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붙여?005 서 론?021 제1부 개항과 지주?031 제1장 조슈의 사무라이 이토 히로부미와 호남의 양반 김성수?033 1. 런던의 일본인 관비(官費) 유학생들?033 2. 도쿄의 한국인 사비(私費) 유학생들?040 제2장 대한제국의 소멸과 국민 형성?047 1. 개화파의 시간(1876-1895)?047 2. 경화사족의 해체?068 3. 1907년: 신민의 대두?095 1) 기독교 선교와 고종?097 2) 독립협회와 대한제국?100 3) 상동교회와 상동파?110 4) 고종의 강제 양위와 국민의 각성?118 제3장 근대 이행 경로들과 한국?130 1. 대분기와 동아시아 3국?130 2. 동아시아 4국의 분기와 지주?142 1) 농업 관료제: 중국과 조선?142 2) 새로운 변동 요인들?154 제4장 단선적 발전사관들의 적대적 공생관계?165 1. 민족사학?165 2. 식민지근대화론?203 제2부: 제1차 세계대전과 시민적 민족주의?215 제5장 해체되는 제국의 시대: 세력균형에서 집단안보로?217 1. 발원지 미국?217 2. 갈등하는 일본?239 제6장 시민적 네트워크와 3·1운동?267 1. 도시의 활기?267 2. 수하정 3번지?287 3. 탈유교와 민족대표 33인?296 1) 천도교 15인: 일원적 위계적 관계?302 2) 기독교 16인: 다원적 병렬적 관계?312 4. 한국에서의 시민: 한·중·일 비교사적 검토?342 제3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주의?365 제7장 식민통치와 외교?367 1. 미국과 무단적 제국주의?367 1) 한국인과 윌슨 대통령?367 2) 일본 자유주의자의 조선자치론?381 2. 중추원: 작은 변화의 사례?392 1) 신설된 지방 참의와 재지세력?392 2) ‘상상된’ 조선의회?406 제8장 식민통치와 전쟁?412 1. 정당과 군부의 갈등?412 2. 조선공업화 대 만주공업화?427 3. 온건파의 좌절?438 제4부: 지주와 의회, 그리고 분단?443 제9장 개항과 지주?445 1. 개혁주의 세대의 등장?445 1) 김성수와 그의 친구들?445 2) 서울·경기의 관료적 지주 대 호남의 진취적 지주?471 2. 점진과 온건?489 1) 북촌의 ??동아일보?? 그룹?489 2) 타협과 비타협의 경계?505 3) 민족주의자들의 차이?533 제10장 ‘집단안보’의 국제질서와 분열된 민족주의?559 1. 실패한 1차 통합?559 1) 루스벨트 대통령의 신탁통치 구상?559 2) 남한의 민주파?573 3) ‘1948년 질서’?599 2. 분단국가와 2차 통합?615 1) 통합의 길, 농지개혁?615 2) 독재와 반독재?629 결 론?657 1. 두 개의 정의(正義)?659 2. 한국에서의 민주주의 경로?663 3. 개혁과 점진주의?676 참고문헌?679 미주?725 찾아보기?801 <표와 지도 차례> <표 1> 중국과 유럽 여러 국가의 1인당 세수 비교(단위: 銀의 grams)?136 <표 2> 중국과 유럽 여러 국가의 총세수(단위: 銀의 tons)?136 <표 3> 중국·영국·프랑스의 연간 1인당 과세액(단위: 銀의 grams)?139 <표 4> 조선과 중국의 국가 능력 비교?147 <표 5> 미국 하원의원 선거 추이?227 <표 6> 미국 상원의원 선거 추이?227 <표 7> 1920,30년대 일본의 총선 및 정당 추이?251 <표 8> 3·1운동 17인 출신 지역과 경력?294 <표 9> 3·1운동 33인 출신지역 및 경력?363 <표 10> 세도정권과 외척의 관계?458 <지도 1> 3·1운동 제1주 현황?344 <지도 2> 3·1운동의 확산?345 <지도 3> 3·1운동 제5주 현황?346 <지도 4> 3·1운동의 절정?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