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문명과의 해후 1 '히로부미'의 탄생 2 제도로 쏠린 시선 3 급진에서 점진으로 ─이와쿠라 사절단 체험 2장 입헌 국가 구상 ─메이지 헌법 제정이라는 전사 1 입헌정체 도입을 향하여 ─1880년 헌법 의견서까지 2 메이지 14년 정변 3 유럽에서의 헌법 조사 4 헌법 제정기의 이토의 사상 ─국제지의 조형 5 초연주의 연설 ─헌법 성립과 정당정치 6 국민 정치로서의 헌법 정치 ─황족과 화족을 위한 연설 3장 1899년의 헌법 행각 1 만물은 유전한다 ─이토의 세계관 2 전국 유세 ─헌법을 세상에 널리 알리다 3 개정 조약의 시행과 문명국으로 진입 4 국민 정치의 주입 5 실학으로 국민을 창출하다 4장 지의 결사, 입헌정우회 1 입헌정우회로 나아가는 길 ─정당 정치가로 변신하다? 2 정당정치와의 거리 3 입헌정치와 정당정치 4 정우회 결성 5 '당'에서 '회'로 ─정우회의 이념 6 두뇌 집단으로서의 정당 5장 메이지 국제의 확립 ─1907년 헌법 개혁 1 정우회의 차질 2 정우회에서 제실제도조사국으로 ─헌법 개혁에 착수하다 3 1907년 헌법개혁 1 ─한층 강화된 천황제의 국제화 4 1907년 헌법개혁 2 ─내각 중심 책임정치와 군부의 통제 5 이토 히로부미의 메이지 국제 6장 청 말 개혁과 이토 히로부미 1 1898년 중국 방문 ─정우회로의 또 다른 여행 2 무술정변과의 조우 3 장즈둥과의 만남 4 '헌법 행각' 속의 중국관 ─정우회의 통상 국가 전략 5 중국에 대한 재인식 ─청 말 헌정 조사단과 중국관의 변용 7장 한국 통감으로서 '야누스'의 얼굴 1 통감과 총재 2 "문명" 정치의 전도 ─유교지와의 대결 3 군제 개혁으로서의 한국 통치 ─헌법 개혁의 연장 4 한국 통치의 좌절 후기 역자 후기 저자 주석 참고문헌 이토 히로부미 연보 인명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