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요사

박찬호
69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2명)
코멘트
더보기

20세기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를 방대한 자료와 치밀한 고증으로 집대성한 책이다. 이 책은 지난 100년 동안 우리 대중가요계를 풍미하며 민중의 삶을 어루만져온 수많은 노래들, 그리고 작곡가, 작사가, 가수, 연주자 들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생애와 음악 세계, 나아가 우리 민족과 그들의 노래가 함께 겪어온 정치 사회적 격동에 대해 더할 수 없이 풍성하고 생생한 필치로 그려내고 있다. 저자는 재일 한국인으로서 당시 국내에서도 거의 소실된 상태였던 음반, 가사집, 관련 문헌, 사진 등의 소중한 자료들을 차곡차곡 수집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1988년에 해방 이전 시기를 다룬 <한국 가요> 1권을 일본 현지에서 출간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이후 1992년에 국내에도 번역 출간되어 근현대 한국 대중가요 연구의 폭발적인 부흥에 핵심적인 기여를 한 바 있다. 20여 년의 세월이 흐른 2009년 저자는 1권의 대대적인 수정 증보판과 더불어 해방 이후 시기를 다룬 <한국 가요사>2권을 새로이 펴내게 되었다. 이로써 민요, 악극, 창가, 창극, 가곡, 오페라, 재즈, 트로트, 록, 소울, 포크, 발라드 등 지난 20세기 우리 노래의 거의 모든 장르를 다루며 그 노래들을 짓고 불렀던 수많은 음악인들의 방대한 역사가 처음으로 완성된 것이다. <한국 가요사>1, 2권의 분량은 무려 1400쪽(200자 원고지 약 6000매)이 넘으며, 언급된 노래는 2366곡, 가사가 수록된 곡은 879곡, 음악인은 2084명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찾아보기 힘든 SP음반들과 당시의 공연 현장의 사진들이 빼곡하게 실려 있어 독자들에게 읽는 재미를 한층 더해줄 것이다.

