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케스의 서재에서

탕누어
488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8(19명)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19명)
대만의 문화평론가이자 출판인이기도 하고 직업이 독서가라고 서슴없이 밝히는 탕누어가 저자이고 중국 문학을 앞장서 소개해온 김태성 선생이 책임 번역을 맡았다. 책 읽는 방법을 가르치겠다고 쓴 책은 아주 많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부류가 아니다. 곧 이순耳順의 나이에 이르는 저자가 반세기에 걸친 집중적인 책읽기로부터 얻은 지혜와 소회, 질의와 한탄, 유머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을 옛날이야기 하듯 들려주는 일종의 토로다. 마르케스의 소설 <미로 속의 장군>을 줄거리로 하여 진행되는 책과 책 읽기에 관한 탕누어의 모든 사유 및 이야기는 상상의 산물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친 실천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특별하고 재미있지만 다소 뇌를 지치게 만들 수도 있을 만큼 촘촘한 사유를 보여준다. 타이완 지식인의 높은 수준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책이다.
별점 그래프
평균3.8(19명)

저자/역자

코멘트

3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의 타성을 깨는 ‘도끼의 독서론’ 타이완 최고의 독서가가 마르케스와의 내밀한 교감 속에서 안개 자욱한 독서의 미개척지를 밝히다 묵직하고 아름다운 독서론 『마르케스의 서재에서』가 출간되었다. 대만의 문화평론가이자 출판인이기도 하고 직업이 독서가라고 서슴없이 밝히는 탕누어가 저자이고 중국 문학을 앞장서 소개해온 김태성 선생이 책임 번역을 맡았다. 책 읽는 방법을 가르치겠다고 쓴 책은 아주 많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부류가 아니다. 곧 이순耳順의 나이에 이르는 저자가 반세기에 걸친 집중적인 책읽기로부터 얻은 지혜와 소회, 질의와 한탄, 유머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을 옛날이야기 하듯 들려주는 일종의 토로다. 마르케스의 소설 『미로 속의 장군』을 줄거리로 하여 진행되는 책과 책 읽기에 관한 탕누어의 모든 사유 및 이야기는 상상의 산물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친 실천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특별하고 재미있지만 다소 뇌를 지치게 만들 수도 있을 만큼 촘촘한 사유를 보여준다. 타이완 지식인의 높은 수준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의 대표 번역자인 김태성 선생은 옮긴이의 글에서 “개인적으로 이 책이 지금까지 번역한 100권 남짓 되는 책들 가운데 가장 작업하기 힘들었지만 다른 어떤 책보다 더 황홀하고 아름다우며 배울 것이 많았다고 단언한다”라고 말할 정도다. ‘전문 독자professional reader’ 탕누어는 누구인가? 이 책의 저자에 대해 좀 더 얘기할 필요가 있다. 망고 빙수와 딩타이펑鼎泰? 음식점으로 잘 알려져 종일 한국과 일본의 관광객들이 몰리는 타이베이 용캉제永康街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오른쪽에 2층 카페가 하나 있다. 이 책의 저자 탕누어가 자신의 아내이자 타이완에서 최고의 명성을 누리고 있는 소설가 주톈신과 함께 매일 출근하는 공간이다. 탕누어가 카페에서 일하는 건 맞지만 카페 직원은 아니다. 좁은 집에서 온 가족이 다 작가인 여섯 식구가 함께 살다보니 두 사람에게는 고정된 책상이 없어, 대신 이런 공간을 작업실 삼아 주 5일 아침 열 시부터 오후 다섯 시까지 ‘출근’하여 일을 하는 것이다. 그가 주로 하는 일은 책 읽기다. 직업이 독자이기 때문이다. 애당초 명함도 없지만 누군가가 직업이 뭐냐고 물으면 그는 서슴없이 ‘전문 독자professional reader’라고 대답한다. 책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사유하는 것, 그 사유를 바탕으로 꼭 써야 하는 글을 쓰는 것이 그의 일이다. 