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집에서 보다

석영중님 외 2명
25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5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운영] 쥬라기 공원: 새로운 시작 소장 30% 할인_보드배너[운영] 쥬라기 공원: 새로운 시작 소장 30% 할인_보드배너

1849년, 도스토옙스키는 반정부 성향의 모임에 가담했다는 죄목으로 교수형을 선고받았다가 구사일생으로 감형되어 이듬해 시베리아에서 유형 생활을 시작한다. 그는 그곳에서 각양각색의 군상과 인간의 선과 악을 생생하게 마주하고, 인간과 세계에 대해 깊이 사유하고 갱생의 길을 찾아 나서는 계기를 맞는다. 이 결정적 체험은 1860년부터 잡지에 게재된 자전적 소설 『죽음의 집의 기록』에 고스란히 녹아들었으며, 그 속에는 이후에 펴낼 대작들의 모든 것이 이미 담겨 있었다. 냉랭한 오지의 감옥인 <죽음의 집>에서 본 것, 그러니까 소설의 화자인 고랸치코프가 본 것, 혹은 도스토옙스키가 본 것, 그리고 여기 한국의 연구자 네 명이 본 것을 차곡차곡 담아낸 이 책은 우리의 세계를 닮은 <죽음의 집>을 통해 인간의 선과 악, 갱생의 문제를 면밀히 검토한다. 도스토옙스키 연구의 권위자인 석영중 교수와, 그의 후학인 젊은 연구자들이 열정적으로 이뤄 낸 이 뜻깊은 결실은 국내에 전무하다시피 한 『죽음의 집의 기록』 연구의 귀한 성과를 전해 줌과 동시에 우리가 소홀히 한 진귀한 작품을 다시 살필 것을 권한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 석영중 『죽음의 집의 기록』 - 손재은 I. 육체의 굴레 - 손재은 옷과 글쓰기 / 벗을 수 없는 죄수복 / 의상의 영성 / 지옥에서 인간을 만나다 II. 악의 시간과 공간 - 이선영 악의 크로노토프 / 단테의 유산 / 목욕탕 / 소시오패스 / 침묵과 고독 / 거리 두고 바라보기 III. 죽음의 집, 지루한 집 - 김하은 슬픔의 집 / 지루함의 악 / 한낮의 악마 / 워커홀릭 / 일과 여가 / 초월적 권태 / 시간 없음 IV. 노예와 초인 - 석영중 니체의 오독 / 영원한 노예들 / 권력에의 의지 /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유 V. 영원을 보다 - 석영중 이콘의 눈 / 시선의 해방 / 시각적이고 동시적인 서사 / 수난의 표징 / 신의 바라봄 출전 참고 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도스토옙스키가 자신의 사유를 갱신하게 된 유형지에서의 체험을 담은 『죽음의 집의 기록』 1849년, 도스토옙스키는 귀족 청년들이 결성한 반정부 성향의 모임 <페트라 솁스키 서클>에 가담했다는 죄목으로 교수형을 선고받는다. 사형 집행 직전에 등장한 황제에게서 감형받은 도스토옙스키는 시베리아에서 유형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는 그곳에서 각양각색의 군상과 인간의 선과 악을 생생하게 마주하고, 인간과 세계에 대해 깊이 사유하고 갱생의 길을 찾아 나서는 계기를 맞는다. 이 결정적 체험은 1860년부터 잡지에 게재된 자전적 소설 『죽음의 집의 기록』에 고스란히 녹아들었으며, 그 속에는 이후에 펴낼 대작들의 모든 것이 이미 담겨 있었다. 『죽음의 집의 기록』은 <죽음의 집>인 시베리아 감옥에서 10년을 보낸 고랸치코프라는 인물이 남긴 수기의 형식으로 쓰인 소설이다. 서문에서는 한 시베리아 거주인인 편집자가 고랸치코프를 회상하며 그의 죽음 뒤에 발견한 노트를 펴내는 것임을 알린다. 귀족 계급인 고랸치코프는 감옥에 들어와 갖가지 야만적인 죄수들, 뉘우칠 마음이 전혀 없는 중범죄자들과 종일 부대끼며 살게 된다. 그는 지옥 같은 현실에서 인간에 대한 환멸을 느끼지만 악이 외려 평범하게 느껴지는 그곳에서 인간의 다면적인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렇게 감옥에서의 하루하루가 반복되고 10년이 흘러 출옥하는 고랸치코프가 하고 외치는 장면으로 수기는 끝을 맺는다. 이후의 대작을 예고한 작품을 읽어 내는 면밀한 시선들 도스토옙스키 자신의 유형지 체험이 생생하게 담긴 이 소설은 그가 인간이 저지르는 온갖 악을 적나라하게 마주하면서도 단순히 인간에 대한 환멸에 이르지 않기 위해 노력한 산물이기도 하다. 유형지 체험은 도스토옙스키에게 악의 민낯을 지치도록 보게 했지만 한편으로 그런 속에도 인간다움이나 선한 의지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다. 석영중 교수는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세계에서 유형 생활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86면) 그리고 『죽음의 집의 기록』에는 바로 그 <해결의 씨앗>이 담겨 있었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세계에서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띠는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4대 장편으로 꼽히는 그의 대표작들처럼 주목받지는 못했다. 석영중 교수와 젊은 연구자들은 의기투합하여 몇 달간 이 작품을 열정적으로 읽으면서 그 속에 담긴 의미들을 조목조목 짚는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속에서 의복이 드러내는 바를 짚은 손재은 씨의 글로 시작해, 시베리아 감옥과 목욕탕이라는 악의 크로노토프를 분석한 이선영 씨와 아케디아(권태)와 악이 어떻게 이어져 있는가를 살펴본 김하은 씨의 논의를 거쳐 니체의 오독과, 그로 인해 탄생한 <초인> 개념이 도스토옙스키의 주제와 어떻게 대치되는지를 석영중 교수가 짚어 낸다. 마지막으로는 『죽음의 집의 기록』이 신의 바라봄을 흉내 낸 이콘의 논리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왜 이 작품이 <한 폭의 거대한 서사적 이콘>인지를 석영중 교수가 심도 깊게 논의한다. 냉랭한 오지의 감옥인 <죽음의 집>에서 본 것, 그러니까 소설의 화자인 고랸치코프가 본 것, 혹은 도스토옙스키가 본 것, 그리고 여기 한국의 연구자 네 명이 본 것을 차곡차곡 담아낸 이 책은 우리의 세계를 닮은 <죽음의 집>을 통해 인간의 선과 악, 갱생의 문제를 면밀히 검토한다. 도스토옙스키 연구의 권위자인 석영중 교수와, 그의 후학인 젊은 연구자들이 열정적으로 이뤄 낸 이 뜻깊은 결실은 국내에 전무하다시피 한 『죽음의 집의 기록』 연구의 귀한 성과를 전해 줌과 동시에 우리가 소홀히 한 진귀한 작품을 다시 살필 것을 권한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