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SF의 판도를 완전히 뒤집은 ‘그랜드 데임Grand Dame’ : 옥타비아 버틀러 옥타비아 버틀러는 SF의 프레임을 전복시킨 작가다. SF는 인간의 상상력을 아무 제약 없이 펼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어야 하는데도, 마치 백인 남성의 전유물인 것처럼 인식된 채 성별과 인종이라는 보이지 않는 장벽을 뽐냈다. 하지만 옥타비아 버틀러는 그 장벽을 딛고 올라가 우뚝 섰다. 1976년에 첫 작품 《패턴마스터》를 발표한 이래, 문학적 성취와 상업적 성공을 동시에 거머쥐며 자신만의 독보적 위치를 확립한 것이다. ‘흑인 여성’이라는 태생적 약점은 오히려 강점이 되었다. 인종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수의 작품에는 어떤 백인 작가도 감히 알지 못하던 세계가 담겼고, 작가 자신이 여성이자 페미니스트였기에 젠더 문제를 작품 속에 완벽하게 녹여냈다. 버틀러는 2006년 돌연 세상을 떠났지만, 지금도 여전히 SF계의 ‘그랜드 데임’이라 불리며 칭송받고 있다. 마니아들이 손꼽아 기다려온, 충격과 전율로 가득한 작품집! 《블러드차일드》는 옥타비아 버틀러의 전설적 단편과 에세이가 수록된, 유일한 작품집이다. 소설로는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동시에 석권한 동명의 표제작 <블러드차일드>를 비롯, <저녁과 아침과 밤> <말과 소리> 등 총 일곱 편이 수록되었다. 20여 년 전, 이 가운데 단 한 편이 국내에 소개됐을 뿐(절판본은 마니아 사이에서 몇 배의 가격으로 거래되며 명작으로 회자되고 있다), 옥타비아 버틀러의 작품집이 정식으로 출간되는 것은 최초이다. 버틀러는 외계 생명체 번식을 위해 몸속에서 알을 키우는 숙주가 되는 남성을 상상하거나(<블러드차일드>), 근친의 문제에 주목하기도 하고(<가까운 친척>), 언어가 사라져가는 황폐한 세상에서도 여전히 대상화될 뿐인 여성을 그려내기도 하며(<말과 소리>), 억압에 길들어버린 인간을 드러내기도 한다(<넘어감> <특사>). 작가는 다양한 상상의 범주를 선보이지만 인종, 젠더, 그리고 거기에 얽힌 권력이라는 근원적 문제의식을 결코 놓치지 않는다는 것만은 한결같다. 흑인 여성, 즉 20세기 중엽 사회에서 절대적 약자로 살아가며 마주한 세상은 충격적 상상력이라는 날개를 달고 환상의 내러티브를 완성해낸다. 그러나 버틀러의 작품을 기계적으로 인종과 젠더 문제의 틀에 맞춰 판단할 필요는 없다. 우주에 관한 책을 즐겨 읽었을 만큼, 버틀러는 지구 바깥의 세계, 그 거대한 미지를 향한 동경을 잊지 않았다. 옥타비아 버틀러를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한 서울SF아카이브의 박상준 대표는 함께 출간되는 장편소설 《킨》의 ‘작가 해설’을 통해 “소녀 시절 그가 우주를 동경했을 마음은 흑인 여성이라는 자각보다 더 크고 순수했을 것이다. 더 열린 마음으로 그의 작품을 읽는 것, 그게 버틀러에 대한 적절한 예의”라고 귀띔했다. 어느 독보적 작가의 성장 과정을 담은, 아름다운 앤솔러지! 옥타비아 버틀러는 생전에 유독 인터뷰를 많이 한 작가다. 독자와 언론은 버틀러의 작품에 대해, 버틀러의 삶에 대해 거듭 물었다. 문학계에서 독보적 위상을 지닌 작가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후에도 끝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큼, 어느 작품도 가볍게 읽히지 않기 때문이다. 버틀러의 한 작품이 어떤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작품인지, 작가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지 궁금한 독자라면 《블러드차일드》의 작품 하나하나마다 딸려 있는 ‘작가 후기’를 놓치지 마시길(일례로 버틀러는 수많은 사람들이 ‘노예 이야기’라고 생각한 <블러드차일드>가 사실은 전혀 다른 의도로 집필한 작품임을 밝혀두었다). 《블러드차일드》에는 단편뿐만 아니라 두 편의 에세이까지 수록되어 가치를 더한다. 여기에는 차별과 고난을 딛고 선 한 작가의 내밀한 고백이 담겨 있다. 특히 버틀러는 첫 소설을 출간하기까지 온갖 직업을 전전하며 생계를 이어가던 지망생 시절의 열망을 ‘긍정적인 집착’이라는 한 단어에 집약했는데, 이는 작가 지망생을 위한 지침서가 되기에 충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