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월 새해 인사_ 유전자는 생명의 레시피 곰의 자식은 반드시 곰이 된다? _ 부모의 특징이 자식에게 전해진다 DNA의 이중나선 구조와 유전정보의 전달 과정 _ DNA는 단백질의 암호 게놈은 설계도가 아니다 _ 수정란 안의 게놈에서 하나의 생명이 시작된다 _ 게놈은 ‘설계도’인가, ‘레시피’인가 _ 레시피를 보면서 요리를 상상한다 ◼두근두근 호기심 칼럼 _ DNA는 어떻게 복제될까? ● 2월 밸런타인데이_ ‘인간게놈 해독’으로 알게 된 것들 게놈을 읽어내다 _ 게놈을 해독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_ A-T-G-C의 순서를 어떻게 알아낼까? _ 해독 속도의 눈부신 발전 _ 인간게놈 해독의 드라마 인간의 게놈이 다른 생물의 게놈과 다른 점 _ 유전자를 다른 생물과 비교한다 _ 게놈은 진화를 말한다 _ 정말 쓸모가 없을까? 유전자는 어떻게 찾아낼까? _ 범인 찾기? _ 게놈 해독과 유전자 찾기 게놈의 0.1% 차이가 개성을 만든다 _ 게놈 다형을 의료 현장에서 활용한다 _ 유전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유전자 진단과 유전자 치료 _ 질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을 분석한다 _ 태아용 출생 전 진단 _ 유전자 정보를 알았을 때 _ 유전자 치료란 어떤 치료? ◼두근두근 호기심 칼럼 _ DNA 감식은 어떻게 이뤄질까? _ 우생정책은 옳았던 걸까? ● 3월 입학식_ 남과 여, 그 차이를 생각하다 다시 태어난다면 남자는 여자가 될 수 있을까? _ 성염색체의 조합이 남녀를 결정한다 _ 성전환 복제인간 남자와 여자, 도대체 왜 다를까? _ 남성이 되는 비밀은 Y염색체에 있다 _ 단지 유전자만 남녀 차이를 낳는 것은 아니다 _ 왜 성이 존재할까? DNA는 선호하는 이성이 따로 있다 _ 자신의 DNA를 영원히 남기고 싶다 _ 수컷과 암컷은 DNA의 전략이 다르다 _ 인간도 DNA의 전략에 따라 행동한다? SRY유전자가 남자와 여자를 결정한다 _ SRY유전자 → 고환 → 안드로젠 _ 안드로젠이 비정상적으로 활동하면? 남자와 여자는 뇌도 다를까? _ 여자아이의 뇌에서 안드로젠이 활동한다면? _ 남과 여, 뇌의 형태적인 차이 몸의 성, 그리고 마음의 성 _ 성염색체와 몸의 성이 일치하지 않을 때 _ 마음의 성과 몸의 성이 일치하지 않을 때 ◼두근두근 호기심 칼럼 _ 남자의 바람기가 DNA 탓이라고? _ 여성의 성주기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 4월 중간고사_ 인간의 발생과 복제인간 기적의 여정, 수정 _ 과연 수정란은 어디에서 탄생했을까? _ 자궁관 안에서 난자와 정자의 랑데부 _ 수정에서 탄생까지 호메오유전자가 인간의 형태를 만든다 _ 유도와 유도 인자 복제를 향한 인간의 꿈과 기술 _ 분화 이후에 불필요한 유전자는 버려질까? _ 분화가 끝난 세포에서 완전한 개체를 다시 만들 수 있을까? _ 복제동물을 만드는 방법 _ 복제 기술의 문제점 _ 기술의 유용성 _ 재생·이식 의료와 복제 기술 _ 이식 의료에 줄기세포를 이용하다 ◼두근두근 호기심 칼럼 _ 임신이 됐는지는 어떻게 알아낼까? _ 임신중절은 불법일까, 합법일까? _ 인간 복제, 무엇이 문제일까? ● 5월 봄 소풍_ 마음을 만드는 뇌 마음이란? _ 동물도 마음을 가지고 있을까? _ 마음과 몸은 떨어질 수 있을까, 없을까? 마음과 뇌의 작용 _ 뇌의 위치와 구분 _ 신경세포의 집합체인 뇌 마음은 어디에서 만들어질까? _ 감정과 둘레계통 _ 의지와 관련된 뇌의 부위 _ 보고 인식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착각하는 뇌 대뇌겉질의 기능 분담 _ 운동영역 _ 감각영역 _ 연합영역 _ 언어중추는 어디에 있을까? _ 좌뇌와 우뇌 ◼두근두근 호기심 칼럼 _ 인간의 뇌와 다른 동물의 뇌를 비교하면? _ 옛날 사람들은 뇌와 마음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_ 안면인식장애는 왜 생길까? _ 우리는 어떻게 기억을 할까? _ 뇌 기능 영상 연구로 밝혀진 것들 ● 6월 장마_ 뇌 건강을 생각하다 뇌의 컨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