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단어를 그리워하는 것이, 단어가 이미 품고 있는 세계로 깊숙이 들어가는 일보다 좋다. 단어의 바깥에서 영원히 그리워하는 편이 차라리 낫다.
단어와 단어를 쌓아서 벽을 만들고, 그 벽이 다르게 보이게 만들 현실을 무차별적으로, 환상적으로, 내내 그리워하고 싶다.”
단어를 들고 블록처럼 쌓거나 단어를 쫓아 술래처럼 달려가는
가지런한 순방향의 책 읽기를 전복시키는 양방향의 책 읽기
단어를 사랑해서 할 수 있는 멋진 딴짓, 김유림의 놀이 방식
2016년 《현대시학》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시인 김유림의 에세이 『단어 극장』이 민음사의 에세이 시리즈 ‘매일과 영원’으로 출간되었다. 김유림은 ‘양방향’의 작가다. 이 단어는 시인의 첫 시집 제목이기도 하지만, 작가 김유림의 활동 전반을 설명하는 말이기도 하다. 그는 시집 『양방향』, 『세 개 이상의 모형』, 『별세계』를 낸 시인이자, 소설집 『갱들의 어머니』를 낸 소설가다. 작가의 개성을 고스란히 지닌 채 서로 다른 장르로 뻗어 가는 그의 작업 방식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단어 ‘양방향’이 그의 첫 시집의 제목이 된 것은 우연이었을까? 김유림은 에세이 『단어 극장』에서 다시 한번 자신의 첫 시집을 소환한다. 시집 『양방향』에서 단어를 고르고, 그 단어로부터 글을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쓰인 책 『단어 극장』은 김유림이 그동안 즐기고 고민해 온 읽기 방식, 세상을 바라보고 소화하는 방식, 그 모든 것들을 해체하거나 뒤섞어 글을 쓰는 방식을 정리한 ‘김유림 설명서’인 동시에 시집 『양방향』 속 단어들을 시 속에 쓰인 맥락과 또 다르게, 시와는 상관없이, 혹은 시를 초월하는 방식으로 다시 쓰고 발견해 내는 ‘김유림의 실험서’다. 글을 꼭 한 방향으로 읽어야 해? 결론을 알아야 해? 라는 물음에 사로잡힌 이들, 나는 그저 문장 속에 있고 싶을 뿐인데, 여기서 꼭 나와야 해? 라고 외치고 싶던 이들에게 『단어 극장』의 문이 열린다. 우리는 그곳으로 기꺼이 입장하면 된다. 김유림이 보여 주는, 단어로 만들어 낸 멋진 장면 안으로.
●단어를 오리고 붙이는 시인의 즐거운 공작 시간
김유림은 고백한다. “내가 왜 이런 방식으로 글을 쓰게 되었냐면……” 그가 들려주는 경험은 무척 생생해서 곧장 떠올릴 수 있다. 마치 그가 우리의 내면에 스크린을 세워 두고 자신의 필름을 상영한 것처럼. 김유림은 어릴 적 자신이 ‘쌓기 좋아하는 아이’였다고 말한다. 특히 비디오테이프를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 말은 그가 비디오를 즐겨 봤다는 뜻이 아니다. 비디오테이프를 플레이어에 넣고 작동시켜 비디오가 품은 이야기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손에 잡힌 비디오테이프의 무게와 형태, 그것으로 할 수 있는 놀이의 가능성을 좋아했다는 뜻이다. 그는 비디오테이프를 손에 들고 그것을 쌓거나 눕혀 구조물을 만든다. 성벽이나 도로, 작은 집과 그 집의 주방. 그리고 시간이 흘러 그 감각은 김유림이 글을 쓰는 방식이 된다. 이것이 『단어 극장』에서 상영되는 김유림의 서사다. 여전히 김유림은 무언가를 손에 들고 구조물을 만든다. 비디오테이프 대신 단어와 문장을 들고, 작은 집이나 높은 성처럼 생긴 글을 완성하려고 한다. 그런 김유림의 태도는 공작 시간을 즐기는 아이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어떤 목소리가 말할 것이다. “자, 이제 집을 지어 보세요.” 아이는 무아지경으로 주변의 재료들을 들고 여러 각도로 살필 것이다. 서로 다른 재료를 자르거나 붙이고, 그것들을 세우거나 서로 기대어 보기도 할 것이다. 그 아이의 얼굴에 만면한 원초적 즐거움, 호기심, 상상력과 열의. 김유림의 단어 공작 시간을 상상하면 떠오르는 장면과 단어 들이다.
■목적지를 다시 설정합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한 방향으로 글을 읽는다. 발췌독을 한다고 해도 시작으로 점찍은 부분에서 마지막 부분까지 문장이 흘러가는 방향으로 시선을 이동시키며, 어느 정도 글의 목적이 이해되면 멈춘다. 그러나 『단어 극장』에서 김유림은 한 방향의 읽기만이 읽기의 즐거움이 아님을, 문장을 따라가는 도중 멈춰서고 주저앉으며 딴짓을 하는 시간도 읽기의 또 다른 즐거움임을 보여 준다. 그는 제안한다. 눈길이 붙들린 곳에 한번 머물러 보세요. 글을 읽다가 어떤 부분에 이르러 멈춰 서기, 시간 끌기, 앞으로 나아가기를 거부하기. 목적지로 가는 길 한가운데 주저앉아 바로 그곳을 끊임없이 바라보는 것이다. 혹은 몇 발자국 앞으로 움직였다가, 곧 되돌아가고, 다시 앞으로 나아가려다가, 또다시 뒤를 돌아본다. 시선을 붙들린 곳에 놓인 단어와 문장에 대한 그리움을 느끼기. 김유림은 끝없이 그리워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리워하다 보면 그에게는 결말이 아닌 목적지로 가는 길에 놓인 그 단어가, 그 문장이 새로운 목적지가 된다. 주인공이 된다. 김유림은 새로운 목적지를 주인공으로 삼고 그곳에서만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새롭게 시작한다. 흐르는 글 사이 어디쯤, 시선을 붙드는 단어와 문장이 있다. 그곳에 정지한 채로 머물다 보면 단어가 확장되고 문장이 커지면 묘사와 장면이 스스로 일어나기 시작한다. 이것이 김유림의 즐거운 딴짓, 김유림식 쓰기의 탄생이다. 김유림은 『단어 극장』에 온 관객들에게 개발할 수 있는 다른 감각을 보여 준다. 정지한 채로 진동하는, 중단한 채로 확장되는 읽기와 쓰기의 감각 안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영원을 담은 매일의 쓰기, 문학론 에세이 시리즈 ‘매일과 영원’
하루하루 지나가는 일상과, 시간을 넘어 오래 기록될 문학을 나란히 놓아 봅니다. 매일 묵묵히 쓰는 어떤 것, 그것은 시이고 소설이고 일기입니다. 우리의 하루하루는 무심히 지나가지만 그 속에서 집요하게 문학을 발견해 내는 작가들에 의해 우리 시대의 문학은 쓰이고 있으며, 그것들은 시간을 이기고 영원에 가깝게 살 것입니다. ‘매일과 영원’에 담기는 글들은 하루를 붙잡아 두는 일기이자 작가가 쓰는 그들 자신의 문학론입니다. 내밀하고 친밀한 방식으로 쓰인 이 에세이가, 일기장을 닮은 책이, 독자의 일상에 스미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