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2007년판 서문_글로벌화 시대에 유럽을 지방화하기 감사의 말 서론_유럽을 지방화하기라는 관념 역사주의의 정치 서발턴 연구와 역사주의 비판 이 책의 계획 ‘역사주의’라는 용어에 관한 노트 1부_역사주의와 근대성 서사 1장_포스트식민성과 역사의 술책 이행 서사로서의 역사주의 ‘결여’를 다르게 읽기 인도 근대성에서 역사와 차이 유럽을 지방화하기? 2장_자본의 두 역사 자본, 추상 노동 그리고 차이의 지양 비판으로서의 추상 노동 역사들과 자본 분석성 3장_생활 세계들을 노동과 역사로 번역하기 역사의 시간 활동을 ‘노동’으로 옮김 번역의 두 모델 역사적 시간과 번역의 정치 자본주의로의 번역 안에 있는 차이의 역사로서의 노동 4장_소수자 역사들, 서발턴 과거들 소수자 역사들: 동화와 저항 소수자 역사들에서 서발턴 과거들로 서발턴 과거들: 하나의 사례 서발턴 과거들의 정치 죽은 과거와 산 과거 시간 매듭들과 역사 서술에 대하여 2부_귀속의 역사들 5장_가정의 잔혹함과 주체의 탄생 동정심과 계몽적 주체 계몽적 주체를 대리보충하기: 차이의 번역 근대적 주체로서의 과부: 내면성 그리고 순수성의 문제 누가 고통을 증언하게 되는가? 6장_민족과 상상태 보는 것의 방법들로서의 민족주의 산문, 시 그리고 현실성의 문제 산문, 시 그리고 캘커타의 근대성 장막을 꿰뚫고 보는 것, 그 너머를 보는 것 민족주의 역사에서 하나의 문제로서의 상상태 7장_우다: 사회성의 역사 벵골의 우다 논쟁 우다와 민주적 발화의 탄생: 하나의 계보학 우다와 도시 공간의 창출 우다에서의 말하기와 공동체 여성, 우다, 공적 문화 우다와 자본주의적 근대성 안에 거주하기 8장_가족, 형제애, 봉급 노동 조상들, 신들 그리고 시민 사회 영역 민족주의와 가정의 테마 형제애, 가부장제 그리고 정치 사상 결론 에필로그_이성 그리고 역사주의 비판 케냐타, 아피아, 코삼비 읽기 시대착오에는 무엇이 투입되어 있는가? 역사주의를 넘어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