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부 고대와 중세의 토대: 데코룸에서 쿠르투아지까지 1장 꼴사나운 사람의 특징: 테오프라스토스의 《성격의 유형들》 2장 서양 매너의 이론적 시원: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 3장 기사도의 이상과 현실: 《유아서》와 식탁예절 4장 계급별 구애법: 궁정 사제 앙드레의 《사랑의 기술》 5장 엘리트 예법의 핵심: 카스틸리오네의 《궁정인》 2부 예절과 교육의 결합: 시빌리테의 시대 6장 시빌리테의 혁명성: 에라스뮈스의 《소년들의 예절론》 7장 습관의 중요성: 존 로크의 《교육론》과 굿 브리딩 8장 애타는 부성과 좌절: 체스터필드의 《아들에게 주는 편지》 9장 재산 상태 파악이 급선무: 장 게이야르의 《유학 후 고향에 잘 적응하는 법》 3부 영국식 예절의 탄생: 폴라이트니스의 세기 10장 영국적 매너의 핵심: 폴라이트니스 11장 젠틀맨의 조건과 젠틀맨다운 매너: 대니얼 디포의 《완벽한 영국 젠틀맨》 12장 중간계층 청소년의 매너: 《품격 있는 아카데미》 13장 벼락출세한 사람이 갖춰야 할 태도: 《매너 있는 사람》 14장 예의 바른 편지쓰기: 새뮤얼 리처드슨의 《특별한 친구에게 쓰는 편지》 4부 19세기의 퇴행?: 매너에서 에티켓으로 15장 소사이어티의 탄생: 배타적인 상류사회와 회원제 클럽 16장 에티켓북의 유행: 사소하고 하찮은 규범들 17장 더 폐쇄적인 공간으로: 드로잉룸과 디너파티의 중요성 18장 왕실의 존재감: 궁정예법과 중간계급 헤게모니 신화 5부 에티켓의 전파: 특화된 매뉴얼의 등장 19장 쇼핑 에티켓: 소비사회의 도래와 새로운 쇼핑 공간들 20장 자선 방문 에티켓: 빈민 구호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 21장 전문직업군의 에티켓: 의사와 제약회사 영업사원 22장 세계 속의 영국 신사: 식민지 에티켓 6부 계급에서 개인으로: 20세기 에티켓의 특징 23장 새로운 공간에서의 에티켓: 자동차, 비행기, 병원 24장 직장여성을 위한 에티켓: 면접에서 직장 늑대 대처법까지 25장 섹스 에티켓: 관계의 기술부터 ‘게이 가이드라인’까지 26장 지극히 개인적인 에티켓들: 베이비 파티에서 파혼 공지까지 나가며 본문의 주 참고문헌 이미지 출처 및 소장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