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절대로 침몰하지 않는다

정승욱
32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3명)
코멘트
더보기
[왓챠웹툰] 여름맞이 릴레이 이벤트 🏃‍♂️‍➡️[왓챠웹툰] 여름맞이 릴레이 이벤트 🏃‍♂️‍➡️

저자는 한국 경제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의 5년차라고 경고하면서, 일본은 20년 동안 불황을 견디고 혁신을 이뤄냈지만 한국은 그럴 경제적 체력이 없다고 분석하며, 경제 붕괴에 대비할 시간이 향후 5년도 남지 않았다고 조언한다. 그는 이 책에서 크게 세 가지 물음(①일본은 ‘잃어버린 20년’ 동안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나, ②장기침체 연착륙에 성공한 일본 경제의 전략은 무엇인가, ③한국은 일본에게서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을 통해 생존의 기로에 선 한국 기업과 개인에게 위기 탈출 전략과 새로운 경제 동력을 제시한다. 도쿄 특파원으로서 일본 현지 기업을 밀착 취재하여 도세이일렉트로닉빔이나 고마쓰스프링처럼 국내에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계 최고의 강소기업으로 성장한 기업들은 새로운 가치 창출에 어떻게 성공했으며, 경영 혁신의 전략을 무엇이었는지 풍부한 사례는 불황과 저성장에 신음하는 한국 기업과 개인이 스스로 변화하는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프롤로그: ‘일본꼴’은 나지 말자는 오만 1장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리지 않았다 우리가 알던 세계에 종언을 고하다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으로 가고 있는가 버블경제가 유지된 2010년보다 나은 실제 일본 2장 황(皇): 일본을 지탱하는 정신적 기둥 천황을 알아야 일본 경제가 보인다 일본의 수치 문화와 천황의 시너지 천황과 일본 경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천황의 분노에 드러난 일본의 길 3장 관(官): 일본의 100년을 결정한 리더십 패전을 딛고선 요시다 시게루 소련과 미국의 충돌을 이용한 요시다의 경제 전략 한국을 끌어내리고 일본을 부흥시키다 쇼와의 요괴, 기시 노부스케 독일 경제를 모방한 전후 일본 경제 4장 상(商): 위기마다 강해지는 기업의 저력 일본 기업의 철저한 비용절감과 끈질긴 R&D M&A: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을 버티는 힘 경제위기 돌파구, 모노즈쿠리 모노즈쿠리 철학과 기업정신 노벨상과 일본의 강소기업 5장 아베가 쏘아올린 화살들 아베노믹스, 성공할 것인가 2020도쿄올림픽과 일본 경제의 완전한 부활 아베노믹스, 성공의 조건들 6장 한국은 무엇을 배울 것인가 불황 10년의 5년차+α 조선·해양: 경영 선진화로 호황기를 대비하라 유통: 대형마트의 몰락과 편의점의 부상 자동차: 친환경으로 얼라이언스를 맺어라 전자·IT: 생활밀착형 인공지능에 투자하라 에필로그: 한국, 이대로 그저 그런 나라가 될 것인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일본꼴’ 나지 말아야 한다는 한국의 오만에 경종을 울린다!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린 게 아니라 장기침체에의 연착륙이었다! 있는 그대로의 일본 경제를 보자! 전 세계의 침체 속에서 한국이 생존할 길이 보인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은 장기침체의 ‘연착륙’이었다! 불황 속에서도 더욱 강해지는 일본 대기업과 강소기업의 혁신 전략 장기불황의 터널에서 한국 경제가 배워야 할 일본의 저성장기 대응책 서울대 국제대학원(일본연구소 위원) 김현철 교수 추천! “한국, 2016년에 드디어 일본 추월!” 2014년 연말, 한국 경제가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에서 일본을 앞지를 것이라는 뉴스가 보도되었지만 2016년을 사는 우리는 어떤 거시경제지표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지 못했음을 알고 있다. 오히려 한국은 신4저 불황(저성장·저금리·저투자·저물가)에 빠져들며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빠르게 경제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일본은 절대로 침몰하지 않는다》는 한국 경제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의 5년차라고 경고하면서, 일본은 20년 동안 불황을 견디고 혁신을 이뤄냈지만 한국은 그럴 경제적 체력이 없다고 분석하며, 경제 붕괴에 대비할 시간이 향후 5년도 남지 않았다고 조언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크게 세 가지 물음(①일본은 ‘잃어버린 20년’ 동안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나, ②장기침체 연착륙에 성공한 일본 경제의 전략은 무엇인가, ③한국은 일본에게서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을 통해 생존의 기로에 선 한국 기업과 개인에게 위기 탈출 전략과 새로운 경제 동력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리지 않았으며, 경제 구조 개혁과 혁신을 이뤄냈다”는 부분이다. 저자는 일본이 그 어떤 국가보다도 성공적으로 세계적 장기불황에 연착륙하고 있다고 진단한 것이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최고의 산업기술, 알짜배기 강소기업 육성, 낮은 실업률·남녀 소득격차 해소, 노동인구의 높은 GDP 기여율처럼 한국은 일본적인 미래를 피할 게 아니라 오히려 일본 꼴이라도 나야 한다고 대담한 주장을 편다. 도쿄 특파원 시절 일본 경제를 철저하게 해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정치, 사회, 역사, 문화를 각 방면에서 일본을 지탱하는 세 기둥, 황(皇)·관(官)·상(商)의 특징을 살펴보고 위기 때마다 강해지는 일본 경제의 비결을 연구하며 내린 결론이다. 이 책은 어쩌면 지금까지 출간된 일본 관련 경제서 가운데 가장 불편하면서도 독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경제의 강점을 집중 해부하기 위해 천황, 총리, 한국의 경쟁 기업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천황과 총리란 영 껄끄러운 존재임이 분명하지만 천황을 모르고서는 일본과 일본 경제를 알 수 없다고 단언한다. 