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옛 궁궐의 문지기들을 위하여 1부 어젠다 키핑을 생각하다 1장 프리퀄: ‘2012년 S그룹 노사전략’ 대한민국의 앵커는 무슨 휴대폰을 써야 하는가 / “손 사장, 그거 내보낼 수 있어요?” / “뱉어놓은 말이 있으시니…” / 어젠다 키핑의 프리퀄 2장 그 배, 세월호 팽목항으로 간 날은 오바마가 온 날이었다 / 노란색 꽃잎들 / 진혼사 / ‘나라면 어땠을까’ / ‘기레기’의 기원은 / 다이빙벨은 ‘지푸라기’와도 같았다 / 칠흑의 바다에 막내를 묻고 / “열달을 품어서 낳았는데…” / 인간의 얼굴을 한 저널리즘 / 바다에서 온 편지 / 유병언 근영 / “우리를 절대 용서하지 마소서!” / “사장이 날 잊어버렸나봐요” / 어젠다 세팅 못지않게 어젠다 키핑이 중요하다 3장 태블릿PC, 스모킹건으로 연 판도라의 상자 경비견 / 형광등 / 배신 / 오장육부 / 정모 양 / 게이트키퍼 / 스모킹건 / 사망한 백남기 농민이 태블릿PC 보도를 늦추다 / 폭발 / 공포 / ‘저널리즘을 위해 운동을 할 수는 있어도…’ / ‘길라임’이 ‘길라임 보도’를 늦추다 / ‘조작설’의 시작? / 그들만의 ‘존재의 이유’ / “진실은 단순해서 아름답다” 4장 대통령 선거는 불꽃놀이가 아니다 불꽃놀이 / 에리카 김이라는 나비 / “MB가 당선되면 손석희는 끝이다” / “박근혜 후보가 인터뷰하겠답니다” / “시간을 일주일만 앞으로 돌릴 수 있다면…” / 고구마 인터뷰 / 통섭이란 / “마주 보고 토론하시지요” / “손 선배는 빠지랍니다” / 마지막 토론 / 거기에 불꽃놀이는 필요 없었다 5장 미투, 피할 수 없는 빈 공간에 서지현의 이름을 넣다 / 그가 대답했다. “그것을 깨닫는 데에 8년이 걸렸다”고 / 김지은이라는 이름을 듣다 / 그에게 물었다. “거부하지는 않았느냐”고 / 세상의 변화는 조화로움 속에서만 오지 않는다 6장 우리는 평양에 가지 않았다 우리 집에는 북한 텔레비전이 나왔다 / “손석희가 평양으로 간다” / “손석희 선생이랑 잘하는 것 같은데 왜 그렇게 질문하오!” / 평양을 가려 하다 / “바람에 따라 돛을 바꿔 다는 사람이 아니어서…” / 화살, 시위에 얹다 / “이번 방문은 판을 깨러 가는 게 아닙니다” / 바람은 불어오지 않았다 2부 저널리즘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1장 공영방송에서 종편으로 공영방송의 사나운 운명 / 먼 곳에서 들려온 북소리 / JTBC에 세번 첫 출근 하다 / 세가지에 더해 ‘품위’를 넣은 것은 / “언론계 선후배지간에 밥은…” / 로봇물고기를 위하여 / 소셜테이너 / ‘노래’에게도 모욕적인… / 예정 또는 예감 / 케임브리지의 날씨는 맑았다 / 이적 전야 / “온 놈이 온 말을 하여도…” / 한 지붕 두 가족? / 장사의 도구 2장 저널리즘에서 운동으로? “돌아오라, 손석희!” / ‘기레기’ 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면 / 우리의 숨은 더 가빠질 것이다 / ‘…운동을 위해 저널리즘을 하진 않는다’ 3장 레거시에서 디지털로 “텔레비전은 나의 생애 안에서 태어나고 스러져간다” / 다음인가 네이버인가 / 포스트트루스 시대? / 부수적 피해 / 권위도 스러져간다. 한 생애 안에서… 4장 코너를 돌면 새로운 저널리즘이 보인다 기원은 큰빗이끼벌레였다 / 인문학, 그리고 수미상관법 / “노회찬에게 작별을 고합니다” / “한놈만 미안하다고 해라… 한놈만…” / ‘바람은 언제나 당신의 등 뒤에서 불고…’ / ‘안 함. 다들 아파서…’ / 천번을 더 바로잡아도 / 야사 기자 /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것은 / “내일 날씨는…” / 시대는 변한다 / 이주일의 「젊음의 음악캠프」 / 카리브에서 온 편지 5장 저널리즘의 선한 설계를 위해 “한두번도 아니고 지속적으로 기사를 가로채는…” / ‘장사’를 포기한 뉴스 / “손 사장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 짜릿한 시작, 고통스러운 지속 / 민주주의, 인본주의, 합리적 진보, 그리고 악어 떼 에필로그 뉴스룸을 떠나다 “손석희 씨! 다시 들어가야겠어!” / 시한부 / 다시 먼 곳에서 북소리가 들려왔다 / 독배 / fare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