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CHAPTER 1 세계의 물 01 인류가 화성에서 물을 찾는 이유 ○ 02 지구에서 쓸 수 있는 물은 0.007퍼센트 ○ 03 깨끗한 물의 부족 ○ 04 인류의 수명을 크게 늘린 상하수도 ○ 05 유엔이 정한 세계 물의 날 ○ 06 화장실이 없는 사람들 ○ 07 한국의 일상을 채운 세계의 물 ○ 08 세계에서 발생하는 물 분쟁 ○ 09 다국적 물 기업의 탐욕과 실패 ○ 10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얻는 물 관리 칼럼 1. 우리는 하나의 물을 쓰는 지구인 공동체 칼럼 2. 가난한 이웃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 CHAPTER 2 한국의 물 11 유럽과 한국 강의 차이 ○ 12 한반도의 강은 급하다 ○ 13 한국은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 ○ 14 한국은 물 낭비가 심하다? ○ 15 경제가 발전하면 물을 더 공급해야 할까? ○ 16 한국의 물값은 싸다? ○ 17 지하수를 고갈시키는 수막재배 ○ 18 한국은 해양 국가 ○ 19 한국에서 가장 큰 환경 사건 ○ 20 강은 누구의 것인가? 칼럼 3. 세계의 물과 한국의 물 칼럼 4. 더 많은 물 시설을 세울 것인가? CHAPTER 3 도시와 가정 물 21 수돗물 없는 세상 ○ 22 지구를 다섯 바퀴나 돌고도 남는 수도관 ○ 23 수돗물을 마셔도 될까? ○ 24 가정에서 물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 25 생수의 3분의 1은 석유 ○ 26 정수기는 안전할까? ○ 27 맛있는 물을 마시는 법 ○ 28 지하수가 부족한 섬 ○ 29 도시보다 훨씬 비싼 농어촌의 수도요금 ○ 30 우리는 강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칼럼 5. 수돗물을 믿고 마실 수 있다면 칼럼 6. 우리의 강을 어떡하면 좋을까? CHAPTER 4 생태계와 물 31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대 ○ 32 담수 생태계가 위험하다 ○ 33 수도관처럼 정교하게 조작되는 강 ○ 34 녹조가 보내온 경고 ○ 35 가시박으로 뒤덮인 하천 ○ 36 플라스틱을 먹는 새 ○ 37 고래잡이와 보호의 역사 ○ 38 상류보다 맑은 하류의 물 ○ 39 흰목물떼새가 떠난 하천 ○ 40 여의도 샛강에 나타난 수달 칼럼 7. 여섯 번째 대멸종에 맞서는 노력 칼럼 8. 생태계교란생물을 어떻게 해야 할까? CHAPTER 5 기후위기와 물 41 유럽의 대홍수 ○ 42 이미 시작된 기후위기 ○ 43 역대 가장 더운 여름 ○ 44 한국의 기후변화 ○ 45 2100년, 조개가 사라진다 ○ 46 점점 가라앉는 한반도 ○ 47 모든 재해는 기후위기 때문일까? ○ 48 기후위기 맞서 더 많이 개발할 것인가? ○ 49 자연을 보호하면 재해를 줄일 수 있을까? ○ 50 기후단체 350 칼럼 9. 툰베리와 한국의 청소년기후행동 칼럼 10. 사람을 미워하면서 지구를 구할 수는 없지 않은가?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