3장 중세시대-동방 동로마제국· 97 러시아103 이슬람 106 서방과 동방의 만남: 영사· 112 제4장 근대, 30년 전쟁까지 기본적 요소, 서양과 동양 ·125 국가의 관행 · 134 이론적 발전 · 141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156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166 군사학자: 피에리노 벨리와 발타사르 아얄라 ·177 알베리코 젠틸리 181 휘호 그로티우스: 생애 193 휘호 그로티우스: 업적 201 제5장 웨스트팔리아 평화회의부터 나폴레옹 전쟁까지 웨스트팔리아 평화회의와 그 결과: 위트레흐트 평화회의 ·217 프랑스혁명: 나폴레옹 전쟁 · 222 오토만 제국 · 227 유럽 이외의 국가들 229 국가 관행: (A) 평화 시 ·231 국가 관행: (B) 전쟁 시 ·237 이론적 발전 ··245 국제법의 부정론자들 · 260 자연법 학자들 · 264 자연법 학자들(계속) ·277 초기 실증주의자들 ·288 후기 실증주의자들 ·303 제6장 빈 회의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주요 정치적 협정과 선언 ·321 성문법의 발전: 새로운 시대 · 335 통상 관련 사항에 관한 조약 345 국제사법과 사법 공조에 관한 조약 356 국제분쟁 361 전투행위의 인도주의화 372 제1차 세계대전 · 380 국제법의 이론: 실증주의적 경향 · 383 사변적 경향들: 국제사법 389 체계적 저서들: 학문의 조직화 ·398 제7장 베르사유 조약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평화조약들과 그 결과 413 평화조약과 관련되지 않은 국제법 발전 ·428 국제분쟁과 사법적 기구들 438 이론적 발전들: 학문의 조직화 ·449 소련의 관행과 이론 462 부록 I 국제법의 역사 편찬에 관한 연구 ·473 부록 II 그로티우스보다 에스파냐 스콜라 법학자가 우월하다는 스콧의 견해·483 찾아보기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