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꼴’ 나지 말아야 한다는 한국의 오만에 경종을 울린다!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린 게 아니라 장기침체에의 연착륙이었다!
있는 그대로의 일본 경제를 보자!
전 세계의 침체 속에서 한국이 생존할 길이 보인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은 장기침체의 ‘연착륙’이었다!
불황 속에서도 더욱 강해지는 일본 대기업과 강소기업의 혁신 전략
장기불황의 터널에서 한국 경제가 배워야 할 일본의 저성장기 대응책
서울대 국제대학원(일본연구소 위원) 김현철 교수 추천!
“한국, 2016년에 드디어 일본 추월!” 2014년 연말, 한국 경제가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에서 일본을 앞지를 것이라는 뉴스가 보도되었지만 2016년을 사는 우리는 어떤 거시경제지표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지 못했음을 알고 있다. 오히려 한국은 신4저 불황(저성장·저금리·저투자·저물가)에 빠져들며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빠르게 경제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일본은 절대로 침몰하지 않는다》는 한국 경제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의 5년차라고 경고하면서, 일본은 20년 동안 불황을 견디고 혁신을 이뤄냈지만 한국은 그럴 경제적 체력이 없다고 분석하며, 경제 붕괴에 대비할 시간이 향후 5년도 남지 않았다고 조언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크게 세 가지 물음(①일본은 ‘잃어버린 20년’ 동안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나, ②장기침체 연착륙에 성공한 일본 경제의 전략은 무엇인가, ③한국은 일본에게서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을 통해 생존의 기로에 선 한국 기업과 개인에게 위기 탈출 전략과 새로운 경제 동력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리지 않았으며, 경제 구조 개혁과 혁신을 이뤄냈다”는 부분이다. 저자는 일본이 그 어떤 국가보다도 성공적으로 세계적 장기불황에 연착륙하고 있다고 진단한 것이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최고의 산업기술, 알짜배기 강소기업 육성, 낮은 실업률·남녀 소득격차 해소, 노동인구의 높은 GDP 기여율처럼 한국은 일본적인 미래를 피할 게 아니라 오히려 일본 꼴이라도 나야 한다고 대담한 주장을 편다. 도쿄 특파원 시절 일본 경제를 철저하게 해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정치, 사회, 역사, 문화를 각 방면에서 일본을 지탱하는 세 기둥, 황(皇)·관(官)·상(商)의 특징을 살펴보고 위기 때마다 강해지는 일본 경제의 비결을 연구하며 내린 결론이다.
이 책은 어쩌면 지금까지 출간된 일본 관련 경제서 가운데 가장 불편하면서도 독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경제의 강점을 집중 해부하기 위해 천황, 총리, 한국의 경쟁 기업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천황과 총리란 영 껄끄러운 존재임이 분명하지만 천황을 모르고서는 일본과 일본 경제를 알 수 없다고 단언한다. 천황이 정치 수장인 총리와 경제 주체인 기업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일본을 이끌어왔는지 들여다보면, 일본이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그 나라가 맞는지 의심스럽기까지 할 것이다. 천황을 향한 일본인들의 심리까지 이해하지 않아도 된다. 천황이라는 존재감과 역할을 아는 것만으로도 일본을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역대 총리들이 어떻게 한일 관계·미일 관계를 이용해 국익을 추구하여 고도성장과 버블경제 붕괴의 후폭풍을 극복했는지,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역대 최장기 호황기인 ‘이나자미 경기’를 이끌어내고 2010년대 제2의 경제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있는 그대로의 일본을 알면, 한국의 개인과 기업도 신 4저 현상(저성장, 저금리, 저투자, 저물가)이라는 낯선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불황 속 생존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출판사 리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은 장기침체의 ‘연착륙’이었다!
불황 속에서도 더욱 강해지는 일본 대기업과 강소기업의 혁신 전략
장기불황의 터널에서 한국 경제가 배워야 할 일본의 저성장기 대응책
서울대 국제대학원(일본연구소 위원) 김현철 교수 추천!
