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전쟁으로 무참해진 폐허 속에서 찾아낸 인간애적 사랑과 진실!”
뵐의 첫 장편소설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Und sagte kein einziges Wort》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프레드 보그너 Fred Bogner와 케테 보그너 Käte Bogner 부부가 겪는 어려운 부부생활, 즉 주거의 곤란과 생활비 부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외형적으로는 그리 방대하지 않지만, 아주 평범하고 일상적인 생활을 격앙되지 않고 한결같이 조심스러운 언어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뵐은 이 작품에서 자신의 직접적인 체험으로 인해 얻은 소재를 주인공의 내적 독백을 통해 객관화시키는 동시에, 전쟁에 의해 파괴된 도시가 어떻게 보이는지, 인간들이 파괴된 도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과도기적 상태와 절망감을 어떻게 대수롭지 않게 견뎌낼 수 있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또한 물질적인 곤란과 위협적인 믿음의 상실로 인한 위기를 부부의 사랑과 믿음으로 극복하는 과정을 다룬다. 파괴된 도시에서 삶의 의욕을 잃은 군상들의 안식처는 결국 단란한 가정임을 암시하는 동시에 비참한 현실 사회의 퇴폐성과 허위를 해부하면서 절실한 인간애의 고귀함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가난과 믿음의 상실로 맞닥뜨린 위기를
부부의 사랑과 믿음으로 극복하는 과정을 다룬 아름다운 이야기!
하인리히 뵐의 소설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는 쾰른 시를 배경으로 1950년경 전후사회의 재건 과정에서 생겨난 문제점을 보그너 부부의 시각에서 파헤친 작품이다.
뵐은 자신이 즐겨 취급하는 주거·종교·결혼 등의 테마가 기초가 된 이 소설에서 전쟁과 전후 경제 기적의 과정에 나타난 가톨릭교회의 위선과 부의 불균등한 분배와 인간성의 상실 문제 등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전체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홀수 장은 남편 프레드의 관점으로, 짝수 장은 아내 케테의 관점에서 자신들의 내력과 외적 고통을 번갈아가며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10장에서부터 12장의 일부에서는 두 시각이 같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만나고 있으며, 또한 두 사람이 함께 대화를 나누는 부분에서 두 시각이 서로 교차한다. 이와 같이 두 시각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이 이 작품의 클라이맥스를 이룬다.
왜냐하면 작품의 초반에서 이들은 주말에 만날 것을 약속하고는 각기 서로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가 10장에서 만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은 여기에서 대화를 통해 부부생활에 관한 자신들의 생각을 직접 주고받고 있다.
두 주인공의 체험을 적절히 적용하여, 남편인 프레드를 통해서 그의 사회적 관계와 돈벌이의 문제를, 부인인 케테를 통해서 가정교육과 가정살림 그리고 이웃관계 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소설은 평범하지만 아주 신랄한 이야기 방식으로 많은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있다. 그리고 두 주인공의 체험을 적절히 적용하여, 남편인 프레드를 통해서 그의 사회적 관계와 돈벌이의 문제를, 부인인 케테를 통해서 가정교육과 가정살림 그리고 이웃관계 등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