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프롤로그 미학적인 것, 정치적인 것 그리고 윤리적인 것 1장. 장소(성)과 미학 01 동두천 프로젝트: 지구화 시대, 개입으로서의 예술실천과 장소의 문제 ― 정은영·김동령 02 잃어버린 장소를 찾아서: 촉지적 시각과 새로운 심미적 성찰성 ― 임민욱 03 장소 만들기의 정치학과 스토리텔링 : 용산 관련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2장. 사진 ‘이미지’: 재현의 비판적 자리와 탈재현의 새로운 정치학 04 새겨진 정체성: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몸의 현상학 ― 김준 05 불화하는 젠더, 정체성의 학교: ‘복장 속의 실존Being/Existence’에 깃든 두 가지 ‘되기Becoming’ ― 배찬효 06 ‘그녀’의 자리, 사진의 사회적 자리 ― 정지현 07 카메라의 눈, 그녀들의 속삭임에 시선을 돌려주다 ― 김진희 08 광경scape-scope, 그리고 그녀의 바다 ― 신미혜 3장. 페미니즘 미학의 실천 09 손들의 공동체: 예술가의 직관, 페미니즘과 공명하다 ― 윤석남 10 기억을 향한 기록들의 몽타주: 그녀의 카메라, 그리고 사진 속/밖의 여성들 ― 박영숙 11 보라, 이 소녀들을: 소녀 미학, 소녀 월드 속으로 ― 류준화 12 말 걸기address로서의 미술: ‘걸개그림’에서 ‘지워지다’까지 ― 정정엽 13 여성 삶에 바치는 헌사: 채색화의 재구성과 여성 장인의 손 ― 정종미 14 〈여성국극 프로젝트〉와 당대 페미니즘 아트 ― 정은영 15 방, 방을 낳다: ‘방’의 사회·공간적 현실과 재현의 정치학 ― 윤석남 16 문화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여성노동과 젠더 레짐 : 여성노동자투쟁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4장. 젠더 관점으로 포스트 민중미술 거슬러 읽기 17 페니스 파시즘을 조롱하다: 뱀과 남자, 탈유기체적 신체 ― 정복수 18 멜랑콜리, 키치의 몸을 입다: 포스트 민중미술의 복화술 ― 김상돈 19 포스트 콜로니얼 기억의 정치학: 끝나지 않은 전쟁과 젠더 ― 고승욱 번역, 전이, 혼종의 지대 20 절대 고독, 차이, 아트 그리고 ‘좋지도 나쁘지도 이상하지도’ 않은 비평: ― 김홍석 21 유랑하는 침대, 전이하는 의미, 생성하는 기억의 성좌 ― 태이 22 접촉지대 피부: 미메시스의 능력 회복을 위하여 ― 김미루 23 비非/장소, 비非/인간, 비非/이야기: ‘거미의 땅’을 만나는 한 방식 ― 김동령·박경태 24 지우다/지워지다/쓰다: ‘얼굴’의 윤리학 혹은 ‘괴물-이웃’의 정치학 ― 조현아 에필로그 25 위험사회 난민의 안전한 노년의 꿈 ― 옥인 콜렉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