이른바 ‘학자’가 할 일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탕누어의 책 읽기와 사유, 실천의 무대는 대중이라 공간의 제한이 없다. 책 읽기와 사유는 다분히 개인적인 행위이지만 이런 개인적 행위는 사회적으로 소통될 때만 의미를 갖는다. 지식과 사유의 담지체인 책이 갖는 의미와 다르지 않다. 요컨대 지식과 사유는 시공의 제한이 없어야 한다. 지식과 사유는 흐르는 물과 같아서 어딘가에 갇히고 고이면 썩기 시작한다. 썩어서 쓸모없는 지식과 사유가 지배하는 사회는 어떤 곳일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와 비슷하지 않을까? 탕누어가 책을 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는 대학의 울타리 안에 갇혀 아주 좁은 범주 안에서 ‘지식을 위한 지식’을 복제하고 그다음 단계는 전혀 생각하지 못하는 직업 교수들과 달리 대중을 향해 완전하게 열린 지식과 사유의 소통을 지향한다. 그럼에도 그는 타이완을 비롯한 중화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공공 지식인의 한 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제적인 문학상과 영화제의 심사위원석에서 종종 그를 만날 수 있는 이유다. 『마르케스의 서재에서』는 어떤 책인가 애초에 저자는 사람들이 책을 읽으면서 부딪치는 여러 문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독서와 시간’ ‘독서와 기억’ ‘독서의 방법과 자세’ ‘독서의 전문성’ ‘마흔 이후의 독서’ ‘독서의 곤혹스러움’ ‘소설 읽기’ 등이 그러한 문제들이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애초의 계획대로 되지 않았다. 책을 쓰는 과정에서 저자는 “독서를 관통하고 있는 거대하고 본질적인 곤경을 피할 수는 없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러고는 몇 년 동안 써온 글을 모두 버렸다. 이 책은 그 이후에 다시 쓴 것이다. 이전과 완전히 다른 형식을 찾아, 자신을 낯선 글쓰기의 형식 안에 몰아넣고 이런 방식을 통해 과거에는 불러낼 수 없었던 어떤 것을 불러내고자 시도했다. 이것이 바로 마르케스의 소설 『미로 속의 장군El general en su laberinto』이 이 책에 대해 갖는 의미이자 이 책에서 담당하는 역할이다. 이 책은 총 14개의 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저자는 장이 시작 부분에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아름다운(그러나 극도로 절제된) 글을 배치했다. 그것이 자신을 이끌어가게 하려고 시도했다. 마르케스의 글이 때로는 줄처럼 손을 뻗어 보일 듯 말 듯 희미한 사유의 길을 가리켜주기도 했고, 때로는 무정하게 어느 먼 곳으로 달아나 반짝반짝 빛을 뿌리면서 내가 포위를 풀고 길을 찾아 자신과 합류하도록 유인하기도 했다. 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저 따스하고 선한 마음만 던져주었다. 하나의 ‘세계’를 제시해주었다. 수풀이 우거진 길 위에서 앞을 향해 나아가는 저자에게 카리브 해의 자유로운 해풍을 불어넣어주고 마그달레나 강이 가져다주는 죽음의 신선한 비린내와 콸콸 흘러가버린 시간을 계산하는 소리를 듣게 해주기도 했다. 『미로 속의 장군』은 저자가 의지하는 의지처였고 동시에 글쓰기가 술술 풀려나오게 물꼬를 터주는 마중물이었다. “나는 직감적으로 ‘독서’라는 행위와 거리가 아주 가까운 양서, 예컨대 문학이론이나 논설 같은 책은 선택하지 않는다. 내가 직감적으로 희망하는 것은 소설이다. 내게는 어떤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뭔가 구체적이고 독특한 것, 경험의 재료와 디테일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결국 나는 어느 정도 상상에 의지하고 호소하는 수밖에 없었다. 이를 통해 독서라는 행위의 근본적인 곤경에 대한 사유의 공백에 대항해야 했다. 그리고 상상은 실체의 세계 안에 살아 있었다.” _ 8쪽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