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의 차가운 손

한강 · 소설
329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1(646명)
0.5
4
5
평가하기
4.1
평균 별점
(646명)

1993년 계간 『문학과사회』겨울호에 시 「서울의 겨울」 외 4편을 발표하고 이듬해 『서울신문』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붉은 닻」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한강이 『검은 사슴』(1998) 이후 4년 만에 펴낸 두번째 장편소설이다. 이 책에서 작가는 미술 조각 기법의 일종인 ‘라이프캐스팅(석고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인체를 그대로 본뜨는 방식)’이라는 장치를 통해 실존의 고통과 상처를 치열하게 탐구한다. 풍부한 알레고리와 서정적이면서도 강렬한 문체로 삶의 모순을 예리하게 포착해온 작가는 데뷔 이후 대중과 평단의 강력한 지지를 받으며 한국소설문학상(1999),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2000), 이상문학상(2005), 동리문학상(2010), 만해문학상(2014), 황순원문학상(2015), 인터내셔널 부커상(2016), 말라파르테 문학상(2017), 김유정문학상(2018), 산클레멘테 문학상(2019), 대산문학상(2022), 메디치 외국문학상(2023), 에밀 기메 아시아문학상(2024), 노벨문학상(2024)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그대의 차가운 손』은 “실종된 한 조각가가 남긴 수기 형식의 고백을 통해 사회적 가면 밑에 감춰진 인간의 어두운 내면을 끌어낸다. 일종의 예술가 소설로 인간의 이중적 속성, 존재의 본질과 형식 문제를 치밀하게 파고드는 아름다운 소설이다”(『문학과사회』 2002년 봄호, p. 35). 소설은 미스터리한 조각가의 실종을 다루면서, 그가 남긴 섬뜩하고 비인간적인 조각 작품을 둘러싼 은밀한 역사를 되짚어봄으로써 인간 정신의 심연을 들여다본다. “한 조각 불꽃 같은 진실이 튀었다 사라지는 순간, 그 무서운 찰나를 놓치지 않기 위해”(p. 20) 조각가 장운형을 응시하는 화자 H의 시선은 “그토록 쓸모없고 연약한, 부서지기 쉬운 찰나의 진실, 찰나의 아름다움만이 때로 우리가 가진 전부라는 것을. 심지어 치유의 힘이 되기도 하는 것”(「작가의 편지―한강」, 『문학과사회』 2002년 여름호, p. 718)이라 언급한 바 있는 작가 자신의 문학적 통찰과도 맞닿아 있다.

2024년 마지막! 왓챠 구독권 할인 🎁

연말 혜택가로 내년까지 쭉- 함께해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4.1(646명)
0.5
4
5

