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죽음의 철학』 주요개념집 7 머리말 15 1장 _ 불사(不死)에 이르는 병 25 1. 절대적 슬픔의 소수자 기하학 26 1) 오늘날 실천철학이란 무엇인가 26 2) ‘자연계의 일의성’에 관한 자연철학과 “반자연의 융즉”을 규정하는 실천철학 33 3) 무능력의 소수자 기하학 ? 어떻게 슬픔, 증오, 분노, 질투, 복수심 등을, 혹은 부정 없는 무능력을 표현할까 38 2.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 48 1) 들뢰즈/가타리와 분열종합적 사유 48 2) 정신적-물리적인 합일론에서 분열적-신체적인 분신론으로 53 3)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그 첫 번째 규정) 63 4) 계열의 병행론에서 리좀의 분신론으로 67 5) 자아의 죽음 ? 블록과 패러·그래프의 문제 70 2장 _ 죽음의 원근법 75 3. 본질의 외피를 할퀸다 76 1)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그 두 번째 규정) 76 2) 인간의 본질 ? 계속해서 웃는 동물 83 3) 유기적 사유의 한 치의 절단 ? 칸트의 금령 88 4) 비율=비 속에서의 ‘죽음의 생성’, 가속과 감속의 다양체 92 4. 헤테로리즘 선언 100 1) 헤테로리즘이란 무엇인가 ? 공포에서 잔혹으로 100 2) 분열분석적 경험 ? 아르토라는 절대적 사례 109 3) 인간 본성과 결별하기 위하여 ? 잔혹과 감염 115 4) 결여 없는 무능력에 관하여 122 3장 _ 죽음의 철학 129 5. 불사의 경험론 130 1)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그 세 번째 규정) 130 2) 죽음이 나누는 것 ? 드라마화의 선 137 3) 가짜 분신 ? ‘흡혈귀든 인간이든’ 143 4) 모방과 의태의 차이 ? 데이비드 린치 151 6. 강도와 분신 ? 죽음의 분열증화 157 1) 강도의 이접성 ? ‘존재든 본질이든’ 157 2) 죽음의 경험과 무기고 167 3) 참다운 신체의 투사 173 맺음말 179 옮긴이 후기 181 찾아보기 185