저자/역자

목차

제1부 노래에 담긴 민중의 마음 아리랑 이야기/ 파랑새야/ 창가/ 독립운동 속에서/ 식민 치하에서도 계속 불린 민요 제2부 조선 근대 음악의 선구자들 봉선화 피다/ 여명기의 음악가들/ 꽃피는 가곡의 세계/ 창작 동요의 탄생 제3부 초창기의 가요곡 레코드의 등장과 최초의 인기 가수/ 봄을 기다리는 노래/ 본격적인 유행가 <황성 옛터>/ 초기 가요계의 가수/ 재즈 송의 유입/ 신민요와 기생 가수의 대두/ 눈물의 여왕 전옥과 강흥식 제4부 가요곡의 황금시대 인기 가요의 산파역/ <목포의 눈물> 이난영/ <타향살이> 고복수와 황금심/ <애수의 소야곡> 남인수/ <꼴망태 목동> 이화자/ <눈물 젖은 두만강> 김정구/ <연락선은 떠난다> 장세정/ <막간 아가씨> 박향림/ <나그네 설움> 백년설/ <불효자는 웁니다> 진방남/ 일세를 풍미한 가희들/ 남성 가수들/ 오케그랜드쇼와 이철/ 일본에서 활약한 스타들 제5부 암흑기의 가요곡 나라님의 병정 되기 소원입니다/ 아세아의 바람아, 서울의 꿈을 깨라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노래라는 벽돌 하나하나를 쌓아올려 지은 한국 근현대 문화사 일제 치하 설움 많던 민중의 상처를 애달픈 곡조로 달래준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 한국전쟁과 피난의 기억을 애절하게 노래한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 정거장", 군사 정권의 폭압에 대한 견결한 저항의 상징이었던 김민기의 "아침 이슬"……. 20세기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를 방대한 자료와 치밀한 고증으로 집대성한 역작 <한국 가요사> 1, 2권이 ‘미지북스’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지난 100년 동안 우리 대중가요계를 풍미하며 민중의 삶을 어루만져온 수많은 노래들, 그리고 작곡가, 작사가, 가수, 연주자 들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생애와 음악 세계, 나아가 우리 민족과 그들의 노래가 함께 겪어온 정치 사회적 격동에 대해 더할 수 없이 풍성하고 생생한 필치로 그려내고 있다. 개화기와 갑오농민전쟁, 일제강점과 식민지시대, 해방과 분단, 4·19혁명과 5·16쿠데타, 산업화와 민주화운동 등 시대의 격랑을 함께 하며 민중의 기쁨과 슬픔, 희망과 절망을 노래해온 대중가요는 우리 민족이 살아온 한 시대의 증언과도 같다. ??한국 가요사??는 대중가요라는 버스를 타고 우리의 근현대사의 구석구석을 둘러보는 매력적인 여행인 셈이다. 이 여행에서 독자들은 그 시대 민중들의 아기자기한 볼거리와 수많은 이야깃거리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한국 가요사>는 진정 20세기 한국 대중가요에 대한 백과사전적 집대성이며, 더불어 근현대 한국 문화사 연구의 소중한 보고(寶庫)인 것이다. 인생을 바친 30여 년의 가요사 연구가 6000매의 노작(勞作)으로 완성되다 <한국 가요사>의 저자 박찬호는 이 책의 집필을 구상하기 시작한 1970년대부터 무려 30여 년에 걸친 각고의 노력을 쏟아왔다. 저자는 재일 한국인으로서 당시 국내에서도 거의 소실된 상태였던 음반, 가사집, 관련 문헌, 사진 등의 소중한 자료들을 차곡차곡 수집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1988년에 해방 이전 시기를 다룬 <한국 가요사> 1권을 일본 현지에서 출간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이후 1992년에 국내에도 번역 출간되어 근현대 한국 대중가요 연구의 폭발적인 부흥에 핵심적인 기여를 한 바 있다. 20여 년의 세월이 흐른 2009년 저자는 1권의 대대적인 수정 증보판과 더불어 해방 이후 시기를 다룬 <한국 가요사>2권을 새로이 펴내게 되었다. 이로써 민요, 악극, 창가, 창극, 가곡, 오페라, 재즈, 트로트, 록, 소울, 포크, 발라드 등 지난 20세기 우리 노래의 거의 모든 장르를 다루며 그 노래들을 짓고 불렀던 수많은 음악인들의 방대한 역사가 처음으로 완성된 것이다. <한국 가요사>1, 2권의 분량은 무려 1400쪽(200자 원고지 약 6000매)이 넘으며, 언급된 노래는 2366곡, 가사가 수록된 곡은 879곡, 음악인은 2084명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찾아보기 힘든 SP음반들과 당시의 공연 현장의 사진들이 빼곡하게 실려 있어 독자들에게 읽는 재미를 한층 더해줄 것이다. 나라 잃은 설움이 불후의 명곡들을 잉태하다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20세기 대중가요 중 적지 않은 곡들이 일제 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졌다. 