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경제 산책

정운영
259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4명)
코멘트
더보기

진보 경제학자 정운영의 마지막 경제학 이론서. 세계화와 금융투기로 특징지어지는 오늘날의 세계 자본주의와, 이와 맞물려 외환위기 이후 강대국의 시장 개방 압력에 시달리는 한국 경제의 미래를 논한다. 칼럼니스트였던 저자의 유려한 문체, 특유의 비판적이면서 균형 잡힌 시각이 살아 있다. <한국 자본주의론>, <세계 자본주의론>의 속편이자 <노동가치이론 연구> 이후 10여 년 만의 후속작으로, 자본주의의 핵심을 꿰뚫으며 세계 자본주의의 향방과 한국 경제의 현 과제를 예리한 시선으로 포착한다. 근대 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넘나들며 자본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성찰한다. 책은 전쟁으로 시작한 20세기 세계 자본주의의 전개 과정을 핵심적으로 짚으며 세계화와 금융투기로 특징지어진 현 상황을 분석한다. 또한 세계화가 자본주의 역사에 전혀 새로운 도전인지 아니면 형태를 달리한 과거의 연장인지, 세계화 탈출이 절박한 과제라면 그 수단은 무엇인지 등 일곱 가지의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다. 4,5,6장은 한국 자본주의를 말한다. 1970년대 이후 한국 경제 성장을 개관하고 1980년대 사회구성체 논쟁을 재조명한다. 한국의 사회 형성에 국가독점적 자본주의라는 작업 가설을 적용할 때, 그 명제가 지니는 타당성과 제약 조건을 검토하면서 제국주의 종속성, 자본 수출 등의 문제를 파고든다. 또한 오늘날 한국 사회의 핵심 이슈인 통일 문제와 미국 경제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과 미래 전망을 내놓는다.

저자/역자

목차

책을 펴내면서 chapter 1. 20세기 경제 산책 세기 초의 형편 파국을 향하여 공상에서 절망으로 열전에서 냉전으로 황금기와 황금 퇴색 극우로의 질주 세기말의 사정 chapter 2. 세기말 자본주의 단상 변명 예습 : 독서 / 독후감 보충 : 세계화 / 투기자본 숙제 chapter 3. 세계화에 대한 '비우호적' 질문 서두에 현상의 본질 연장과 단절 지역화의 향방 국가 기능의 변화 계급으로부터의 후퇴 세계화와 문화 출구 탐색 말미에 chapter 4. 한국 경제의 빛과 그림자 어떤 회고 1970년대 : 좌절의 시대 1980년대 : 분노의 시대 1990년대 : 배반의 시대 2000년대 : 성찰의 시대로 어떤 조언 chapter 5. 1980년대 한국 사회의 정체성 문제설정 사회 분석의 기본 구조 : 자본주의적 사회 형성 / 국가독점적 국면 한국 사회의 형태 규정 : 전 자본주의적 부문 / 국가독점적 경향 이론 적용의 제약 : 자본 수출 / 제국주의 / 종속성 chapter 6. 남북 경제의 장래와 미국의 관심 서론 선택 가설 제약 결어 찾아보기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