2024년 마지막! 왓챠 구독권 할인 🎁

연말 혜택가로 내년까지 쭉- 함께해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60+

목차

프롤로그 그녀의 차가운 손―序 1부 손가락 외삼촌 | 미소 | 침묵 | 진실 | 용기 | 내 웃음 | 그의 손가락 2부 성스러운 손 슬픈 얼굴 | 아름답다는 것 | 계시 | 외계인 | 괴물 | 추운 입술 | 관(棺) | 그녀의 눈 | 시간 | 흉터 | 비밀 | 증거 | 토끼의 눈 | 잔해 | 러닝 머신 | 행복 | 사랑 | 웃음 소리 | 침묵 | 연극 | 뭉개어진 얼굴 3부 가장 무도회 입술 | 거울 속의 여자 | 악몽 | 모형의 집 | 목소리 | 진짜와 가짜 | 더러움 | 천국 | 멀지 않은 눈 | 데드마스크 | 재회 | 따뜻한 손 | 막(膜) | 당의정 | 피로 | 껍데기와 껍질 | 껍질 벗기 | 네가 원하는 것 | 가면 뒤의 얼굴 | 내 손가락 에필로그 작가의 말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무엇인가가 숨겨져 있었다. 끔찍한 무엇인가가.” ●2024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하얀 가면 뒤에 도사린 근원적인 공포 실존의 고통과 상처를 극치의 예술로 조각한 한강의 두번째 장편소설 삶의 텅 빈 안쪽을 파고드는 뜨거운 응시 껍데기 이면에 숨죽인 쓸쓸한 진실에 관하여 1993년 계간 『문학과사회』겨울호에 시 「서울의 겨울」 외 4편을 발표하고 이듬해 『서울신문』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붉은 닻」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한강이 『검은 사슴』(1998) 이후 4년 만에 펴낸 두번째 장편소설이다. 이 책에서 작가는 미술 조각 기법의 일종인 ‘라이프캐스팅(석고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인체를 그대로 본뜨는 방식)’이라는 장치를 통해 실존의 고통과 상처를 치열하게 탐구한다. 풍부한 알레고리와 서정적이면서도 강렬한 문체로 삶의 모순을 예리하게 포착해온 작가는 데뷔 이후 대중과 평단의 강력한 지지를 받으며 한국소설문학상(1999),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2000), 이상문학상(2005), 동리문학상(2010), 만해문학상(2014), 황순원문학상(2015), 인터내셔널 부커상(2016), 말라파르테 문학상(2017), 김유정문학상(2018), 산클레멘테 문학상(2019), 대산문학상(2022), 메디치 외국문학상(2023), 에밀 기메 아시아문학상(2024), 노벨문학상(2024)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그대의 차가운 손』은 “실종된 한 조각가가 남긴 수기 형식의 고백을 통해 사회적 가면 밑에 감춰진 인간의 어두운 내면을 끌어낸다. 일종의 예술가 소설로 인간의 이중적 속성, 존재의 본질과 형식 문제를 치밀하게 파고드는 아름다운 소설이다”(『문학과사회』 2002년 봄호, p. 35). 소설은 미스터리한 조각가의 실종을 다루면서, 그가 남긴 섬뜩하고 비인간적인 조각 작품을 둘러싼 은밀한 역사를 되짚어봄으로써 인간 정신의 심연을 들여다본다. “한 조각 불꽃 같은 진실이 튀었다 사라지는 순간, 그 무서운 찰나를 놓치지 않기 위해”(p. 20) 조각가 장운형을 응시하는 화자 H의 시선은 “그토록 쓸모없고 연약한, 부서지기 쉬운 찰나의 진실, 찰나의 아름다움만이 때로 우리가 가진 전부라는 것을. 심지어 치유의 힘이 되기도 하는 것”(「작가의 편지―한강」, 『문학과사회』 2002년 여름호, p. 718)이라 언급한 바 있는 작가 자신의 문학적 통찰과도 맞닿아 있다. 한강의 예술에 대한 관심이 여실히 드러난다. 이 책은 여성의 신체를 석고로 본뜨는 것에 집착하는 조각가가 남긴 원고를 복기한다. 인체해부학에 대한 몰두와 페르소나와 경험 사이의 유희가 엿보이며 조각가의 작품에서는 신체가 폭로하는 것과 감추는 것 사이의 갈등이 발생한다. 책의 말미에 있는 “삶의 껍데기 위에서, 심연의 껍데기 위에서 우리들은 곡예하듯 탈을 쓰고 살아간다”라는 문장은 이를 잘 보여준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작품 소개 글 전문에서 발췌(출처: 스웨덴 한림원 홈페이지) 가학과 냉소로 얼룩진 삶의 껍질 환유와 은유의 경계에서 육체에 씌어진 내면의 기억들 이 소설은 소설가 H가 우연히 조각가 장운형의 작품과 만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반신마비로 입원한 큰이모를 문병하러 간 K시에서 본 그의 작품은 한 쌍의 남녀가 서로 몸을 기댄 채 손을 맞잡은 형상으로 비교적 온전한 남자의 신체와 달리 여자의 몸은 양쪽 어깨와 팔뚝이 뜯겨 나간 채였고 너덜너덜한 손목 사이에는 칠흑 같은 어둠이 채워져 있다. H는 기묘한 조각 앞에서 일그러진 이모의 반쪽 얼굴을 떠올리며 “그 작가가 보여주려고 한 건 누더기 같은 껍데기가 아니라, 그 속의 컴컴한 공동(空洞)”(p. 12)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이후 인사동에서 같은 작가의 ‘거대한 검은 손’ 작품을 보게 되고 후배가 쓴 희곡의 초연 무대에서 같은 방식으로 작업한 듯한 석고상에 또 한 번 시선을 빼앗긴다. 