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 기계가 생각할 수 있을까? 1.1 튜링의 흉내 게임 1.2 중국어 방 1.3 구글 번역 2. 인공지능 프로젝트 2.1 지능적 에이전트 만들기 2.2 에이전트의 구조 2.3 과제 환경이냐 문제 환경이냐 2.4 알고리즘과 기계학습 2.5 네트워크 컴퓨터 2.6 인공생명과 예쁜꼬마선충 로봇 3. 마음과 생각 3.1 생각과 마음 3.2 마음과 몸을 가리키는 말들 3.3 몸 3.4 동물과 식물의 마음 3.5 우주 역사에 자유의지는 없다 3.6 뇌를 통해 마음에 접근할 수 있을까 3.7 기계의 확장 4. 인과와 시간 4.1 몸과 마음의 이원론 4.2 인과란 무엇일까(1) : 자연과학에서의 당구공 모델 4.3 흄의 귀납 비판 4.4 수학, 과학, 철학 4.5 인과란 무엇일까(2) : 니체의 계보학 모델 4.6 시간과 운명 5. 철학 문헌 읽기(1) : 플라톤 5.1 플라톤은 누구인가 5.2 기하학과 이데아 5.3 플라톤의 『파이돈』 읽기 5.4 이데아 개념의 변천 : 변하지 않은 것과 변한 것 6. 철학 문헌 읽기(2) : 데카르트 6.1 과학혁명과 데카르트 6.2 『성찰』과 형이상학 6.3 『성찰』 읽기 6.4 <공각기동대>를 통해 본 몸과 마음의 이해 7. 무엇을 어떻게 학습할까? 7.1 스토캐스틱 과정 7.2 몸이 있어야만 한다 7.3 예술가로서 살기 인용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