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책은 우선 서문과 짧은 프롤로그가 나오고, 세 장이 매우 자극적인 제목을 달고 뒤따라 나온다. ‘나는 왜 이렇게 현명한가’, ‘나는 왜 이렇게 영리한가’, ‘나는 왜 이렇게 좋은 책을 쓰는가’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열 개의 절이 뒤따르는데, 여기서 니체는 자기 작품들의 생성 배경, 근본 주제, 핵심 주장 등을 출판된 시간 순서에 따라 매우 논리적이면서도 강력한 파토스가 담긴 문체로 서술하고 있다. 특히 그는 ‘차라투스트라’에서 ‘디오니소스’로 의미를 확장해 나아가는 방향에서 각 작품의 의미를 다루고 있는 듯이 보인다. 그리고 마지막 장인 네 번째 장 <나는 왜 하나의 운명인가>에서 니체는 자신의 영웅적인 위대함을 강력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니체는 자신의 운명과 세계사적 위기를 결합하면서 현재와 다른 ‘인간의 세계’에 관해 새로운 미래를 예견한다. “나는 내 운명을 안다. 언젠가 내 이름이 어떤 엄청난 것에 대한 회상과 접목될 것이다?지상에 한 번도 나타난 적이 없었던 위기에 대한, 가장 심원한 양심들의 충돌에 대한, 이제까지 믿어져 왔고 요구되어 왔으며 신성시되었던 모든 것에 대항해 거부를 불러일으키는 결단에 대한 회상과 접목될 것이다.” ≪이 사람을 보라≫는 그 제목에서 이 자서전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어느 정도 알려 준다. 제목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는 본래 기독교 ≪신약성서≫에서 로마 총독 본디오 빌라도(폰티우스 필라투스)가 가시관을 쓴 예수를 가리키며 한 말이다(<요한복음> 19장 5절). 이 말을 통해서, 한편으로 니체는 자신과 예수의 고난적인 삶을 관련지으려 한 것처럼 보인다. 니체는 여러 신체적인 병들로 인해 하루하루가 고통스러웠지만 더 힘들었던 것은 아무도 그를 이해해 주거나 인정해 주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는 자기 자신이 왜곡 없이 제대로 이해되기를 바랐지만 그야말로 시대의 외면을 받은 고독한 방랑자였다. 다른 한편으로 그 제목은 자신과 예수를 대결시키려는 목적에서 쓰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줄에서 니체는 하나의 대립적인 명제를 내놓는다. “나를 이해했는가? ? 디오니소스 대 십자가에 못 박힌 자”(<나는 왜 하나의 운명인가> 9절). 니체는 자신을 디오니소스라고 부르면서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에 대항하는 존재로 자신을 자리매김한다. 디오니소스와 그리스도라는 이 두 존재의 대결이 니체 철학의 핵심을 압축해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그리스도는 예수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삶과 세계와 실재의 고통을 부정하거나 이로부터 도피하려는 모든 형이상학, 종교, 도덕, 학문을 총칭하는 기호일 것이다. 반대로 삶에 대해 그리스도교가 부정하는 것에 맞서 삶에 대해 영원히 긍정하는 것, 다시 말해 가장 가혹하고 끔찍한 고통과 무시무시한 시련과 두려움조차도 이겨 내고 삶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것, 이것이 디오니소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디오니소스는 바로 비극의 신이다. 니체는 디오니소스적 비극 정신의 강함과 위대함을 보았다. 이러한 비극 정신의 강한 생명력과 창조성이 인간의 위대함과 불멸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