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큐레이터 13인이 말하는 위대한 전시의 조건
- 큐레이터는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요구를 어떻게 수용하고 구현해야 하는가?
국제 비엔날레와 블록버스터 전시의 시대를 맞아, 예술은 이제 라는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북미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히 발달한 미술사와 큐레이터 관련 학과 프로그램들은 주로 이론적인 문제들을 다루고 있지만, 큐레이팅의 실행에 있어 중심이 되는 <훌륭한 전시의 조건>에 관한 담론들은 종종 간과되고 있다. 이 책은 현재 미국과 유럽의 주요 미술관들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현직 큐레이터 및 미술사학자들이 참여해 오늘날의 전시를 둘러싼 다양한 이슈들을 진단하고자 기획되었다.
『위대한 전시는 어떻게 탄생하는가?』는 필라델피아 예술대학 산하 기관인 퓨 예술 문화유산 센터의 필라델피아 전시 지원 계획Philadelphia Exhibitions Initiative에 의해 출간되었으며,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는 13명의 중견 전시 기획자들이 참여한 책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지식과 경험, 실전 노하우를 모아 라는 질문에 성실히 답하고자 한다.
필자들이 자신의 영역에서 진행자가 되어 다소 자유로운 형식으로 전하는 만큼 각각의 주제는 서로 다른 전시를 보듯 새로운 이슈와 분위기로 전환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그 어떤 분야보다 주관적 잣대로 평가되는 <훌륭한 전시의 조건>에 대한 해답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
비엔날레에서 지역 미술 프로젝트까지,
디스플레이에서 전시 도록 편집까지,
큐레이팅의 다양한 실제적 담론을 담은 현장 가이드
전시 기획자들은 항상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기관과 예술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문제와 갈등을 조정하는 동시에 더 많은 관람객에게 <경험이 가능한> 미술을 선사하고자 노력한다. 그렇게 항상 실제의 문제를 고찰하는 그들의 시각은 미술과 관람객의 중심적 연계 수단이 되는 <전시>를 통해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실용적 예시를 제공한다.
큐레이터 로버트 스토는 <전시>와 <전시 기획자>의 의미를 고찰하고, 뉴욕 할렘의 스튜디오 미술관 큐레이터 셀머 골든은 문화적으로 특정된 전시에 대한 이슈들을 다룬다. 디아 재단의 큐레이터 린 쿡은 목표를 세밀화하여 확고한 기초를 다지는 방법론에 대해, 이오나 블라즈윅은 자신이 디렉터로 재직하고 있는 런던 화이트채플 갤러리의 선구적인 역할을 해온 지난 세기를 소개한다. 필라델피아 미술관 큐레이터 카를로스 바수알도는 제도적 비엔날레들에 대해 의미 있는 담론을 이끌어 내며 비평적 시각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 외에도 필자들은 오디오 가이드의 효용과 월텍스트, 라벨, 도록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그룹전에서 <그룹>의 본성, 전시 디자인, 비디오와 공예, 미술관 건축이 전시에 미치는 영향 등 실제적인 다양한 이슈들을 다룬다. 무엇보다 이 책은 전시에서 간과되고 있는 중요한 이슈들이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숙고하기를 유도한다. 큐레이터, 미술 전문가들, 미술 및 큐레이터 관련 학과 학생들, 미술사학자, 미술가, 그리고 오늘날의 전시 기획이 궁금한 모두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위대한 전시를 위한 이 책의 질문들]
본질에 대해
전시 기획에서 작가와 큐레이터는 어떤 관계인가?
특별히 창의적이고 놀라운 방법이 전시 기획의 관습적 요소들과도 연계될 수 있는가?
우리는 관습적이고 특정 목적을 갖는 장소에서 본질적 보수주의를 넘어서는 전시를 열 수 있는가?
장소에 대해
동시대 미술사의 특정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들의 전시 패러다임과 그 우선 순위는 무엇인가?
극도로 세계화된 미술계의 중심에서 단지 대규모 그룹전의 증가된 숫자가 아닌 독특한 본성을 이해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유용한 담론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
구조에 대해
전시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갤러리나 미술관 건축의 역할은 무엇인가?
순회 전시를 기획할 때 특별히 신경 써야 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에 따라 큐레이터는 가능성 있는 다양한 공간들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하는가?
전시를 선보이는 공간에 따라 같은 전시라도 그 경험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배치에 대해
전시를 감상하는 데 있어 우리의 경험과 즐거움이 예술 작품을 설치하고 배치하는 큐레이터의 재능에 따라 얼마나 달라질 수 있을까?
개인전이나 그룹전을 설치할 때 그다지 훌륭하지 않거나 평범한 작품들을 더 좋은 작품들과 함께 배치함으로써 더 많은 장점들이 인정될 수 있을까?
특히 그중에서도
전시 도록과 특히 최근에 나타난 전시 웹사이트 같은 기록물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예술 작품들을 해석하고 틀을 잡기 위한 큐레이터의 임무는 무엇이며, 폭넓은 스펙트럼의 잠재적 관람자들을 위한 전시의 근원적 주제는 무엇인가?
오디오 가이드, 월텍스트, 라벨 같은 보조 수단들을 과도하지 않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왜 벽 라벨이나 갤러리의 인쇄물은 정보를 제공하는데도 불구하고 인상적일 수 없는가?
[참여 필자]
폴라 마린콜라Paula Marincola
총괄 기획자이자 책임 편집자로서 이 책을 엮었다. 퓨 예술 문화유산 센터 총괄 디렉터로, 1997년 필라델피아 전시 지원 계획 창설 당시부터 디렉터로 일하였다. 비버 대학(현 아르카디아 대학) 아트 갤러리 디렉터, 펜실베이니아 대학 현대미술 연구소에서 부디렉터와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로버트 스토Robert Storr
예일대 미술대학 학장, 작가이자 비평가이며, 필라델피아 미술관 근현대미술부 컨설팅 큐레이터이다. 뉴욕 MoMA의 회화 및 조각부 선임 큐레이터를 역임하였고, 최근에는 막스 베크만Max Beckmann 회고전과 제5회 SITE 산타페 국제 비엔날레를 기획하였다. 또한 2007년 베니스 비엔날레 커미셔너를 역임하였다.
린 쿡Lynne Cooke
1991년부터 디아 아트 재단Dia Art Foundation의 큐레이터로 근무했다. 1991년 카네기 인터내셔널Carnegie International의 공동 큐레이터, 1996년 시드니 비엔날레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 최근에는 릴리 뒤주리Lili Dujourie의 회고전을 기획했으며, 디아 비콘Dia:Beacon의 아그네스 마틴Agnes Martin 다섯 개의 설치전과 MoMA와 공동으로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 회고전을 기획했다.
랄프 루고프Ralph Rugoff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Hayward Gallery의 디렉터로, 작가이자 비평가이다.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캘리포니아 예술대학 와티스 현대미술 연구소CCA Wattis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s 디렉터로 재직할 당시, 큐레이터 양성 프로그램 초대 학장을 역임했고, <보이지 않는 예술의 간략한 역사A Brief History of Invisible Art> 등의 전시 큐레이터를 맡았다.
카를로스 바수알도Carlos Basualdo
필라델피아 미술관 현대미술부 큐레이터이자 베네치아 건축 대학교Instituto Universitario di Architettura di Venezia 겸임교수이다. 카셀도큐멘타 11 공동 큐레이터, 2003년 베니스 비엔날레 <생존의 구조The Structure of Survival> 전 큐레이터로 활동하였고, 가장 최근에는 시카고 MCA와 뉴욕 브롱크스 미술관에서 개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