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디즘

이진경
78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60명)
0.5
4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60명)
코멘트
더보기

90년대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탈근대적 사유에 대하여 고민해온 지은이가 들뢰즈-가타리의 <천의 고원>에 대한 해설서를 펴냈다. <천의 고원>은 '들뢰즈 철학의 정수'로 표현되고 있는 저작으로, 의 온갖 학문이 동원된 철학자들 사이에서도 난해한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은이가 1998년부터 [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에서 진행해온 <천의 고원> 강의를 기초로 하여 씌어진 이 책은 4년에 이르는 강의와 녹취, 정리, 그리고 교열과 재정리를 통해 원고지만 6천여매에 달하는 분량으로 다시 태어났다. 책은 <천의 고원>에 대한 단순한 해설이나 주석달기가 아니라, <천의 고원>을 통해 지은이가 말하고 사유했던 것, 알게 되고 만들어 낸 것들의 기록이다. 지은이는 논리를 쫓아가는 철학보다는 주변의 일상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예들과 그와 관련된 예증을 통해 현대 철학의 사유를 삶의 테두리 안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두 권으로 나뉜 책의 각 권은 무려 700여 페이지에 달하는데다, 온갖 잡학을 망라했다는 <천의 고원>의 난해함에 주눅드는 것도 사실이다. 결코 쉽다고 할 수는 없지만, 풍부한 예제를 동원해 강의를 들려주는 듯한 문체와 구성으로 이뤄진 터라 비교적 마음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것이 강점.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8(60명)
0.5
4
5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7

목차

노마디즘 1 0장 차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1. <천의 고원>, 혹은 철학적 음악? 2. 들뢰즈 + 가타리 3. <천의 고원>에 이르는 길 1) 1968년 이전 / 2) <안티 오이디푸스> : '정신분석학 비판을 위하여' / 3) <카프카> : '욕망'에서 '배치'로 / 4) <천의 고원> : 새로운 역사유물론? 1장 리좀 : 내재성, 혹은 외부의 사유 1. 책에 관하여 1) 책이란 무엇인가? / 2) 책과 외부 / 3) 책의 유형들 2. 리좀의 몇 가지 특징들 1) 접속의 원리 / 2) 이질성의 원리 / 3) 다양성의 원리 / 4) 비의미적 단절의 원리 / 5) 지도그리기와 전사술 3. 수목적 사유와 리좀적 사유 1) 수목적 체계와 위계적 체계 / 2) 초월성과 내재성 / 3)리좀 속의 수목, 수목 속의 리좀 2장 무의식과 욕망 : 욕망하는 기계에서 욕망의 다양체로 1. 분열분석의 대상 2. <안티 오이디푸스> : 욕망으로서의 무의식 1) 정신분석학에서 욕망의 개념 / 2)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욕망의 개념 / 3) 분열분석의 네 가지 명제 / 4) 분열분석의 과제 3. <천의 고원> : 다양체로서 무의식 1) 변화의 요소들 / 2) 무의식, 혹은 늑대의 무리 / 3) 무의식, 리좀적 다양체 4. 분열분석이란 무엇인가? 3장 이중분절, 혹은 지질학적 역사유물론 1. 지층화와 이중분절 1) 지층과 지층화 / 2) 이중분절 (1) 1차 분절과 2차분절 (2) 내용과 표현 차원에서의 분절 2. 지층과 추상기계 1) 추상 기계 (1) 형식의 추상과 탈형식적 추상 (2) 탈형식화의 추상기계 (3) 지층과 그 외부 / 2) 지층과 그 외부 / 3) 지층화와 탈지층화 (1) 탈코드화/재코드화, 탈영토화/재영토화 (2) 상대적 운동과 절대적 탈영토화 3. 내용과 표현 : 구별의 유형들 1) 구별의 세 가지 유형 / 2) 실재적-형식적 구별 / 3) 실재적-실재적 구별 / 4) 실재적-본질적 구별 4. 내용과 표현과 관계 1) 내용/표현은 기의/기표 관계로 환원되지 않는다 / 2) 내용/표현은 내용/형식 관계로 환왼되지 않는다 / 3) 내용과 표현의 상이한 형식에 진화적 단계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5. 지층과 배치, 추상기계 1) 지층과 배치 / 2) 배치와 추상기계의 관계 4장 언어학의 외부 : 반음계주의적 언어학을 위하여 1. 언어는 정보적이고 소통적이리라 1) 언어활동 : 명령과 훈육 / 2) 언표와 언표행위 / 3) 명령어 / 4) 주파수와 공명 / 5) 비신체적 변환 / 6) 화용론 2. '외생적인' 어떤 요소에 호소하지 않는, 언어라는 추상적 기계가 존재하리라 1) 내용과 표현 / 2) 배치의 4가성 / 3) 언어학의 외부 3. 언어를 동질적인 체계로 정의할 수 있게 해줄 보편성과 항상성이 존재하리라 1) 상수들의 체계와 변수들의 체계 / 2) 일반화된 반음계주의 / 3) 언어 속의 언어들 / 4) 언어를 더듬거리게 하기 4. 다수적인, 혹은 표준적인 언어 아래서만 언어는 과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으리라 1) 표준어, 혹은 언어의 권력 / 2) 다수적 언어와 소수적 언어 / 3) 명령어와 탈주선 5장 기호체제들 : 기호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1. 기호체제의 개념 1) 기호체제와 미시정치학 / 2) 기호체제의 개념 2. 네 가지 기호체제 1) 기표적 기호체제 / 2) 전기표적 기호체제 / 3) 반기표적 기호체제 / 4) 탈기표적 기호체제 3. 주체화 체제와 이중체 1) 주체화 체제의 얼굴 / 2) 코기토의 의시적 이중체 / 3) 커플의 정염적 이중체 / 4)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7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