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4 프롤로그 : 기억의 조각들 10 1부 프리 프로덕션 2015년 1월 31일 제작 노트 #1 기억의 시작 ? 같고도 다른 시선의 만남(이길보라) ? 베트남전쟁과 프로듀서의 일(서새롬) ? 20세기의 벽 너머로(곽소진) 2015년 2월 7일 제작 노트 #2 카메라를 내려놓다 ? 그날이 오면 온 마을은 향 냄새로 가득하다(서새롬) ? 증오비와 위령비가 말하는 것(이길보라) ? 길 위에서 포개지는 시간(곽소진) #3 이야기가 될 수 없는 이야기 ? “제 할아버지는 참전군인이었어요”(이길보라) ? “누구를 용서해야 할지 모르겠다”(곽소진) 2부 프로덕션 2016년 2월 23일 제작 노트 #1 어떤 기억의 부재 ? “전쟁도 격렬하지만 평화 역시 격렬하구나”(이길보라) #2 ‘기념’과 ‘기억’의 시차 ? 건너편에서 바라보다(이길보라) ? 기념의 공간과 기억의 공간(이길보라) #3 증언, 그 안과 밖의 시간 ? 그날의 기억(이길보라) ? 살아남은 사람들을 위한 시간(서새롬) 3부 포스트 프로덕션 #1 기록의 방식 ? 기억과 질문으로 만들어진 영화(조소나) ? 제3의 시선을 찾아서(이길보라) #2 다시 카메라를 들다 ? 영화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조소나) ? “인물이 변화하고 있어요”(이길보라) #3 어떻게 기억을 마주할 것인가 ? “나의 이야기를 들어달라”(조소나) ? “아이들이 왜 미안해하는 거죠?”(이길보라) 4부 개봉 #1 기억의 문을 열다 ?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길보라) ? 코로나와 다큐멘터리라는 장르 영화의 삶(조소나) ? 관객과의 만남(이길보라) #2 끝나지 않은 기억의 전쟁(이길보라) #3 여성 촬영자, 시선의 방향과 사각지대(곽소진) 부록 ? 응우옌티탄 인터뷰 279 ? 모두가 각자의 기억을 이야기할 때(응우옌응옥뚜옌) ? 영화 〈기억의 전쟁〉이 촉발한 사회운동의 윤리 : 한국 사회의 ‘저항’과 ‘양심’ 담론을 생각한다(정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