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시간의 힘 &PART 1.아이디어는 ‘기억의 정리’로 탄생한다& 아이디어 탄생을 방해하는 5가지 NG 행동 NG 행동 1. 인터넷상의 글을 골똘히 읽는다 NG 행동 2. 입문부터 공부한다 NG 행동 3. 차분할 때 생각하자며 숙제로 남겨 둔다 NG 행동 4. 장소를 바꿔 카페에서 작업한다 NG 행동 5. 아이디어에 대해 논의한다 &PART 2. 깨달음은 재능이나 우연이 아닌 ‘기술’& 생각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 이루어질까? 뇌는 경쟁을 통해 유연하게 작용한다 뇌는 마음 혹은 나와는 별개의 것 ① 실행 네트워크 : 뇌 외부에 주의를 기울인다 ②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 뇌 내부에 주의를 기울인다 ③ 현출성 네트워크 : 두 가지 네트워크를 전환한다 &PART 3.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깨달음’이 필요하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란 ‘머릿속에 있는 답’을 깨닫는 것 오류배제학습이 ‘깨달음’을 만든다 자신에게 주는 과제는 ‘스몰 스텝’으로! 뇌가 자동으로 움직이는 ‘자기 조직화’에 맡겨 보자 ‘○○ 완료’라는 말을 습관화하자 ‘이해한 줄 알았던 것’을 다시 배움으로써 ‘깨닫기’ ‘보지 않고’, ‘듣지 않을’ 정보를 결정한다 정보 접하는 횟수를 하루 2번으로 제한하기 중요한 일은 ‘이중 기억’으로 보관한다 생각할 때 ‘말해야 하는’ 2가지 이유 ‘틀’을 습득해서 정보의 압축력을 높이기 &PART 4. 그저 ‘멍 때리는’ 것만으로는 떠오르지 않는다& ‘뇌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것=멍 때리는 것’ ‘멍 때리기’의 힘은 충분한 수면에 있다 ‘좋은 멍 때리기’와 ‘나쁜 멍 때리기’ 좋은 멍 때리기를 만드는 열쇠는 ‘타이밍’ ‘나’와 ‘사고’ 사이에 거리를 두자 ‘멍 때리기 사고’에는 최종 목표가 없다 90분마다 하던 일을 멈추고 멍 때리기 좋은 멍 때리기를 위한 방법 1. 초점 맞추지 않기 좋은 멍 때리기를 위한 방법 2. 예측 가능한 소리만 듣기 좋은 멍 때리기를 위한 방법 3. 엉덩이에 힘주고 걷기 좋은 멍 때리기를 위한 방법 4. 꼭꼭 씹어 먹기 좋은 멍 때리기를 위한 방법 5. 화장실에 시간 들이기 좋은 멍 때리기를 위한 방법 6. 잠들기 시작할 때 가볍게 졸기 &PART 5.‘메타 인지’ : 깨달음은 어디에서 오는가 깨달음의 순간, 뇌는 ‘나’에게서 멀어진다 찾아오는 깨달음, 찾아가는 깨달음 메타 인지 능력을 높이기 위한 작업 깨달음을 얻었을 때는 한 가지에 집중하자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과정을 재현하기 &PART 6. 일을 성공시키려면 상대의 깨달음이 필요하다 조직은 개인의 깨달음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 완료’라고 상대에게 언어화시킨다 상대의 뇌가 내향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다는 신호 상대의 뇌에 메타 인지를 만드는 5가지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