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들어가며: 감춰졌던 ‘읽기’의 세계를 찾아서 우리는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 마음이 망가진 독자들 뇌손상과 읽기장벽 ‘올바른 읽기’가 있다는 착각 우리는 아직 읽기를 모른다 1장. 문해력 신화 속 지워진 아이들 : 난독증 독자에게 타인은 지옥이다 왜 그 아이들은 읽지 못하는가 학교가 남긴 트라우마 움직이는 글자, 산만한 마음 시각 스트레스와 색을 통해 읽기 읽을 수 있다는 것은 기적이다 2장. 한 살에 책을 펼친 아이 : 자폐증이 드러내는 읽기와 감각의 관계 서번트증후군 독자를 둘러싼 오해 기억 신동들 “읽기는 읽었다, 이해는 못했지만” 사진기억, 표면 읽기, 과독증 책 읽는 즐거움 3장. 하루아침에 읽을 수 없게 된다면 : 실독증과 ‘읽는 존재’로서의 인간 사라진 읽기능력을 추적하다 읽는 척하기 최초의 실독증 연구 실독증을 극복하려는 노력 “나는 계속 싸울 것이다” 읽기의 빈자리에서 비로소 알게 되는 것 읽지 않는 시대의 읽기 4장. 모든 글자가 꽃처럼 피어난다면 : 공감각자는 같은 페이지를 다르게 지각한다 역사 속의 공감각 공감각자가 보는 풍경 머릿속에서 폭발하는 무지개 치킨너깃 맛이 나는 글자 읽기의 감각적 아름다움 5장. 영원히 꿈속을 헤매는 사람들 : 환각과 심상의 모호한 경계 모든 독자는 환각을 본다 읽기라는 한낮의 꿈 조현병, 망상, 편집증적 읽기 보이지 않는 글자를 보는 사람들 읽는 삶의 끝에서 6장. 읽기는 어떻게 삶이 되는가 : ‘나’의 바탕이 되는 기억과 서사 너무 많이 기억해도 읽을 수 없다 영원한 현재시제 치매도 무너뜨리지 못한 책의 위안 어둠 속에서 읽기 나는 여전히 독자였다 나가며: 나의 방식으로 읽고, 살고, 나아갈 것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