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_ 숫자경영, 최고의 경영 나침반이다! 1장 의사결정의 중심에 숫자경영이 있다-경영 의사결정에서 회계지식의 활용 과다한 배당금 지급, 그것이 함정이었다 ─ 대우건설 대우건설 인수 실패의 결과│대우건설의 경영 상황과 배당금 지급│부채를 통한 자본구조 재조정│과도한 배당금 지급의 함정│시몬즈 침대의 몰락│적절한 배당금은 과연 얼마인가? M&A 이후 위기극복을 위한 도전 ─ 두산그룹과 금호아시아나그룹 두산그룹의 자회사 매각을 통한 현금확보│미래에셋과 IMM 사모펀드의 참여│한발 앞서 준비하는 두산그룹의 행보│금호아시아나그룹의 생환을 위한 노력 언제 아웃소싱을 해야 할까? ─ 포스코와 닛산 아웃소싱이 유행하는 이유│GE, 포스코, 닛산의 아웃소싱 사례│아웃소싱의 문제점│아웃소싱과 자체생산을 결정하는 조건 이익인가, 현금흐름인가? ─ LG전자 사례를 통한 이익과 현금흐름의 이해│장기적인 의사결정의 사례│기업가치 평가모형에서의 활용│재무제표를 열심히 살펴야 하는 이유 EBITDA 지표가 놓친 것들을 들여다보자 ─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EV와 EBITDA의 의미│EBITDA의 정의에 대한 혼란│EBITDA가 탄생한 이유│EBITDA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차이│EBITDA를 이용한 기업가치 평가의 문제점│EBITDA가 유행한 이유│워런 버핏의 EBITDA에 대한 견해│적합한 기업가치 평가법은? 2장 숫자경영으로 금융위기를 극복한다-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회계의 중요성 엔론 몰락과 세계금융위기 발발 원인의 유사점─ SK E&S, 엔론 미국 최고의 기업으로 각광받던 엔론│가스 운송업에서 에너지 거래업으로의 업종전환│M&A와 신사업 진출을 통한 급속한 성장│엄청난 혼란과 투자의 실패│막대한 보너스를 받아 챙긴 직원들│자산유동화를 통한 현금조달과 분식회계│특수목적법인을 이용한 분식회계│엔론이 파산한 이후 벌어진 일들│분식회계를 조장한 평가와 보상 방법의 문제점│분식회계의 결과와 교훈 미국의 금융개혁과 시가평가제를 둘러싼 논란 ─ 금융기관 오바마 대통령의 강력한 금융개혁 정책│금융권의 로비와 반론│시가평가제도의 내용과 도입배경│왜 시가평가제도가 문제인가?│평가손실은 어디 갔을까?│회계기준의 재개정 움직임│회계에 대한 비난과 반론, 그리고 회계의 중요성 자본주의는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는가? ─ 골드만삭스 골드만삭스의 이익수치, 과연 진짜일까?│실제 이익과 미래 전망│투자은행에 대한 구제금융 투입 논란│기업이 망했어도 보너스 지급이 가능한가?│골드만삭스의 행보와 정부의 규제│골드만삭스와 정부의 관계│세금회피에 대한 이슈│신을 대리한다는 골드만삭스의 자만│골드만삭스의 미래│모두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위해 3장 숫자경영, 세상과 소통의 시작점이다-시장과의 소통과 기업 설득의 기술, 프레이밍 효과 ─ 인텔과 애플 공시 분야에서 프레이밍 효과의 활용│긍정적인 뉴스는 숫자로, 부정적인 뉴스는 퍼센트로│인텔의 펜티엄 연산 오류 사례│애플과 스티브 잡스의 사례 기업들이여, 강호동과 이효리를 본받아라!─ <1박 2일>과 <패밀리가 떴다> 두 프로그램의 성공비결│못생긴 인형과 평범한 사람이 등장하는 화장품 광고│동화 같은 기업공시는 이제 통하지 않는다│위기상황에서의 대응방법인 CAP 규칙│부정적인 뉴스를 공시하지 않는 한국 기업│강호동처럼 마음으로 교감하자 어닝 서프라이즈 게임 ─ 삼성전자와 LG전자 외국 기업들의 어닝 서프라이즈 발표│애널리스트의 성향은 ‘장기적으로는 낙관적’│어닝 서프라이즈 게임이 유행하는 이유│한국의 어닝 서프라이즈는?│잭 웰치의 반성에서 배워야 할 교훈 사회책임투자 펀드의 숨겨진 진실 ─ 증권회사 사회책임투자 펀드의 역사│사회책임투자 펀드의 수익률은 높지 않다│성공한 기업만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할 수 있다│국내 사회책임투자 펀드의 투자 성향│개인 및 기업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수행 4장 숫자경영, 투자의 근간을 이룬다-주식투자와 회계지식 11월 11일 주가폭락의 숨겨진 내막 옵션거래란 무엇인가?│주식과 옵션의 차이점│옵션거래의 결과에서 드러난 엄청난 손실│주식과 옵션거래의 숨겨진 내막│우리의 반성과 올바른 투자 방법│워런 버핏의 투자철학을 배워야 한다 주식가격의 움직임과 내재가치 투자 홍길동전자의 주식가격 사례│파도모양으로 변하는 주식가격과 투자│평균선을 기초로 한 투자방법의 효과│주식가격의 형성을 결정하는 내재가치 투자│선진국 주식시장과 비교한 한국 주식시장의 특징│어떤 투자가 더 좋은가? 주식투자에 손쉬운 왕도는 없다 버크셔 해서웨이 vs. 뉴머릭 인베스터스│단타거래와 개인 투자자의 심리적 어려움│공매도 거래의 수익률 환상│워런 버핏의 내재가치 투자│헤지펀드 LTCM과 메릴린치의 몰락 버블은 왜 일어났다 반드시 꺼질까? 미국 IT 버블의 사례│2008년 부동산 버블의 폭발│개인의 능력 과신과 버블│버블이 왜 위험한가?│주식투자를 어떻게 할까?│재무제표와 거시경제에 대한 이해│나도 남들과 다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