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제1부 어떻게 읽을까_책에 접근하는 방식들?
?1.? 책읽기의 출발점, ‘주제 정하기’ :
2. 책의 배경이 되는 ‘저자 파악하기’ : <페르낭 브로델>
3. 책을 구성하는 ‘표지와 차례 분석하기’ :
4.? 책의 성격을 짐작하는, ‘서론 및 헌정사 읽기’ : <중국 사유> / <군주론>
5.? 본문을 부분적으로 읽는, ‘단면 자르기’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6. 거리를 두고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 <전략>?
7. 사실들에 대한 ‘입장연관성 갖기’ :
8. 다른 관점에서 ‘다시 읽기’ : <셰익스피어 깊이 읽기> / <역사란 무엇인가>
제2부 어떻게 쓸까_서평의 여러 형식들?
1. 서평의 종류와 기본 형식 : <안쪽과 바깥쪽>
2. 한 권의 책에서 특정한 내용을 뽑아 쓰는 ‘주제 서평’ : 체제는 무형의 이념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수양제>
3. 여러 권의 책들을 하나의 문제의식으로 엮는 ‘주제 서평’ : 세상의 악은 누구의 책임인가, 신정론 또는 변신론 <디트리히 본회퍼> + <욥기> + <오레스테스이아 삼부작> +
4. 일차 문헌에 대한 해제, ‘역자 후기’ : <공산당 선언>?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5. 테제가 있는 ‘논고’ : 근대적 서사의 보여 주기 또는 상술 <소설과 카메라의 눈> / 신화神化의 서사시 <정신현상학>의 한 독법讀法을 위한 서설
?제3부 시대를 읽는 주제 서평들_근대와 정치?, 그리고 인간
1. 세계의 궁극목적과 역사 : <역사철학 강의> + <다이쇼 데모크라시 정신의 한 측면>??
?2. 근대의 정치 : <코스모폴리스> + <홉즈의 이해> + + <지나간 미래>?
?3. <논어>와 정치 : <공자와 논어> + <고대 중국의 글과 권위>
?4. 열린 지향점으로서의 이념과 독단 : <적군파> / <약속된 장소에서>?
?5. 정치의 맥락 : <정치와 비전 1>
?6. 사상의 사회적 물적 기반 :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7. ‘온화한 상업’ : <열정과 이해관계>??
8. 근대 국가의 균열 지점 : <파르티잔>
?9. ?‘발칸화’에 대하여 : <발칸의 역사>?
?10. 사회과학의 개념과 현실 :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1. 전환기의 정치 사상 : <건국의 정치> +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서학 도입??을 둘러싼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갈등
?12. 이백 년 동안 변하지 않은 것 : ?
?13. 동학, 이단과 이교의 갈림길 : <이단의 민중반란>?
?14. 해방공간의 사상과 현실 :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15. 일본의 근대와 천황 의례의 발명 : <화려한 군주>??
?16. 일본의 근대화와 군대 : <일본의 군대>
?17. 일본의 근대화와 관료제 : <제국의 기획>??
?18. 한 인간이 겪은 근대 일본의 전쟁 : <일본 양심의 탄생>
?19. 전쟁을 지배하는 기술 : <참호에 갇힌 제1차 세계대전>
?20. 나치와 대중, 그리고 평범한 사람 : / <나치의 병사들>??
21. 히틀러를 읽는 법 : <하우투 리드 히틀러> + “히틀러 신화”
?22. 정치적 인간의 탄생 : <식민지 청년 이봉창의 고백>??
?23. 근대의 이면, ‘인간 실존’ : <쇠얀 키에르케고어>
?[부록] 아주 긴 서평_<장미의 이름>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