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페미니즘 연구자가 문화이론으로 읽어주는 시각예술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들 미학과 정치, 윤리적 쟁점 사이에서 깊게 들여다 보다 “인상 깊은 첫 만남에서부터 한 편의 글로 정착이 될 때까지 여기 언급한 작업들은 모두 긴 시간 심미적 지각과 사유의 멋진 동반자들이었다. 작업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며 작가들과 함께 한 시간은 내밀하고도 유쾌한 공모의 시간이었다.” -프롤로그 中 젠더 관점과 페미니즘 인식론을 통해 보는 이미지 책의 구성은 총 6장과 구성되었고, 일반 독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이미지들을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 보고 분석하는 시각을 배울 수 있다. “문화예술과 정치경제의 이데올로기적 관계를 추적하는 문화연구의 간학문적 방법론은 ‘미학’의 독자적인, 다시 말해 고립된 문법체계 안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예술 논의에 생산적이고 창발적인 방식으로 탈주선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미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그리고 ‘윤리적인 것’ 사이의 긴밀한 관계가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이 관계를 드러냄에 있어 늘 비판적 날카로움의 지지대 역할을 한 것은 페미니즘 입장과 젠더 관점이다.” 이러한 젠더 관점과 페미니즘 인식론을 통해 저자는 “지구지역화 시대에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장소/성과 타자/성, 포스트 모더니티, 포스트 콜로니얼의 시공간, 디지털 구술문화로서의 스토리텔링, 무엇보다도 여성미학의 가능성”을 주요하게 탐색한다. 문화예술과 정치경제의 이데올로기적 관계를 추적하는 방법론 1장은 ‘장소/성과 미학’은 신자유주의적 지구화 시대에 지구적인 것의 타자가 된 지역적인 것의 문제를 장소/성의 관점에서 살핀다. 특히 지난 20~30년간 미술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되었던 공공미술을 주목하면서 장소/성 성찰의 중요한 미학적 표현으로 본다. 2장 ‘사진 ‘이미지’: 재현의 비판적 자리와 탈재현의 새로운 정치학’은 사진의 역사를 배경으로 실재와 재현의 관계를 탐색하는 한편, 시선의 윤리학을 질문하며 이러한 맥락 속에서 사진 ‘이미지’의 몇몇 사례를 살핀다. 3장 ‘페미니즘 미학의 실천’은 여러 세대의 여성 아티스트 작업에 주목한다. 4장 ‘젠더 관점으로 포스트 민중미술 거슬러 읽기’에서는 아트 작업이 사회와 역사에 개입하는 방식과 태도, 정당성 등을 젠더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고민한다. 5장 ‘번역, 전이, 혼종의 시대’는 21세기를 특징짓는 시공간의 압축과 거의 일상화된 이동/이주, 그리고 전지구화된 삶의 패턴이 야기하는 질문들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6장 에필로그 는 한국 사회를 깊은 슬픔에 가라앉게 만들었던 세월호 참사라는 공적 역사와 저자 본인이 사고로 긴 시간 병원에 유폐되어야 했던 사적 역사의 씨줄 날줄이 형성한 정동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