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혼다 히데오 · 사회과학
22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제1장 당신도 ‘자폐 스펙트럼’일지 모른다 ‘자폐 스펙트럼’을 알고 있습니까? ‘전반적 발달 장애’에서 ‘자폐 스펙트럼’으로 결코 남의 일이 아닌 자폐 스펙트럼 평범하게 사회생활하는 자폐 스펙트럼인들 다양한 유형들 제2장 특징으로 이해하는 자폐 스펙트럼 1. 공통적 특징 ① 임기응변적 대인 관계가 서툴다 영아기∼유아기 전반 영유아기 후반∼학령기 대인 행동의 특징은 사춘기 이후에도 계속된다 특징적인 대인 행동의 심리적 메커니즘 더욱 미묘하게 어긋나는 의사소통 2.공통적 특징 ② ‘집착’이 강하다 인지가 발달하면 집착도 발달한다 집착 보존의 법칙 집착을 활용하자! 집착의 심리적 메커니즘 대인 관계와 ‘루빈의 꽃병’ 대인 관계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다 3.그 외에 나타나는 특징 감각 이상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에 대한 강한 지향성 운동을 잘하지 못한다 일단 외운 것은 잘 잊어버리지 않는다 상대적 관계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4.병존하기 쉬운 정신적 · 신경적 문제 지적 장애 학습 장애(L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수면 이상 뇌전증 5.발생하기 쉬운 2차적 문제 괴롭힘 피해 등교 기피, 등교 거부 은둔형 외톨이 신체적 증상 틱 증상 우울증 적응 장애 불안 강박성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피해 의식 제3장 선 긋기 어려운 자폐 스펙트럼의 경계 1.장애인가, 개성인가? ‘자폐 스펙트럼’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행정 용어로서의 ‘장애’ ‘비장애 자폐 스펙트럼’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자폐 스펙트럼인들 자서전을 쓰지 않는 사람들만이 알려 주는 진실 조기 발견 후 성인기까지 지원을 받은 E 씨 2.자폐 스펙트럼은 어느 정도 존재할까? ‘아동기 자폐증’의 발견 ‘자폐증’에서 ‘자폐 스펙트럼’으로 경계선을 그을 수 있을까? 자폐 특징의 강도는 연속적으로 분포 자폐 스펙트럼인은 잠재적으로 10%는 존재한다 제4장 자폐 스펙트럼인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1.특유의 발달 유형에 맞춘 지원 자폐 스펙트럼은 특유의 발달 유형을 가진 종족 어른이 되면 평균 기준에 들어맞는 경우도 있다 가르치면 할 수 있는 것과 가르쳐도 못하는 것 낮은 눈높이 육아론 낮은 눈높이식 목표 설정 방법 ‘자율 스킬’과 ‘소셜 스킬’ 장애의 유무나 정도를 좌우하는 것은 ‘일상생활 능력’ 생애 단계에 맞춘 지원: 열쇠는 사춘기에 있다! 2.사춘기 이전의 지원 지원의 원칙 조기 발견 부모의 인식과 진단 고지 ‘조기 치료’의 함정 IQ가 향상되어도 자폐증이 낫는 것은 아니다 유아기부터 시작하는 ‘자율 스킬’과 ‘소셜 스킬’ ‘합의’를 가르치자 ‘구조화’는 합의의 시작 사춘기까지 익혀 두었으면 하는 것 취약한 영역 극복 목적이라도 지나친 훈련은 금물 게임에 대한 생각 3.사춘기 이후의 지원 지원하의 시행착오 사춘기 이후 부모의 역할은 ‘그림자 도우미’ 목표를 가지고, 자신감 있는 밝은 성격을 지향하자 진로 선택의 기준 고등 교육 취업을 둘러싼 문제 사회에 나온 후에 드러나는 사람들 4.병존하는 문제와 2차적 문제에 대한 대응 병존하는 문제에 대한 대응 2차적 문제에 대한 대응 5.사회 참여를 위한 구조 만들기 인클루전 자폐 스펙트럼 아동들의 인클루전 교육이란? 학교 교육의 구조적 문제 장애를 배려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직장에서의 인클루전 자폐 스펙트럼인들의 활동 거점 만들기 주위 사람들이 대하는 법 제5장 자신이 자폐 스펙트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면… 해 두어야 할 일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면 비장애 자폐 스펙트럼의 경우 맺음말 옮기고 나서 참고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임기응변적 대인관계가 서툴고, 자신의 관심사와 방식에 집착하는 사람들.’ 자폐 스펙트럼은 비장애 범주까지 넣으면 인구의 10퍼센트가량 존재한다! 발달장애 임상 및 연구 30년 정신과 전문의가 열 명 중 한 명이 겪는 ‘일상적 어려움’의 원인을 밝히고 조기 발견과 치료교육, 지원 방법까지 다각적으로 해설한다. 이 책은 발달장애 전문 정신과 의사가 발달 면에서 우려되는 아동 수백명을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한 특별한 임상 경험에서 출발한다. 지은이는 일본 요코하마시 종합재활센터에서만 20년에 걸쳐 해당 아동들을 취학 전부터 지원하고 성인기까지 상담을 지속했다. 이 귀중한 자산을 통해 생애 단계별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포인트와 적정 지원법, 2차적 문제 예방을 통한 비장애 자폐 스펙트럼으로 유도하는 일의 중요성 등을 안내하고 있다. 지은이가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 중 하나는 자폐 스펙트럼인 당사자와 주위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한 채 겪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이다. 자폐 스펙트럼은 말 그대로 경계가 분절되지 않고 연속적인 형태를 띠는데, 장애가 아닌 유형의 사람들까지 포괄할 때 그 숫자는 인구의 10퍼센트까지 추산될 정도로 흔하게 볼 수 있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닌’ 증상이라는 것. 장애가 아닐지라도 ‘임기응변적인 대인관계에 서툴고 자신의 관심사와 방식, 진행속도의 유지를 가장 우선시하고자 하는 본능적 지향이 강한’ 특성 때문에 겪게 되는 어려움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당사자 및 주위 사람들이 인식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그 출발점이다. 다른 하나는 자폐 스펙트럼인들에 대한 지원 방법론이다. 발달장애와 관련하여 유아기, 학령기, 사춘기, 성인기라는 각 생애 단계마다 당사자의 생활상 어려움이나 주위 사람들의 고민이 거론되지만 전문가들은 대체로 한정된 기간에만 개입한다. 때문에 유아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일상적 어려움을 겪는 당사자가 어떻게 성장하고, 문제와 고민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그리고 적절한 지원을 받으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장기적 관점에서 관찰해온 지은이가 안내하는 지원방법은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새로운 시야를 열어준다. 특히 부모들이 매달리기 쉬운 조기 치료의 함정, 지나친 훈련의 폐헤, 유아기부터 시작하는 ‘자율 스킬’과 ‘소셜 스킬’의 중요성, 장애의 유무나 정도를 좌우하는 것은 인지적 능력이 아닌 일상생활 능력이라는 점 등 기본에 충실한 지원론이 불안에 흔들리는 부모들에게 든든한 힘이 되어줄 것이다. 지은이 자신이 비장애 자폐 스펙트럼인이라는 사실이 갖는 함의도 크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