어찌 보면 나라 잃은 설움이 불후의 명곡들을 잉태하게 했던 것이다. "목포의 눈물"은 ‘불멸의 여왕’, ‘엘레지의 여왕’ 이난영이 1935년에 부른 노래이다. ‘목포’는 목화가 많은 항구라는 뜻으로, 식민지 시대 호남의 광대한 평야에서 산출된 쌀과 목화가 일본으로 반출되던 곳이었다. 항구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던 식량과 물자와는 대조적으로, 한국인들은 헐벗고 굶주렸으며 토지를 잃고 유랑 길에 올라 생이별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목포의 눈물"은 바로 일제의 수탈에 대한 한국인들의 한(恨)이 집약된 노래였다. ‘가요계의 신데렐라’ 장세정이 부른 "연락선은 떠난다" 역시 일제의 수탈과 강제 징용의 시대상을 반영한 노래이다. 당시 수십만 명의 한국인들은 부산과 시모노세키를 정기적으로 오가던 관부연락선을 타고 일본의 각종 공사현장에 강제로 동원되었다. “쌍고동 울어울어 떠난” 연락선을 타고 일본에 건너간 한국인 노동자들은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으며 혹사당했고 1923년 관동대학살과 같은 참변을 겪어야 했다. "연락선은 떠난다"는 이러한 참담한 현실 속에서 몸이 찢기는 것 같은 이별의 아픔을 노래해 수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 길”로 시작하는 "나그네 설움"이 지어진 배경도 흥미롭다. 작사가 조경환과 가수 백년설은 어느 날 경기도 경찰서 고등과에 끌려가 혹독한 취조를 당했다. 시말서를 쓰고 풀려난 이들은 광화문 뒷골목 선술집에서 홧술을 마시며 울분을 토해냈다. 이때 두 사람은 몸은 서울에 있어도 마음은 나라에서 쫓겨난 나그네 신세였다. 그날 밤의 종로는 “낯익은 거리다마는 이국보다 차가웠”기 때문이다. 조경환은 문득 떠오른 노랫말을 담뱃갑 뒤에 적어 넣었고, 이로써 훗날 1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린 "나그네 설움"이 만들어진 것이다. 민중의 기쁨과 슬픔, 희망과 절망을 노래해온 대중가요 해방 이후 레코드로 발매된 최초의 곡은 무엇이었을까? 바로 "애국가"이다. 1947년 고려레코드는 안익태의 곡과 스코틀랜드 민요 "석별"의 멜로디에 각각 가사를 붙여 두 곡의 애국가를 취입하였다. 당시에는 레코드를 제작하는 데 크고 작은 어려움이 많았다. 자재가 부족했기에 엿장수가 모아오는 고물 SP음반의 표면만 살짝 재생하여 새 음반을 만들곤 했다. 그래서 수십 번 듣고 나면 음반에 원래 녹음되어 있던 일본 노래가 섞여 나오기 일쑤였다고 한다. 녹음실은 삐걱거리는 가정집에 담요를 대강 둘러친 것이 방음장치의 전부였고, 시끄러운 낮 시간을 피해 한밤중에 녹음을 하더라도 새벽의 전차 소리를 피해야만 했다. 오늘날 전국의 어떤 노래방을 가더라도 곡목 리스트 가장 앞부분에 올라 있는 곡은 남인수가 부른 "가거라 삼팔선"이다. 1948년에 발표된 이 노래는 민족 분단과 이산의 슬픔을 눈물어린 목소리로 토로했다. “산이 막혀 못 오는 것도 아니오, 물이 막혀 못 오는 것도” 아닌데, 삼팔선이라는 세 글자 때문에 오갈 수가 없었던 것이다. "가거라 삼팔선"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북한에서까지 유행했으며, 북진 통일을 기조로 삼았던 이승만 정권에서 금지곡이 되기도 했다. 한국전쟁 시기에는 피난살이의 설움과 가족의 이별을 그린 노래들이 많았다.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는 1·4후퇴 당시 가족을 두고 월남한 피난민의 심정을 노래했다.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정거장"은 전쟁이 끝난 뒤 부산을 떠나는 피난민들의 심경을 그렸다. 노랫말에는 애수가 깃들어 있었지만, 곡조는 새롭게 펼쳐질 앞날에 대한 희망으로 한껏 설레어 있었다. 1960년대까지 트로트가 지배해온 가요계에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록, 소울, 포크, 발라드 등 새로운 장르의 노래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70년 김추자가 부른 "님은 먼 곳에"는 새로운 가요의 흐름을 상징하는 노래였다. 또한 1971년의 "사랑해"는 “예예예~”라는 후렴구와 함께 통기타, 청바지의 시대인 포크 붐의 막을 열었다. 같은 해 군사정권의 억압에 맞서 저항 정신을 노래했던 김민기의 "아침 이슬"은 대학가에 일대 선풍을 일으켰고 1975년에는 금지곡이 되기도 했다. <한국 가요사>는 유신 체제의 대중가요 탄압과 이른바 ‘대마초 사건’ 이후 침체되었던 가요계에 신선한 충격과 함께 등장한 산울림에서부터 가요계의 제왕으로 군림했던 조용필에 이르기까지 우리 가요사를 일별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국내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재일한국인 음악인들에 대한 정리로 끝을 맺는다. 격동의 시대, 그 거센 풍랑 속에서 살아온 음악인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