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며 “역사상 첫 번째 근대주택”: 윌리엄 모리스와 필립 웨브의 레드하우스 1859~1860 장인의 손길 회복을 꿈꾼 “예술의 궁전”|기능과 재료의 솔직한 표출, 그리고 고딕의 실루엣| 영국 수공예운동의 의의 헤르만 무테지우스와 《영국의 주택》 거대 구조물이 도시와 공존하는 방법: 베를라헤의 암스테르담 거래소 1885~1904 지역간 불통을 야기한 암 덩어리|도시는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다| 베를라헤의 도시 vs 근대주의자들의 도시 CIAM 사회주의 이념의 발현: 빅토르 오르타의 민중의 집 195~1900 아르누보 건축의 시작, 타셀 하우스|아르누보 건축의 진면목, 민중의 집 철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와 “장식과 범죄”: 루이스 설리번의 카슨피리스콧 백화점 1898~1904 아돌프 로스의 골드만과 잘라취 스토어 1909~1911 근대주의자들이 오해한 두 건물|“형태는 기능을 따른다”에서 ‘기능’|“장식과 범죄”에서 ‘장식’| 사회 시스템과 문화에 충실히 반응한 결과물 오너먼트와 데커레이션 민족의 낭만을 건축으로: 게젤리우스+린드그렌+사리넨의 포흐욜라 보험회사 1899~1901 핀란드의 독특성과 카렐리아니즘|핀란드의 민족낭만주의 건축| 포흐욜라 석조건축에 새겨진 민족의 낭만|핀란드 민족낭만주의 건축의 한계 및 의의 리처드스니언 로마네스크 진정한 지속가능 건축: 안토니 가우디의 콜로니아 구엘 성당 1899~1918(미완성) 가우디에 대한 극과 극의 평가|가우디 건축 실험의 집합체, 콜로니아 구엘 성당| 진정한 지속가능 건축 폴리푸니쿨라 미래파 신도시를 꿈꾸다: 안토니오 산텔리아의 라 치타 누오바 1914 이탈리아의 미래주의 예술운동|라 치타 누오바|보수적 현실에 대한 안티테제 토니가르니에의 공업도시와 르코르뷔지에의 현대도시 “문화로 사회 통합을 꿈꾼 표현주의 건축: 브루노 타우트의 글라스 파빌리온 1914 표현주의의 등장|표현주의의 건축적 담론|모든 예술의 집적체인 극장 다리파와 청기사파 토착 낭만의 신화가 깃든 북구 고전주의의 기념비: 군나르 아스플룬드의 우드랜드 채플 1918~1920 도릭주의의 감수성과 고전주의의 재토착화|군나르 아스플룬드의 우드랜드 채플|구축의 논리 vs 신화 창조의 힘 북유럽 건축과 “장소의 혼” “형태에 이르는 길”: 휴고 헤링의 가르카우 농장 외양간 1922~1925 휴고 헤링과 “형태에 이르는 길”|가르카우 농장 외양간의 “유기적 기능주의”| 미스의 이성인가, 헤링의 기능인가 기능과 기능주의 근대주의 건축의 원시 오두막: 르코르뷔지에의 빌라 르 락 1923~1924 “살기 위한 기계”|메종 시트로앙 시리즈|르코르뷔지에의 원시 오두막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가구처럼 만들어 자유로운 집: 헤리트 리트벨트의 슈뢰더 하우스 1923~1924 코드를 삭제하다|뫼동 스튜디오|리트벨트의 첫 신축 주택 투상도 근대주의 디자인과 국제건축의 요람: 발터 그로피우스의 바우하우스 신교사 1925~1926 바우하우스의 창립과 이념의 변화|데사우의 바우하우스 신교사와 국제건축| 바우하우스의 비판적 이해와 역사적 교훈 뉴욕 현대미술관의 “현대건축 국제전”과 국제주의 양식 유럽 근대건축 흐름의 분기점: 바이센호프 주택전시회 1925~1927 커다란 복합체 vs 독립된 하나의 오브제|나비 효과 독일공작연맹 근대적 이념의 결정체: 얀 다이커와 베르나르드 베이푸트의 조네스트랄 결핵요양병원 1926~1928 치료, 교화, 계몽|콘크리트 구축 시스템|근대건축의 아이콘 판옵티콘 철학자가 설계한 집: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의 하우스 비트겐슈타인 1926~1928 침묵과 절제의 전형, 하우스 비트겐슈타인|집으로 구현된 논리|하우스 비트겐슈타인의 의미 라움플란 표현주의자의 또 다른 문화 발전소: 에리히 멘델존의 쇼켄 백화점 1927~1929 멘델존에 대한 평가|도시의 랜드마크, 쇼켄 백화점|백화점, 자본의 발전소 랜드마크 흐르는 공간의 경계 흐리기: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바르셀로나 독일관 1928~1929 바르셀로나 독일관의 구축법, 공간성, 재료성|흐르는 공간의 경계 흐리기|미스의 공간 개념의 변화 국제박람회와 근대건축 사회적 응축기로 인민을 계몽하려 하다: 모이세이 긴즈부르그의 나르콤핀 공동 거주시설 1928~1930 사회적 응축기|공동 거주시설의 기원 도덕적 증기기관, 사회적 응축기, 쾌락적 응축기 순수의 미학과 현실의 간극: 르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 1928~1931 빌라 사보아, 전반기 르코르뷔지에 아이디어의 결정체|“살기 위한 기게”의 순수주의 미학 건축적 산책로 모더니즘의 현장, 유럽을 가다: 일본 건축가 요시다 테츠로의 구미여행 1931~1932 모더니즘의 현장, 유럽대륙으로|《일본의 주택》의 출판 배경과 영향력 서양의 일본건축에 대한 관심과 일본건축의 영향 건축은 정치의 시녀인가: 주세페 테라니의 카사 델 파쇼 1932~1936 제국주의와 건축가들|이탈리아 이성주의|파시스트의 본거지, 카사 델 파쇼| 이탈리아 이성주의와 장소성 이성주의와 합리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