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장 밥상 생각을 켜놓은 채 잠드는 사람 시대보다 앞서서 요리했던 남자 드디어 찍게 된 밥상 사진 ‘밥걱정의 노예’가 생일에 하는 일 앓고 나서 하는 첫마디, “밥 먹었어?” 플레이팅 없는 아저씨 밥상 아들이 차려주는 밥을 대하는 태도 2장 하루를 열고 닫는 음식 1 아주 사소한 여름의 맛-가지나물 2 엄지손가락으로 완성한 이야기-문어숙회 3 야근을 대비하는 아침-콩나물불고기 4 환호와 당황 사이의 ‘더 먹어 지옥’-월남쌈 5 안 먹는다고 버텨도 몸무게는 그대로-고기덮밥 6 불가능한 완전 범죄-그라탱 7 빼빼로와 가래떡 먹는 날에 우리 집에서는-새우갈릭버터구이 8 단맛, 신맛, 짠맛, 쓴맛, 감칠맛에 더해진 그리움의 맛-무나물 3장 살아가는 일의 기본은 잘 먹는 것 9 주말 간식을 건너뛰지 못하는 이유-소떡소떡 10 출장 가기 전에 준비한 밑반찬-멸치볶음과 배추나물 11 제대로 먹지 않아서 탈 났을 때는-된장국 12 내 생의 눈물 버튼-미역국, 시금치나물, 그리고 샌드위치 13 힘들었다는 말 속에 숨은 뜻-떡볶이 14 백반집에서는 사이드, 우리 집에서는 센터-잡채 15 신경 쓰지 않은 음식 덕분에 모인 식구들-소시지야채볶음 16 함께 둘러앉아 먹지 않아도 추억-홍어삼합 4장 재난이 닥쳐도 주방에 서는 사람 17 코로나 기세에 눌린 봄의 보양식-주꾸미샤브샤브 18 자식 입에 들어가는 고기를 ‘라이브’로 감상하던 기쁨-삼겹살 19 자가격리 중에 먹은 최고의 음식-콩나물국 20 보고 자란 삶이 전해지는 방식-김치볶음김밥 21 가정불화를 잠재운 저녁 식사-제육볶음 22 겨울잠 자고 일어난 상추가 넘쳐날 때는-상추겉절이 23 ‘팬멍’, 불그스름하게 익어갈 때 평화로웠겠지-두부김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