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들어가기
1장 시와 조사
시에서 조사가 중요한 것은
〈봄 2〉 이병기
조사의 기능
°자리 기능
〈물 이야기〉 이규리
°의미 부가 기능
| 생략할 수 있는 조사와 생략하면 안 되는 조사
〈단풍〉 김강호
2장 격조사
격조사란
°격조사와 보조사
〈봄에 부는 바람〉 박용철 • 〈목련꽃〉 최봄샘
주어와 주격조사
°주어의 성격
°주격조사의 형태
°주격조사의 특징: 현장감과 사실감
〈낙화〉 조지훈
°주격조사의 높임
〈임께서 부르시면〉 신석정
°주격조사의 특별한 사용법
〈그대가 보고 싶을 땐〉 최춘자
보어와 보격조사
〈꽃〉 김춘수
목적어와 목적격조사
〈광야〉 이육사
관형어와 관형격조사
〈산〉 이형기
부사어와 부사격조사
°부사격조사의 종류
°‘에’
〈거리의 봄〉 심훈
°‘에’와 ‘에서’
| ‘에’ 살 것인가, ‘에서’ 살 것인가!
〈산유화〉 김소월
°‘로’
〈빛〉 이광수 • 〈우리가 물이 되어〉 강은교
| ‘에’와 ‘로/으로’의 용법 차이
〈맑은 소리〉 김사인
°‘에게’
〈바람과 노래〉 김명순 • 〈목욕탕〉 권환
| ‘에게’의 높임말 ‘께’
| 높이는 명사
| 높이는 동사
〈코스모스〉 김사인
°‘더러’
〈내 가슴에 장미를〉 노천명
°만큼
〈마려운 사람들〉 신동엽
서술어와 서술격조사 ‘이다’
〈촛불〉 황금찬 • 〈자유〉 김남주
| “여보, 쌀은 전라북도래요.”
독립어와 호격조사 ‘야/아’, ‘여/이여’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 〈빈집〉 기형도
| 보조사로도 쓰이는 ‘야’
〈떠나가는 배〉 박용철
3장 접속조사
접속조사란
°접속조사 와/과
〈자유〉 조병화 • 〈하늘〉 오세철
| 중의적 표현
4장 보조사
보조사의 언어, 한국어
‘은/는’
°주제어 제시 기능
〈이별은 미의 창조〉 한용운
| ‘은/는’의 신기한 기능
°주격조사 대체 기능
〈모닥불〉 안도현 • 〈대추 한 알〉 장석주
°대조, 강조 기능
〈청포도〉 이육사
°목적격조사 대체 기능
〈강우降雨〉 김춘수
°조사 뒤에서 의미를 덧붙이는 기능
〈작은 부엌 노래〉 문정희
°어미 뒤에서 의미를 덧붙이는 기능
〈보리수 밑을 그냥 지나치다〉 한혜영
보조사 ‘도’
〈풀꽃〉 나태주 • 〈까치밥〉 송수권
보조사 ‘만’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 〈들국〉 김용택
| 보조사 ‘마는’의 준말인 ‘만’
| 의존명사로 쓰이는 ‘만’
‘까지’와 ‘마저’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 〈직녀織女에게〉 문병란
‘조차’
〈바라춤〉 신석초 • 〈병원〉 윤동주 • 〈밤〉 김소월
‘나/이나’
〈연보〉 이육사 • 〈정치〉 최병두
| 보조사 ‘나’와 접속조사 ‘나’
보조사 ‘들’
〈파장罷場〉 신경림 • 〈꽃〉 유치환
〈새벽이 올 때까지〉 윤동주
| ‘들’의 여러 용법
5장 시와 어미
시에서 어미가 중요한 것은
〈보리피리〉 한하운 • 〈향수〉 김상용
어미의 분류
°연결어미
°종결어미
°전성어미
°선어말어미
°어미 익히기
〈그리움〉 한숙자 • 〈창〉 이병기
6장 연결어미의 쓰임새
연결어미의 분류
대등적 연결어미
°‘-고’
〈새로운 길〉 윤동주
°‘-며’, ‘-면서’
〈나의 집〉 김소월 •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나’
〈이제 오느냐〉 문태준
| ‘-나’의 특별한 용법
종속적 연결어미
°‘-면’
〈상한 영혼을 위하여〉 고정희
°‘-니’
〈집을 나간 아내에게〉 황규관
| ‘-니’와 ‘-니까’
°‘-므로’
〈당신을 보았습니다〉 한용운
°‘-어/-아’, ‘-어서/-아서’
〈대숲에 서서〉 신석정 • 〈나의 꿈〉 한용운
°‘-어도/-아도’
〈산〉 함석헌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