천황이 정치 수장인 총리와 경제 주체인 기업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일본을 이끌어왔는지 들여다보면, 일본이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그 나라가 맞는지 의심스럽기까지 할 것이다. 천황을 향한 일본인들의 심리까지 이해하지 않아도 된다. 천황이라는 존재감과 역할을 아는 것만으로도 일본을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역대 총리들이 어떻게 한일 관계·미일 관계를 이용해 국익을 추구하여 고도성장과 버블경제 붕괴의 후폭풍을 극복했는지,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역대 최장기 호황기인 ‘이나자미 경기’를 이끌어내고 2010년대 제2의 경제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있는 그대로의 일본을 알면, 한국의 개인과 기업도 신 4저 현상(저성장, 저금리, 저투자, 저물가)이라는 낯선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불황 속 생존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출판사 리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은 장기침체의 ‘연착륙’이었다! 불황 속에서도 더욱 강해지는 일본 대기업과 강소기업의 혁신 전략 장기불황의 터널에서 한국 경제가 배워야 할 일본의 저성장기 대응책 서울대 국제대학원(일본연구소 위원) 김현철 교수 추천! “한국, 2016년에 드디어 일본 추월!” 2014년 연말, 한국 경제가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에서 일본을 앞지를 것이라는 뉴스가 보도되었지만 2016년을 사는 우리는 어떤 거시경제지표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지 못했음을 알고 있다. 오히려 한국은 신4저 불황(저성장·저금리·저투자·저물가)에 빠져들며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빠르게 경제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일본은 절대로 침몰하지 않는다》는 한국 경제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의 5년차라고 경고하면서, 일본은 20년 동안 불황을 견디고 혁신을 이뤄냈지만 한국은 그럴 경제적 체력이 없다고 분석하며, 경제 붕괴에 대비할 시간이 향후 5년도 남지 않았다고 조언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크게 세 가지 물음(①일본은 ‘잃어버린 20년’ 동안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나, ②장기침체 연착륙에 성공한 일본 경제의 전략은 무엇인가, ③한국은 일본에게서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을 통해 생존의 기로에 선 한국 기업과 개인에게 위기 탈출 전략과 새로운 경제 동력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리지 않았으며, 경제 구조 개혁과 혁신을 이뤄냈다”는 부분이다. 저자는 일본이 그 어떤 국가보다도 성공적으로 세계적 장기불황에 연착륙하고 있다고 진단한 것이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최고의 산업기술, 알짜배기 강소기업 육성, 낮은 실업률·남녀 소득격차 해소, 노동인구의 높은 GDP 기여율처럼 한국은 일본적인 미래를 피할 게 아니라 오히려 일본 꼴이라도 나야 한다고 대담한 주장을 편다. 도쿄 특파원 시절 일본 경제를 철저하게 해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정치, 사회, 역사, 문화를 각 방면에서 일본을 지탱하는 세 기둥, 황(皇)·관(官)·상(商)의 특징을 살펴보고 위기 때마다 강해지는 일본 경제의 비결을 연구하며 내린 결론이다. 이 책은 어쩌면 지금까지 출간된 일본 관련 경제서 가운데 가장 불편하면서도 독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경제의 강점을 집중 해부하기 위해 천황, 총리, 한국의 경쟁 기업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천황과 총리란 영 껄끄러운 존재임이 분명하지만 천황을 모르고서는 일본과 일본 경제를 알 수 없다고 단언한다. 천황이 정치 수장인 총리와 경제 주체인 기업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일본을 이끌어왔는지 들여다보면, 일본이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그 나라가 맞는지 의심스럽기까지 할 것이다. 천황을 향한 일본인들의 심리까지 이해하지 않아도 된다. 천황이라는 존재감과 역할을 아는 것만으로도 일본을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역대 총리들이 어떻게 한일 관계·미일 관계를 이용해 국익을 추구하여 고도성장과 버블경제 붕괴의 후폭풍을 극복했는지,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역대 최장기 호황기인 ‘이나자미 경기’를 이끌어내고 2010년대 제2의 경제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있는 그대로의 일본을 알면, 한국의 개인과 기업도 신 4저 현상(저성장, 저금리, 저투자, 저물가)이라는 낯선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불황 속 생존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위기 때마다 강해지는 일본 기업과 경제의 비결, 저성장 시대 최고의 생존 전략! 한국도 경영 혁신으로 일본처럼 장기불황에 ‘연착륙’하라! “한국, 2016년에 드디어 일본 추월!” 새해를 앞둔 2014년 12월, 언론은 한국이 구매력 기준 1인당 GDP에서 일본을 앞지를 것이라는 뉴스를 앞다퉈 내보내 새해 분위기를 달궜다. 하지만 2016년을 사는 우리는 구매력 기준 1인당 GDP를 비롯해 어떤 거시 경제지표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지 못했음을 알고 있다.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빠르게 일본화되어 가고 있는 한국은 잃어버린 20년을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