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일상의 삶을 통해 본 조선시대 제1부 신분의 상징, 복식 문화 1장 18세기 남성 복식 스케치 신분을 들여다보는 거울 풍속화 | 상민들의 복식을 한눈에 보여주는 <월야선유도> | 모자 속에 숨은 신분 | 신분의 상징, 겉옷 | 상민들의 바지, 잠방이 | 가장 대중적인 신발, 짚신 | 반과 상을 가르는 신분의 상징 2장 의복과 머리 모양으로 표출한 여성의 멋 의복에 깃든 사람들의 생각 | 일상의 옷 | 유행과 사치 | 머리 모양과 얼굴 가리개 | 여성 의복의 유행과 흐름 3장 법과 제도로 보는 복식 문화 복식에 대한 규제 | 색깔에도 위계가 있다 | 사치에 대한 규제 | 사치를 부릴 수 있는 특권 제2부 맛과 멋의 조화, 음식 문화 1장 주식, 식생활의 근원 조선시대 농업의 중심은 논농사 | 곡물의 가격차가 주식을 결정하다 | 조선시대 사람들은 무엇을 주식으로 했을까 | 식사의 기본은 조석 두 끼 | 질보다 양을 중시하던 식습관 2장 부식, 다양한 먹거리의 풍요로움 상차림의 기본, 밥과 반찬 | 다양한 부식 재료들 | 가공·발효식품 | 정성과 격식이 담긴 의례음식 3장 기호식품, 인간의 본능적 욕구 술과 함께하는 생활 | 생활의 일부가 된 담배 | 기호식품, 인간의 본능적 욕구 4장 구황식품, 굶주림을 해결하라 구황식품이란 무엇인가 | 여러 가지 구황작물과 구황법 | 고구마와 감자의 역할 제3부 참삶의 공간, 주택 문화 1장 조선시대 삶이 담긴 전통주택 조선시대의 집짓기 | 전통 주택의 공간 구성과 그 지혜로움 2장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 생활 19세기 말, 조선 가옥의 표준은 초가삼간 | 18세기 말, 수원 신도시의 주거 생활 |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 양태 | 분수와 예의를 갖춘 집 3장 온돌과 주거 생활의 변화 온돌의 기원과 역사 | 온돌방에 따른 생활의 변화 | 온돌의 다양한 활용 | 온돌의 부작용 | 여전히 사랑받는 온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