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장 아마존 웹 서비스 기초 지식 1.1 아마존 웹 서비스란: 아마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1.2 AWS의 서비스: 165개 이상의 서비스 제공 1.3 AWS의 비용: 초기 비용은 저렴하지만 운영 비용이 조금 비싸다 1.4 AWS의 사용 방법: 누구라도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5 AWS의 도입 사례: 대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도입하는 경우도 다수 1.6 AWS의 도입 방법: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된다 2장 AWS를 이해하기 위한 클라우드 & 네트워크의 구조 2.1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조 2.2 가상화와 분산 처리: 클라우드를 지탱하는 2대 기술 2.3 SaaS, PaaS, IaaS: 클라우드의 서비스 제공 형태 2.4 서버와 인스턴스: 네트워크상에 만들어진 가상 서버 2.5 LAN: LAN을 구성하는 기술 2.6 IP 주소와 DNS: 네트워크의 장소를 특정하는 방법 2.7 웹의 구조: 웹 사이트와 관련된 기술 3장 AWS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 3.1 AWS의 사용법과 계정: AWS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 3.2 관리 콘솔과 대시보드: 심플하고 직관적인 관리 도구 3.3 AWS IAM과 접근 권한: 접근 권한 설정 3.4 Amazon CloudWatch: Amazon EC2의 리소스 상태 감시 3.5 AWS Billing and Cost Management: AWS의 비용 관리 3.6 리전과 가용 영역: 세계 각국에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 4장 서버 서비스 Amazon EC2 4.1 Amazon EC2란: 짧은 시간에 실행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가상 서버 4.2 EC2의 사용 절차: 가상 서버를 사용하기까지 4.3 인스턴스 생성과 요금: 가상 서버 생성 예시 4.4 AMI: OS 및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디스크 이미지 4.5 인스턴스 유형: 용도에 맞게 머신을 선택하자 4.6 Amazon EBS: Amazon EC2의 스토리지 볼륨 4.7 SSH를 사용한 접속과 키 페어: 공개키 암호 방식을 이용한 접근 관리 4.8 Elastic IP 주소: 고정 공인 IP 주소를 부여 4.9 Elastic Load Balancing: 트래픽을 분배하는 분산 장치 4.10 스냅샷: 서버 데이터 백업 4.11 오토 스케일링: 수요에 맞춰 EC2 대수를 증감 5장 스토리지 서비스 Amazon S3 5.1 Amazon S3란: 사용하기 쉬우며 기능이 강력한 스토리지 서비스 5.2 스토리지 클래스: 다양한 종류의 스토리지 5.3 S3의 사용 절차: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하기까지 5.4 객체와 버킷: 파일과 파일을 저장하는 장소 5.5 버킷 정책과 사용자 정책: 액세스 제한 설정 5.6 웹 사이트 호스팅: 웹 사이트 공개 5.7 파일 업로드와 다운로드: 다양한 파일 업로드 방법 5.8 액세스 관리 및 변조 방지: 부정한 액세스 감시 5.9 버전 관리·수명 주기·복제: 저장된 객체 관리 5.10 데이터 분석과 연계: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 5.11 Amazon CloudFront: 콘텐츠 배포 서비스 6장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 Amazon VPC 6.1 Amazon VPC란: AWS에 생성하는 가상 네트워크 6.2 VPC의 사용 절차: 가상 네트워크를 사용하자 6.3 기본 VPC: AWS가 제공하는 기본 VPC 6.4 서브넷과 DHCP: 사용할 범위 선택 6.5 라우팅과 NAT: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변환 6.6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NAT 게이트웨이: VPC에서 인터넷으로 접속 6.7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 보안 설정 6.8 VPC 엔드포인트: 다른 AWS 서비스 및 엔드포인트 서비스와 연결 6.9 VPC 연결: VPC와 VPC의 연결과 VPC와 VPN의 연결 7장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mazon RDS 7.1 데이터베이스와 RDB: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7.2 Amazon RDS란: 주요 RDBMS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7.3 RDS에서 사용할 수 있는 DBMS: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한다 7.4 RDS 사용 절차: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까지의 절차 7.5 키 밸류 데이터베이스: 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7.6 그 외의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8장 알아 두면 좋은 AWS 서비스 8.1 Amazon Route 53: AWS의 DNS 서비스 8.2 AWS Lambda: 서버리스 서비스이며 이벤트를 자동으로 실행한다 8.3 AWS 컨테이너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실행할 수 있는 가상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