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영화

버지니아 라이트 웩스먼
72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6(22명)
0.5
3
4
5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22명)
코멘트
더보기

<세계 영화사>의 여섯 번째 개정판이다. 이 개정판의 다른 변화는 적용범위를 좀 더 형평성 있게 잡았다는 점이다. 여성 영화가 좀 더 많이 논의되었으며, 아시아계 미국인 영화 제작자들에 관한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었다. 다국적 영화제작이 점점 널리 퍼지고 있지만, 이 책에서는 가능한 한 영화가 제작되는 특정한 문화적 맥락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다. 일본 만화영화(anim), 이탈리아 공포 영화(giallo), 할리우드 B급 영화 같은 다양한 국적의 대중 장르에 대한 논의도 추가되었다. 아시아의 활발한 영화현장에 부응하여, 인도와 중국 영화가 독립된 개별 장에서 다루어지고, 디지털 혁명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마지막 장을 포함하여, 미국 영화의 최근 발전에 대해서도 상세히 살펴보았다.또 이전 책에 사용했던 대부분의 영화 스틸 사진을 그 크기를 확대하면서 교체했다. 또한 모든 사진이 본문에서 명확하게 논의되도록 했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6(22명)
0.5
3
4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1. 새로운 예술의 탄생과 초기 단계 1895년~1914년 2. 미국 영화의 부상 1914년~1919년 3. 위대한 독일 무성영화 1919년~1928년 4. 소비에트 영화의 예술과 변증법 1915년~1929년 5. 1920년대의 할리우드 1919년~1929년 6. 1920년대와 1930년대의 프랑스 1919년~1939년 7. 1930년대와 1940년대 초의 할리우드 1929년~1945년 8.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 1945년~1959년 9 기록 충동: 전후의 영국 영화 1945년~1963년 10. 과도기의 할리우드 1945년~1962년 11. 일본 영화: 회화적 전통과 모더니즘 경향 1951년 이후 12. 작가주의 영화: 프랑스 누벨바그 1954년~1968년 13. 다른 서유럽 영화: 민족 영화 또는 유럽 영화? 1945년 이후 14. 동유럽 영화: 사회주의 리얼리즘 1954년 이후 15. 인도: 대중의 영화 1956년 이후 16. 모더니즘과 메타포, 이탈리아 1960년 이후 17. 미국 영화의 재출현 1963년~1974년 18. 가벼운 예술 영화: 영국 영화 1963년 이후 19. 새로운 이론, 새로운 영화: 프랑스 1968년 이후 20. 블록버스터의 등장: 미국 1975년~1993년 21. 중국: 본토, 홍콩, 대만의 영화 1984년 이후 22. 최근 국가별 동향 1959년 이후 23. 디지털의 미래: 미국 1994년 이후

출판사 제공 책 소개

1. 『세계 영화사』의 여섯 번째 개정판 이 책은 『세계 영화사』의 여섯 번째 개정판이다. 이 개정판의 다른 변화는 적용범위를 좀 더 형평성 있게 잡았다는 점이다. 여성 영화가 좀 더 많이 논의되었으며, 아시아계 미국인 영화 제작자들에 관한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었다. 다국적 영화제작이 점점 널리 퍼지고 있지만, 이 책에서는 가능한 한 영화가 제작되는 특정한 문화적 맥락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다. 일본 만화영화(anim), 이탈리아 공포 영화(giallo), 할리우드 B급 영화 같은 다양한 국적의 대중 장르에 대한 논의도 추가되었다. 아시아의 활발한 영화현장에 부응하여, 인도와 중국 영화가 독립된 개별 장에서 다루어지고, 디지털 혁명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마지막 장을 포함하여, 미국 영화의 최근 발전에 대해서도 상세히 살펴보았다. 또 이전 책에 사용했던 대부분의 영화 스틸 사진을 그 크기를 확대하면서 교체했다. 또한 모든 사진이 본문에서 명확하게 논의되도록 했다. 『세계 영화사』 제6판은 이론과 실천 출판사의 세상의 모든 시리즈를 잇는 책으로 기획되어 『세상의 모든 영화』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2. 각 영화에 대한 좀 더 집중적인 분석 개별 영화에 대한 좀 더 집중적인 분석을 포함시켰다. 추상적인 개론에 의지하기보다는 특정한 사례들에 의해 학생들이 역사적으로 거시적인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특정 영화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그 영화가 가지는 의미와 영화사 내에서의 영향력을 조명해 보았다. D. W.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 장 뤼크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 로베르트 로셀리니의 <무방비 도시>, 구로사와 아키라의 <라쇼몬>, 프랜시드 포드 코폴라의 <대부> 등 영화사에서 빠뜨릴 수 없는 작품들을 스틸 사진과 함께 감상하고 분석할 수 있다. 3. 영화산업의 흐름 분석 영화 작품 외에 영화산업의 팽창과정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영화가 산업으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검열, 제작사 통합, 마케팅의 변화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종합 예술로 영화가 성장하기까지의 산업의 발전과정, 텔레비전과의 경쟁, 자국의 영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과 영화 작품에 대한 소유권 표시를 둘러싼 갈등 등을 다룬다. 특수효과의 발전과 함께 더욱 거대해진 블록버스터와 관객의 눈을 사로잡고 지갑을 열게 만들기 위한 전략이 소개된다. 4. 각 나라별 영화사의 발전을 자세히 기술 미국의 코미디 영화의 전통, 위대한 독일 무성영화, 소비에트 영화의 몽타주 이론, 미국의 대중 장르와 독립 영화, 프랑스의 아방가르드 영화와 누벨바그,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 영국의 기록 영화 등 각 나라별 영화사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또 중국, 인도, 서유럽(스칸디나비아, 독일, 에스파냐), 동유럽(폴란드, 형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소비에트 연방), 라틴아메리카(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쿠바), 아프리카,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요 영화와 감독들 역시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5. 뤼미에르 형제부터 마이클 무어까지 영화를 탄생시킨 선구자들부터 지금 현재 우리 곁에서 작품을 만들고 있는 현대 감독들까지. 위대한 희극배우이자 감독 찰리 채플린, 천재 감독 오슨 웰스, 네오리얼리즘을 꽃피운 로베르토 로셀리니, 이란의 거장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세기말에 등장한 작가주의 감독들, 각 나라의 영화사의 흐름을 주도했던 거장들을 만나볼 수 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