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나는 흐릅니까. 누워 있는 것들로 흘러야 합니까” 말해질 수 없는 슬픔을 노래하는 정현우의 첫 시집 생과 생의 여분을 고해하는 낯선 목소리의 탄생 2021년 ‘창비시선’의 문을 여는 첫번째 시집으로 정현우 시인의 <나는 천사에게 말을 배웠지>가 출간되었다. 201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작품활동을 시작한 시인의 첫 시집이다. 등단 이전 가수로 데뷔했던 시인은 작년 ‘시인의 악기 상점’이라는 독특한 이름으로 앨범 「아름답고 쓸모없기를」을 내고 뮤지션으로 문학과 음악 양쪽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기도 하다. 2019년 제4회 동주문학상(윤동주서시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미래의 시단을 이끌어갈 젊은 시인으로 주목받았다. 등단 6년 만에 펴내는 첫 시집에서 시인은 선명하고 참신한 이미지와 세련되고 감성적인 언어가 돋보이는 매력적인 시 세계를 펼쳐 보인다. 삶과 죽음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되묻는 시적 사유의 깊이와 활달하고 개성적인 문장이 돌올한 시편들이 세상의 모든 슬픔을 끌어안는 서정적 정감의 깊은 울림 속에서 애잔하면서 뭉클한 감정을 자아낸다. 동주문학상 수상작 「슬픔을 들키면 슬픔이 아니듯이」를 비롯하여 68편의 시를 갈무리하여 4부로 나누어 실었다. 잘못을 들키면 잘못이 되고, 슬픔을 들키면 슬픔이 아니듯이 정현우의 시는 ‘슬픔’으로 가득 차 있다. “지울 수 없는 슬픔”(「오,라는 말은」)의 실체가 무엇인지는 뚜렷하게 드러나진 않지만 “잘못을 들키면 잘못이 되고 슬픔을 들키면 슬픔이 아니듯이”(「슬픔을 들키면 슬픔이 아니듯이」)라는 표현에서 보듯, 드러나는 순간 사라지거나 부정되고 마는 슬픔의 존재만 느껴질 뿐이다. “내가 태어났을 때/세상의 절반은/전염병에 눈이 없어진 불구로 가득했다”(「세례」)고 말하는 시인은 심지어 “본 적 없는 장면을 슬퍼”(「세례」)하기도 한다. 그렇듯 “슬픔을 가진다는 것”이 “인간이 되기 위한/경우의 수”(「유리 주사위」)라면 “모든 슬픔을 한꺼번에 울 수는 없나”(「꿈과 난로」)라고 되묻는 시인은 “말할 수 없는 슬픔”을 “말할 수밖에 없는 슬픔”(김언, 해설)으로 가슴에 새기며 삶의 고통과 슬픔을 참고 견디어낸다. 그리하여 “각자의 슬픔으로 고여 있는 웅덩이와 그림자일 뿐”(「슬픔을 들키면 슬픔이 아니듯이」)인 삶의 그늘진 풍경 속에도 “불탄 혀로 슬픔을 핥”는 “사랑과 기쁨”(「겨울의 젠가」)의 온기가 스며들기도 한다. 그런데 “얼마나 많은 슬픔을 깨뜨려야/사람이 인간이 될까”(「유리 주사위」). 시인은 기존의 언어로는 설명할 길 없는 내면의 슬픔 속에서 “잘못 태어난 것들을 떠올”(「빙점」)리며 자신의 기원을 찾아 어두컴컴한 미로의 세계를 탐색해 들어간다. “잠은 둘이 자는데/왜 두가지 성을 가질 수 없을까”(「침례 1」), “사람이 죽으면 여자일까 남자일까”(「여자가 되는 방」)라는 의문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묻는 시인의 번민은 종내 그치지 않는다. 시인은 기존의 체계와 언어의 굴레에서 벗어나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색” 중에서 ‘나’로서 “살아 있으려는 색”(「컬러풀」)을 품고자 한다. 그것은 시인의 당면한 현실이자 가장 절실한 실존의 문제이기도 하다. 시인은 “빛을 오리는 검은 가위질”로 “여자와 남자를 구분하는 시간”(「인면어」)의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문득문득 “사려 깊은 여성이 되어”(「항문이 없는 것들을 위하여」)보기도 한다. 정현우의 첫 시집 <나는 천사에게 말을 배웠지>는 “멍든 것들로 가득 차 있”(「멍」)는 혼돈의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영혼들의 상처를 위로하는 비가(悲歌)이자 인간 존재의 본질과 정체성에 대한 고해록이다. 시인은 이 시집으로 “믿지도 않는 신”에게 드리는 “죄 없는 기도”(「용서」)로써 고해의식을 마친 셈이다. 그러나 이대로 돌아서거나 여기서 멈춰서지는 않을 것이다. 현실은 “잘한 것보다 잘못한 것이 많아지는 밤”(「여자가 되는 방」)처럼 암울하고, 고통의 연속인 삶은 “빛이 들지 않는 미래”(「세례」)라 할지라도 “위태로운 것은 아름답”(「항문이 없는 것들을 위하여」)기에 시인은 “덫에 걸린 나의 안쪽을 오래도록 들여다보”(「덫」)면서 세상의 가장 낮은 곳을 향하여 거룩한 천사의 음성으로 슬픔을 노래할 것이다. “이름을 받지 못해 엉킨 채로 서글프게 떠도는 허공의 회로들과 한 몸이 되어 쓰고, 서로를 태우고 살아갈 것이다.”(이병률, 추천사) 정현우 시인과의 짧은 인터뷰 (질의: 편집자) ―첫번째 시집을 출간한 소회를 듣고 싶습니다. 만지지 못하는 사람과 존재 들을 시 속으로 모두 불러낼 수 있어서 기뻤고, 정말 다시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서 뭉클합니다. ―문학과 음악 두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평소 시를 쓰는 일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시인의 악기 상점’이라는 팀에서 보컬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시가 안 써지면 음악으로 음악이 안 써지면 시로 이동하며 살고 있습니다. 요즘엔 시인의 정체성이 강하다보니 작곡 능력을 잃어버린 것 같아요. 이참에 작곡은 저의 다른 팀원에게 맡길까 고민하고 있습니다.(웃음) ―첫 시집을 엮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이나 특징은 무엇인가요? 호명받지 못하고 소외받는 존재들을 대신해 말해주고 싶었어요. 무엇보다 가난에 편을 들어주고 싶었던 마음이 강했고, 가난했던 유년 시절을 지나오면서 느꼈던 감정과 환상들이 시로 태어난 것 같습니다. ―이번 시집에서 특별히 애착을 느끼는 작품이 있다면 소개와 이유를 부탁드립니다. 처음에 시작하는 「세례」라는 시와 마지막 「후쿠시마」라는 시 입니다. 지금 사회는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헐벗은 상태잖아요. 인간의 가장 강한 무기는 눈물이라고 생각해요. 돌이나 나무가 아닌, 인간이니까 수많은 감정들을 느낄 수 있잖아요. 힘들 때는 죽을힘을 다해 슬퍼했으면 좋겠어요. 종교적인 의미를 초월해 지금 상황이 빨리 씻겨 내려가길 바라는 마음, 이겨내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무엇보다 많이 뭉클해지는 세상이 오면 좋겠어요.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합니다. 시를 오래도록 쓰고 싶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지금 잠시 멈춰있는 음반 작업도 열심히 하게 될 것 같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