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나는 왜 당신의 슬픔이 이토록 기쁠까?” 누군가를 맹렬히 비난하는 심리에는 정의감과 은밀한 쾌감이 녹아 있다 뇌과학자가 말하는 인간 본성의 양면적 심리, 그리고 옥시토신과의 관계 언제나 자신만만한 모습으로 상사의 신뢰를 독차지하던 동료가 그답지 않은 큰 실수를 저지르고 호되게 질책당했다. 그의 커리어가 무너졌다. 낙심한 동료를 짐짓 위로하면서도 마음속은 들뜨는 듯 기쁜 듯, 정반대의 감정이 흐른다. 남의 고통에 이토록 기뻐하는 나, 왜 이런 감정을 느끼는 걸까? 당신의 불행 덕에 오늘도 나는 밥이 맛있다 누구나 한번쯤 이와 비슷한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승승장구하던 누군가에게 갑작스런 불행이 닥쳤을 때 느끼는 은밀한 쾌감, 때론 찜찜한 감정을 동반하곤 하는 불편한 기쁨이 바로 샤덴프로이데다. 나아가 겉과 속이 다른 유명 연예인의 추잡한 사생활이 폭로되거나 권위 있는 정치인이 저지른 거짓과 불의가 드러날 때, 우리가 느끼는 분노 혹은 통쾌함(고소함) 역시 샤덴프로이데와 이어지는 감정이다. 뇌과학자이자 인지과학자인 저자는 타인에 대한 시기와 분노, 통쾌함과 같은 감정을 우리가 시시때때로 느끼는 근본적인 원인에 뇌 물질 ‘옥시토신’이 깊이 관여한다고 말한다. 사랑과 행복의 호르몬이라 불리는 옥시토신의 또 다른 얼굴에 주목하다 사랑 호르몬, 행복 호르몬으로 익히 알려진 옥시토신의 또 다른 얼굴이 여러 연구를 통해 속속 밝혀지고 있다. 타인의 불행에 쾌감을 느끼는 샤덴프로이데 역시 옥시토신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뇌과학과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간의 본성과 행동을 심도 있게 연구해온 저자는 샤덴프로이데의 정체를 파헤치는 것을 시작으로,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과 흥미로운 실험들을 소개하며 옥시토신을 비롯한 뇌 호르몬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엄청난 영향력을 하나하나 조명한다. 사랑이 넘쳐흐를 때 인간은 배려 가득한 행동을 취하는 한편, 지독히 편협해진다 샤덴프로이데의 감정은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배제 과정이란 것을 통해 기존의 집단과 사회를 지킨다. 혼자만 이득을 보는 듯한 사람, 무리에서 두드러지게 튀는 사람, 이질적인 사람을 민감하게 찾아냄으로써 집단의 결속과 유지에 해를 끼칠 만한 사람을 색출하고 배제한다. ‘요즘 유난히 튀는 저 사람’이란 ‘기존 사회를 무너뜨리고 바꾸려는 사람’을 의미하며, 인간이라는 종은 이런 개체의 대두를 허용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안으로는 한없는 사랑과 유대를 강조하며, 밖으로는 배타적이고 편협한 잣대를 내세워 싸움으로써 인류는 생존하고 번영했다. ‘우리(집단)’를 지키기 위해 ‘정의’라는 이름으로 타인(우리 외의 존재)에 대해 광포한 폭력까지도 불사하는 존재가 인간이며, 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옥시토신에서 비롯된 ‘친사회성’이라는 인간 본성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생존 전략으로서의 인간 본성, 그 이면에 편협함이 있다 생존과 진화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에 이른 친사회성은 우리 사회를 지금과 같이 발전케 한 원동력이지만, 결코 적지 않은 상처와 아픔을 남기고 있다. 남을 끌어내리는 쾌감에서 비롯한 무차별적 비난과 공격, 사랑이라는 이름의 집착, 정의 수호를 명분으로 행해지는 잔혹한 폭력……. 이들을 단순히 생존 전략으로서의 인간 본성 혹은 뇌 호르몬에 의한 작용이라고 지나쳐 버리기에는 상흔이 너무 깊다. 크고 작은 집단 안에서 온종일 타인과 마주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의 삶이다. 다만 타인을 향해 시시때때로 솟구치는 수많은 감정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그러한 감정이 내 안에 생겨나는 생리학적 원인을 이해하고, 그 이면에 도사린 편협함을 조금이나마 의식할 수 있다면 우리의 선택과 행동, 나아가 삶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