뒤풀이 자리에서 살아 있는 육체가 고스란히 빠져나온 듯한 한 줌의 터럭 역시 조각가 장운형의 작품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H는 장운형에게 왜 사람의 몸을 본뜬 작품을 만드는지에 대해 묻는다. 자신의 작업에 관심을 보이는 H에게 장운형은 모델이 되어달라고 요청하지만 H는 이내 거절한다. 이후 H는 장운형의 여동생으로부터 그가 지난 4월 실종되었다는 연락을 받게 된다. 지금까지 오빠가 남긴 글에 나오는 이들과 모두 만났다는 그녀는 설령 오빠를 찾지 못한다 하더라도 인생에 오직 단 한 번만이라도 자신의 오빠를 이해하고 싶다며 글을 쓰는 H에게 장운형이 쓴 글을 읽어달라고 부탁하고, H의 만류에도 집에는 장운형이 남긴 수기가 도착한다. 장운형의 유년이 주를 이루는 1부는 추한 얼굴의 소유자 외삼촌에 대한 회상으로 시작된다. 군에서 잘못 장전한 소총으로 엄지와 검지 윗마디를 잃은 그는 “거친 말씨, 증오에 단련된 눈빛, 매형에게 칼을 휘둘러댈 만큼 독한”(p. 34) 사내가 되었지만 자신의 손만큼은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철저하게 은폐한다. 적대적인 외삼촌과 달리 어머니는 마치 하얀 탈을 쓴 듯한 얼굴로 언제나 잘 만들어진 미소와 친절로 사람들의 환심을 사곤 했다. 자신과 누이들에게는 좀처럼 보여주지 않는 그 얼굴은 어린 장운형에게 자신은 이 가족의 일원이 아니며 언제든지 내쳐질 수 있는 존재라는 불안을 심어준다. 일말의 흐트러짐 없이 늘 자신이 생각한 대로 판단하고 움직였던 아버지 역시 어린 소년이 신뢰하기 어려운 존재다. 단 한 번도 자신이 사람 취급한 적 없는 처남과 사랑하지 않았던 아내의 죽음 앞에서도 눈물을 잠시 반짝이는 다정함을 가진 그의 이면에는 냉소가 짙게 깔려 있었다. 이렇듯 두꺼운 껍데기로 자기 자신을 가리는 데 능숙한 부모 아래에서 장운형은 불편한 진실이 밝혀진 후에는 어른들에게 더욱 칭찬받는 아이가 된다. 그렇게 소년은 버림받지 않기 위해 자기 스스로 견고한 탈을 만들어 덧씌운다. 그렇게 사춘기를 맞으면서 조금씩 옅어지던 그의 유년은 일평생 가족에게 부정당하며 살아온 외삼촌의 죽음과 함께 지나간다. 죽음에 이르러서야 자신의 손을 타인에게 내보일 수 있게 된 외삼촌을 내려다보며 그는 생각한다. “진실이란, 저렇게 추한 것이로구나”(p. 60). 2부에서 장운형은 자신의 첫 개인전을 찾은 이십대 초반의 L을 만나게 된다. 신장 167센티미터에 몸무게 100킬로그램에 육박하는 L의 몸은 그 어떤 곡선도 찾아보기 어려웠지만 육중한 몸과 대비되는 작고 동그란 얼굴과 희고 섬세한 손이 비대칭을 이루고 있었다. 장운형은 L의 순수하고 따뜻한 손에 매료된다. 이후 L은 매주 토요일마다 장운형의 작업실에서 손 모델이 되어 석고를 뜨는 작업을 하며 점차 조각가에게 마음을 열게 되는 L은 자신과 달리 늘 주목받는 친구 O에 대해 털어놓고, 이제 장운형은 L의 몸 전체에 석고를 뜨는 작업을 하며 이내 그녀의 육체가 고스란히 빠져나간 거푸집 같은 덩어리가 훗날 자기 자신의 관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L 역시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던 유년의 상처에 대해 털어놓고 잠시나마 자신의 몸으로부터 해방된 듯한 감정을 느낀다. 하지만 그녀는 짝사랑하는 복학생의 마음을 얻기 위해 혹독하게 체중 감량을 하고, 아무도 없는 길에서의 무자비한 폭식과 가학적으로 이어지는 구토 행위로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한 채 병들어간다. 억지로 속을 게워내기 위해 손가락을 집어넣은 탓에 엄지와 검지 사이에는 이 자국이 선명하게 남는다. 1부가 가장 가까운 가족의 신체와 그 이면의 어두운 내면에 대해 들여다보는 소년의 이야기였다면 2부에는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작품을 형상화하고 그 이면을 끄집어내려는 청년기의 조각가가 있다. 삼십대 후반에서 사십대 초반의 장운형의 이야기로 이어지는 3부는 그가 파고들고자 했던 인간의 내면, 즉 자기 자신에게 주목한다. 장운형은 선배 P의 소개로 어딘지 모르게 기이할 정도로 정제된 듯한 청결한 인상의 인테리어 업자 E를 알게 된다. P는 그녀의 투명한 티끌 없음에 매료되지만 장운형은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3

비슷한 작품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