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일상의 혁명, 미투의 정치학 _ 정희진 그 남자들의 ‘여자 문제’ _ 권김현영 ‘공작’은 누가 했나 누가 무엇으로 재판을 받고 있었나 “어떻게 지위가 타인의 인권을 빼앗을 수 있습니까?”라는 비문(非文) 존재하는 위력은 반드시 행사된다 진영론, 문제 제기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여자 문제’라는 프레임 나가며 여성에 대한 폭력과 미투 운동 _ 정희진 아버지의 연장 그리고 ‘속삭임’ 범죄 신고가 혁명인 사회 가해자에 의해 좌우되는 쟁점들 남성과 여성의 ‘자의성’은 같지 않다 인식론으로서 젠더의 지위 젠더 사회에서 ‘불가능한 미투’ 남성 사회가 선별하는 피해자 남성의 새로운 ‘성 역할’은 스스로에 대한 책임감 춘향에겐 성적 자기결정권이 필요했다 _ 한채윤 들어가며 성춘향과 변학도에게 궁금한 두 가지 춘향이 지키려 한 건 정조가 아니다 변학도는 성욕을 채우지 못해 화가 난 것이 아니다 정조로는 아무도 구할 수 없다 그런데도 형법에 ‘정조권’이 들어갔다 정조권을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으로 누구를 위한 ‘저항’인가 ‘동의’에 필요한 것은 ‘거부할 권리’가 아니다 마무리하며 젠더 개념과 젠더 폭력 _ 루인 트랜스젠더퀴어의 시각에서 본 젠더 폭력의 의미 ‘브랜든 티나/티나 브랜든’의 범주를 둘러싼 논쟁 섹스-젠더의 필연적 관계 비판 트랜스젠더퀴어와 젠더 젠더 인식과 트랜스젠더퀴어가 겪는 폭력의 성격 젠더 폭력과 젠더 경합 연속체 트랜스젠더퀴어 연속체 트랜스페미니즘을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