“한국, 2016년에 드디어 일본 추월!” 2014년 연말, 한국 경제가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에서 일본을 앞지를 것이라는 뉴스가 보도되었지만 2016년을 사는 우리는 어떤 거시경제지표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지 못했음을 알고 있다. 오히려 한국은 신4저 불황(저성장·저금리·저투자·저물가)에 빠져들며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빠르게 경제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일본은 절대로 침몰하지 않는다》는 한국 경제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의 5년차라고 경고하면서, 일본은 20년 동안 불황을 견디고 혁신을 이뤄냈지만 한국은 그럴 경제적 체력이 없다고 분석하며, 경제 붕괴에 대비할 시간이 향후 5년도 남지 않았다고 조언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크게 세 가지 물음(①일본은 ‘잃어버린 20년’ 동안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나, ②장기침체 연착륙에 성공한 일본 경제의 전략은 무엇인가, ③한국은 일본에게서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을 통해 생존의 기로에 선 한국 기업과 개인에게 위기 탈출 전략과 새로운 경제 동력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일본은 20년을 잃어버리지 않았으며, 경제 구조 개혁과 혁신을 이뤄냈다”는 부분이다. 저자는 일본이 그 어떤 국가보다도 성공적으로 세계적 장기불황에 연착륙하고 있다고 진단한 것이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최고의 산업기술, 알짜배기 강소기업 육성, 낮은 실업률·남녀 소득격차 해소, 노동인구의 높은 GDP 기여율처럼 한국은 일본적인 미래를 피할 게 아니라 오히려 일본 꼴이라도 나야 한다고 대담한 주장을 편다. 도쿄 특파원 시절 일본 경제를 철저하게 해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정치, 사회, 역사, 문화를 각 방면에서 일본을 지탱하는 세 기둥, 황(皇)·관(官)·상(商)의 특징을 살펴보고 위기 때마다 강해지는 일본 경제의 비결을 연구하며 내린 결론이다.
이 책은 어쩌면 지금까지 출간된 일본 관련 경제서 가운데 가장 불편하면서도 독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경제의 강점을 집중 해부하기 위해 천황, 총리, 한국의 경쟁 기업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천황과 총리란 영 껄끄러운 존재임이 분명하지만 천황을 모르고서는 일본과 일본 경제를 알 수 없다고 단언한다. 천황이 정치 수장인 총리와 경제 주체인 기업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일본을 이끌어왔는지 들여다보면, 일본이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그 나라가 맞는지 의심스럽기까지 할 것이다. 천황을 향한 일본인들의 심리까지 이해하지 않아도 된다. 천황이라는 존재감과 역할을 아는 것만으로도 일본을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역대 총리들이 어떻게 한일 관계·미일 관계를 이용해 국익을 추구하여 고도성장과 버블경제 붕괴의 후폭풍을 극복했는지,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역대 최장기 호황기인 ‘이나자미 경기’를 이끌어내고 2010년대 제2의 경제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있는 그대로의 일본을 알면, 한국의 개인과 기업도 신 4저 현상(저성장, 저금리, 저투자, 저물가)이라는 낯선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불황 속 생존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위기 때마다 강해지는 일본 기업과 경제의 비결, 저성장 시대 최고의 생존 전략!
한국도 경영 혁신으로 일본처럼 장기불황에 ‘연착륙’하라!
“한국, 2016년에 드디어 일본 추월!” 새해를 앞둔 2014년 12월, 언론은 한국이 구매력 기준 1인당 GDP에서 일본을 앞지를 것이라는 뉴스를 앞다퉈 내보내 새해 분위기를 달궜다. 하지만 2016년을 사는 우리는 구매력 기준 1인당 GDP를 비롯해 어떤 거시 경제지표에서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지 못했음을 알고 있다. 세계 어떤 국가보다도 빠르게 일본화되어 가고 있는 한국은 잃어버린 20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