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의 끝과 시작

강유원
49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1(14명)
0.5
4
5
평가하기
4.1
평균 별점
(14명)
코멘트
더보기

고전과 학술서를 강독하는 철학자이면서, 동시대의 다양한 책들도 섭렵하는 지식 탐구자 강유원. 그는 서평가들이 참조하는 ‘서평가들의 서평가’이다. 이 책은, <책과 세계> <주제> 이후 그가 15년 동안 강의와 방송 활동을 하면서 쓴 새로운 서평집이다. 서평집이지만 서평집 그 이상이기도 하다. 단지 서평들을 모아 놓은 서평집은 하나의 주제로 일관하기가 어려워 읽고 나면 읽어야 할 책 목록만 남기 쉬운데, 이 책은 내용과 형식에 따라 주제를 일관하고 있어 부제처럼 ‘책읽기가 지식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인용이 풍부한 서평, 수준(초급, 중급, 고급)에 따라 작성된 서평, 논고, 논문, 역자 후기 등 다양한 형식의 서평을 포괄하고 있어서, 글을 쓰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참조할 수 있는 일종의 ‘책에 관한 글 쓰기’ 안내서이기도 하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4.1(14명)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제1부 어떻게 읽을까_책에 접근하는 방식들? ?1.? 책읽기의 출발점, ‘주제 정하기’ : 2. 책의 배경이 되는 ‘저자 파악하기’ : <페르낭 브로델> 3. 책을 구성하는 ‘표지와 차례 분석하기’ : 4.? 책의 성격을 짐작하는, ‘서론 및 헌정사 읽기’ : <중국 사유> / <군주론> 5.? 본문을 부분적으로 읽는, ‘단면 자르기’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6. 거리를 두고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 <전략>? 7. 사실들에 대한 ‘입장연관성 갖기’ : 8. 다른 관점에서 ‘다시 읽기’ : <셰익스피어 깊이 읽기> / <역사란 무엇인가> 제2부 어떻게 쓸까_서평의 여러 형식들? 1. 서평의 종류와 기본 형식 : <안쪽과 바깥쪽> 2. 한 권의 책에서 특정한 내용을 뽑아 쓰는 ‘주제 서평’ : 체제는 무형의 이념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수양제> 3. 여러 권의 책들을 하나의 문제의식으로 엮는 ‘주제 서평’ : 세상의 악은 누구의 책임인가, 신정론 또는 변신론 <디트리히 본회퍼> + <욥기> + <오레스테스이아 삼부작> + 4. 일차 문헌에 대한 해제, ‘역자 후기’ : <공산당 선언>?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5. 테제가 있는 ‘논고’ : 근대적 서사의 보여 주기 또는 상술 <소설과 카메라의 눈> / 신화神化의 서사시 <정신현상학>의 한 독법讀法을 위한 서설 ?제3부 시대를 읽는 주제 서평들_근대와 정치?, 그리고 인간 1. 세계의 궁극목적과 역사 : <역사철학 강의> + <다이쇼 데모크라시 정신의 한 측면>?? ?2. 근대의 정치 : <코스모폴리스> + <홉즈의 이해> + + <지나간 미래>? ?3. <논어>와 정치 : <공자와 논어> + <고대 중국의 글과 권위> ?4. 열린 지향점으로서의 이념과 독단 : <적군파> / <약속된 장소에서>? ?5. 정치의 맥락 : <정치와 비전 1> ?6. 사상의 사회적 물적 기반 :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7. ‘온화한 상업’ : <열정과 이해관계>?? 8. 근대 국가의 균열 지점 : <파르티잔> ?9. ?‘발칸화’에 대하여 : <발칸의 역사>? ?10. 사회과학의 개념과 현실 :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1. 전환기의 정치 사상 : <건국의 정치> +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서학 도입??을 둘러싼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갈등 ?12. 이백 년 동안 변하지 않은 것 : ? ?13. 동학, 이단과 이교의 갈림길 : <이단의 민중반란>? ?14. 해방공간의 사상과 현실 :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15. 일본의 근대와 천황 의례의 발명 : <화려한 군주>?? ?16. 일본의 근대화와 군대 : <일본의 군대> ?17. 일본의 근대화와 관료제 : <제국의 기획>?? ?18. 한 인간이 겪은 근대 일본의 전쟁 : <일본 양심의 탄생> ?19. 전쟁을 지배하는 기술 : <참호에 갇힌 제1차 세계대전> ?20. 나치와 대중, 그리고 평범한 사람 : / <나치의 병사들>?? 21. 히틀러를 읽는 법 : <하우투 리드 히틀러> + “히틀러 신화” ?22. 정치적 인간의 탄생 : <식민지 청년 이봉창의 고백>?? ?23. 근대의 이면, ‘인간 실존’ : <쇠얀 키에르케고어> ?[부록] 아주 긴 서평_<장미의 이름> 읽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5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