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들어가며 프롤로그 이 책의 퍼즐들 | 이 책의 주요 주장들 | 벼농사 체제의 일곱 가지 유산 1장 동아시아 국가의 기원―벼농사 체제의 출현과 재난의 정치 우리는 누구인가―쌀 이론의 수립 쌀에 갇힌 동아시아, 벼농사에 집착한 한국인 쌀과 밀의 대비 한반도 정주민의 쌀 사랑 쌀밥과 빵의 정치경제학 고대국가의 재난 정치 홍수, 물벼락의 정치 가뭄, 물 확보의 정치 고대 및 전근대 국가 최악의 재난―가뭄 조선왕조의 가뭄 대비책 복합재난―정치 변동의 촉매제 나가며―쌀, 재난, 동아시아의 국가 2장 벼농사 생산체제와 협업-관계 자본의 탄생 벼농사와 평등한 협업 시스템의 출현 벼농사의 공동노동 시스템 협력과 경쟁의 이중주 벼농사 문화의 지속 벼농사 마을의 비교, 질시, 행복 협업과 불신이 공존하는 벼농사 마을의 신뢰 구조 표준화와 평준화―벼농사 마을의 보이지 않는 손 벼농사 체제의 현대로의 이식―연공에 따른 숙련 상승 가설과 표준화 가설 동아시아 마을, 협업의 장인들 나가며―오리엔탈리즘을 넘어 3장 코로나 팬데믹과 벼농사 체제 동아시아인들의 문화적 디엔에이―사회적 조율 시스템 동아시아 농촌의 성공 함수―협업-관계 자본 코로나 팬데믹의 국가별 양상 벼농사 체제와 코로나 팬데믹 밀농사의 개인주의와 벼농사의 집단주의 나가며―팬데믹과 불평등의 확대 4장 벼농사 체제와 불평등의 정치심리학―왜 한국인들은 불평등에 민감한가 벼농사 사회와 밀농사 사회의 불평등 구조 쌀 경작 사회의 불평등 기제―국가로의 접속 벼농사 체제와 과거제도는 어떻게 얽혔나 벼슬과 벼농사의 상호작용 평등화와 차별화를 향한 욕망의 공존 한반도 남단 정주민의 심리 구조―평등화와 차별화의 공존 밀 문화권과 쌀 문화권의 불평등 치유 노력 불평등 치유 노력의 역사적 기원 벼농사 체제의 유산―복지국가의 저발전 현대 한국인의 복지 태도―부동산과 복지국가 나가며―국가를 통한 불평등의 생산 5장 연공제와 공정성의 위기 청년 실업과 노동시장 이중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제도(연공)-주체(세대)-구조(인구)의 착종 연공 문화의 제도화―연공제 세대 네트워크와 한국형 패턴 교섭 인구구조의 변동에 따른 기업의 인구 구성 변화 연공-세대-인구 착종과 기업의 비용 위기 연공-세대-인구 착종과 청년 고용 위기 연공제와 노동운동 연공제와 여성 나가며―불평등, 현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6장 벼농사 체제의 극복 재난 대비 구휼국가에서 보편적 사회안전망 국가로 표준화를 위한 조율에서 다양성의 조율로 벼농사 체제와 청년 세대의 충돌 동료로서의 여성 직무평가 시스템의 도입―시험에서 숙련으로 연공급 대 직무급―어느 불평등을 택할 것인가 한국형 위계 구조의 개혁―연공제를 넘어서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