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종암아파트?·?개명아파트 1958?·?1959
단지아파트의 맹아 종암아파트 / 단순 핵가족을 위한 개명아파트 / 또 하나의 충정아파트 / 중앙산업과 1950년대 후반의 아파트
2. 국민주택 1959
평화촌이라 불린 불광동 국민주택지 / 속속 준공된 서울 외곽의 국민주택 / 단독형 국민주택의 유형 / 2층 연립형 국민주택의 특징 / 보통의 집, 국민주택
3. 마포아파트 1962?·?1964
마포아파트의 이데올로기 / 최초의 계획 / 아파트 신화의 탄생 / 10층에서 6층으로 최초 설계와 변경 / 주거동 유형 一자형, T자형, Y자형 / 1962년 1차 준공 / 단지 탄생과 서구식 생활방식 / 동일 주거동 반복 배치의 시작점 / 마포아파트의 수용과 확산
4. 공영주택?·?민영주택?·?시영주택 1963
「공영주택법」 제정과 서울시 행정구역 확대 / 두 가지 민영주택 / 개봉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의 민영주택 / 필지마다 다른 설계 수유리 민영주택 / 산업은행 표준설계 민영주택과 건축가의 참여
5. 시험주택 1963
’63 시험주택 건설사업 / 수유리 시험주택 A~F형과 연립주택 / 모니터링과 평가 / 시험주택에서 조립식주택으로 / 주택문제연구소와 조립식주택
6. 서민아파트 1964?~?1970
주택공사의 도화동아파트와 서울시의 창신동아파트 / 입주 경쟁 심했던 정동아파트 / 9평이 채 안 되는 ‘소형’ 이화동아파트 / 작지만 어린이놀이터가 있던 홍제동아파트 / 도시에서 물러나 배치된 동대문아파트 / 단독주택을 향한 경유지로서의 돈암동아파트 / 표준 12평형을 채택한 연희동아파트 / 대단위 단지 개발의 교두보 정릉아파트와 문화촌아파트 / 넓은 발코니, 인왕아파트?전국을 대상으로 한 표준설계 확산의 기폭제 공무원아파트 / 1960년대의 아파트와 대한주택공사의 예측
7. 상가아파트 1967
상가아파트의 등장 배경과 원론적 의미 / 1967~1970년 서울의 주요 상가아파트 / 세운상가의 기본설계 확정 및 건설사업자 선정 / 상가아파트의 전형
8. 시민아파트 1969
시민아파트의 출현과 정치적 배경 / 범정부 사업 69 시민아파트 건립사업 / 시민아파트 동장(조합장)과 보안관의 임무 / 와우아파트 붕괴사고와 중산층아파트 / 시책형 아파트, 서울 시민아파트를 향한 위로
9. 맨션아파트 1970
한강맨션아파트의 아이러니 / 매립지에 세워진 한강맨션아파트 계획의 언저리 / 한강맨션아파트 분양 / ‘맨션아파트’ 비난과 유혹 사이 / 위로 겹쳐 64평, 옆으로 늘려 60평 / 강남시대의 서막과 아케이드 등장 / ‘맨션!’에서 ‘대규모 브랜드 아파트단지!’로
10. 새마을주택?·?불란서주택 1972?·?1976
새마을운동과 농촌주택 표준설계 / 불란서주택으로 불렸던 도시 양옥 / 왜 불란서식이며, 미니 2층인가? / 마음속에 그린 집?
11. 잠실주공아파트단지 1975~1978
도시 스케일과 근린주구 / 블록별 주거동 배치 방식 / 상가복합형 주거동과 저층형 주거동 단위세대 / 선도형 시범아파트, 잠실주공아파트5단지 / 옥외수영장과 총안, 그리고 곤돌라 / 잠실주공아파트단지 재론
12.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 그리고 빌라와 맨션 1985?·?1990
노태우 정권의 주택 200만 호 건설계획 / 다세대주택의 탄생과 다가구주택의 등장 / 표준형 다세대주택 인정과 그 변화 / 다세대주택 및 다가구주택과의 차별화 빌라와 맨션 / 소필지의 새로운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